d라이브러리
"국립"(으)로 총 3,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1kg 정의, 130년 만에 바뀐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PTB)는 XRCD 방법으로, 미국의 표준기관인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와 캐나다의 표준기관인 국립연구위원회(NRC)는 키블 저울로 측정했다. 9월 5~6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단위자문위원회(CCU)에서는 이 같은 측정 결과가 단위를 재정의하기에 충분한지 논의가 이뤄졌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을 포함한 ... ...
- [수학뉴스] 오각형 테셀레이션 하는 방법은 오직 15가지!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않는 오각형)은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몇 가지가 가능할까요? 최근 미카엘 라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 연구원은 그 방법이 15가지뿐이라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라오 박사는 4가지 조건 아래 볼록 오각형이 평면 위에서 빈틈없이 맞닿는 모든 경우의 수를 조사했습니다. 4가지 조건은 모든 내각의 ...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용각류는 공룡 중에서 몸집이 가장 큰 초식공룡이에요. 기린처럼 긴 목으로 나무 꼭대기에 있는 잎을 따 먹지요. 그런데 용각류 공룡들이 식물 이외에 돌도 먹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나요? 그렇다면 용각류는 돌을 우연히 먹었을까요? 아니면 일부러 삼킨 걸까요?용각류들이 위 속에 지녔던 ‘위석’ ... ...
- Intro. 긴급취재, 산불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지난 5월 6일, 강원도 강릉시와 삼척시, 그리고 경북 상주시에서 산불이 났어요. 봄철에 흔히 일어나는 산불이라고 생각했지만, 건조하고 바람이 강한 탓에 산불은 계속해서 번졌죠.결국 3일 넘게 타오른 산불은 40채가 넘는 건물과 수많은 나무들을 집어삼킨 뒤에야 꺼졌어요.이번 산불은 왜 이렇게 ... ...
- Part 3.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진화 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산불이 바람을 타고 빠르게 퍼지면 근처의 마을까지 위험해져요. 이번 산불은 어떻게 껐는지 함께 알아봐요~!헬기로 큰 불 잡고, 사람이 잔불 잡고산불이 나면 가장 먼저 동원되는 것은 소방 헬기예요. 산 중턱까지 소방차가 올라가기 어렵고, 넓은 지역의 불을 끄기 위해서는 공중에서 다량의 물을 ... ...
- [Focus News] 초강력 태양폭풍 지구 강타한 이유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않고 우회하면 북미 노선의 경우 비행시간이 1시간가량 늘어난다. 이 연구사는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에 확인한 결과 미국의 경우 GPS 장애, 항공기 단파 통신 장애, 전력 불안정으로 인한 정전, 허리케인 추적용 기상관측시스템 장애 등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태양폭풍 발생 3일 전 정확히 ... ...
- Part 3. 원더우먼 굴복의 팔찌, 천의 얼굴 플라스마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기간 투명하게 유지되는 보호막도 플라스마로 구현할 수 있다. 1995년 미국 브룩헤이븐국립연구소(BNL)의 물리학자 어디 허쉬코비치가 첫 가능성을 열었다. 그는 진공 챔버 안으로 외부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막는 용도로 플라스마를 사용했다. 이론물리학자이자 미래학자인 미치오 카쿠 미국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금강 미호천에서 처음 발견된 미호종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멸종위기에 처했답니다.그런데 최근 미호종개의 멸종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생겼어요. 국립생물자원관 연구팀이 미호종개의 생식줄기세포를 이용해서 인공적으로 증식시키는 기술을 개발한 거예요. 연구팀은 미호종개의 생식줄기세포를 대리모인 미꾸라지에 이식해서 치어 7576마리를 얻었어요. ... ...
- Part 1. 72시간 동안 태백산맥이 활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ha(헥타르) : 면적 단위로, 1ha는 가로세로 100m와 같은 넓이다.이번 산불은 72시간 안에 여의도보다도 넓은 면적의 숲을 잿더미로 만들었어요.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요?6일 11:42 산불 발생지난 5월 6일 전국 16곳에서 산불이 발생했어요. 13곳은 빠르게 진화 됐지만 강원도 강릉시와 삼척시, 그리고 경 ... ...
- Part 5. 숲 속의 다람쥐는 언제쯤 돌아올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산불 이후 동물들이 다시 숲으로 돌아오는 것은 숲의 회복에서 중요한 부분이랍니다.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 권태성 박사는 1996년 고성 산불이 난 직후부터 개미의 변화를 살펴봤어요. 산불이 났을 때 개미들은 땅속 깊은 곳에서 활동 중이라 피해를 많이 입지 않았어요. 하지만 이내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