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둘"(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좀비의 공격에서 살아남으려면?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알아낸다. 감염자는 회복하면 다시 정상인이 되고, 죽으면 사망자가 되기 때문에 이 둘의 관계만 방정식으로 나타내면 된다.그런데 좀비 전염병 모델에서는 죽은 사람이 부활해 좀비가 되기 때문에 사망자에서 좀비가 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또 사망자에는 죽은 좀비도 포함된다. 연구팀은 좀비의 ... ...
- [Knowledge] ‘불청객’ 동물이 남긴 단서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매우 비슷해 보일 때도 있다. 특히 시간이 흘러 시체가 더 많이 훼손되고 흩어지게 되면 둘을 구분하는 게 점점 더 힘들어진다.동물에 의한 훼손 흔적을 분간해 낼 수 없다면 어떤 손상이 사람에 의한 것인지도 정확히 판단할 수 없다. 이런 상황에선 수사의 방향을 잘못 정하거나 중요한 단서를 놓칠 ... ...
- [Tech & Fun] 익스팬스, 깨어난 괴물의 습격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수 있을까요.사람을 감염시키는 병원체는 크게 세균(박테리아)과 바이러스가 있습니다. 둘 모두 유전 물질인 DNA(혹은 RNA)를 가지고 있죠. 하지만 균은 독자적으로 살아나갈 수 있는 생명체고, 바이러스는 숙주가 없으면 물질대사를 전혀 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큽니다. 바이러스의 숙주는 균일 ... ...
- [Career] “궁금증이 내 연구의 원동력”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외롭고 막막했죠. 그러나 이제는 제가 뼈대를 쌓은 건물의 빈틈을 젊은 과학자들이 하나둘씩 채워가고 있습니다. 호텔을 처음 세우는 것만큼 중요하고 대단한 일입니다.”호기심이 가리키는 마음의 길다음 날인 6월 1일 오전 10시,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성균관대새천년홀에 치에하노베르 교수의 ...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들어 알파고1은 공격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알파고2는 방어를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해요. 둘의 대결 끝에 알파고1이 이겼다면, 알파고는 공격 전략을 더 중요히 여기게 되지요.이번에는 알파고1과 알파고3이 다시 대국해요. 알파고3은 방어하는 척하다가 공격하는 전략을 써서 알파고1을 이겨요. 그 ... ...
- Part 1. 인공지능, 바둑에 도전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있는 자리는 19×19=361개예요. 다음 차례인 백의 자리는 하나가 줄어든 360개가 되겠죠? 이 둘의 조합이 만들 수 있는 경우의 수는 361×360=12만 9960개예요. 다시 흑이 놓이는 경우의 수까지 계산하면 4665만 5640이라는 어마어마한 수가 나와요.결국 바둑판에서 대결을 펼치는 경우의 수는 최대 250150이라는 ... ...
- [Knowledge] “어떻게 내가 너의 우산이 돼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보는 두 가지 동등한 방법이다. 둘 다 해밀턴의 규칙이라는 같은 결과를 낸다. 둘 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만드는 유전자가 남기는 복제본의 개수를 정확히 세도록 해준다. 즉, 자연 선택은 각 개체의 포괄-적합도(혹은 이웃-조정 적합도)를 최대화한다.여기까지 이해했다면 일단 핵심은 파악한 셈이다. ... ...
- [Tech & Fun] 음료만 마셔도 릴렉스~ 된다고요?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수 있도록 하는 이완음료(relaxation drink)’라고 분명히 선을 긋고 있다. 수면과 이완, 이 둘은 무엇이 다른 걸까.성난 황소를 잠재울 생기 없는 암소슬로우 카우가 출시된 것은 2008년. 에너지음료인 ‘레드 불(Red Bull)’과 정반대의 음료를 개발하고자 캐나다의 세 친구가 합심했다. 제품 이름뿐만 ... ...
- [News & Issue] 웨어러블 미생물 전지 시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양말의 종아리 부분 뼈대에 두른 뒤, 전지에 연결된 고무 튜브들을 발바닥 밑으로 둘렀다. 각 튜브는 양말 밑바닥에 있는 오줌 주머니를 통과하게 했다.착용자가 양말을 신고 걸으면 발뒤꿈치에 있는 펌프가 눌리면서 오줌이 24개의 고무 튜브 회로를 순환한다. 오줌이 미생물 연료전지를 지나가면 ...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그제야 알겠더라고요. 신경을 감싼 관이 두툼해서 힘을 한참 줘야 뚫립니다. 신경 다발을 둘러싼 관을 뚫을 기계를 추가로 개발해야만 하는 거죠.”공공 의료복지 차원에서 접근해야연구단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바이오 메카트로닉스와 재활 및 수술 로봇에 관한 원천 특허를 확보할 계획이다. 또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