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둘"(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아이를 잃은 엄마의 차가운 복수 '고백'의 '우유 살인사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확인할 수 있죠. 혈액은 나트륨 이온과 칼륨 이온 등이 많이 함유된 극성 물질입니다. 이 둘이 만나면 제대로 섞이지 않고, 무극성 물질들끼리 뭉쳐 덩어리질 확률이 높습니다. 만약 두 학생 중에 한 명이라도 우유의 상태를 확인했거나, 마시면서 덩어리를 느꼈다면 유코의 복수는 실패로 돌아갑니다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악기 없이 음악 연주하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달라져요. 진동수가 클수록 높은소리가, 작을수록 낮은 소리가 난답니다. 힌트 둘. 음의 높이와 간격을 찾아라!각각 높이가 다른 소리를 모은 것을 ‘음계’라고 해요. 다장조의 ‘도’부터 다음 ‘도’까지 8개의 소리가 모인 것이 ‘8음계’지요. 여러 가지 장조나 단조는 이 8음계의 시작하는 ... ...
- [재미] 10화 거북과 달리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나아간다. 아킬레스가 거북이 움직인 만큼을 또 따라잡아도, 거북도 앞으로 이동하니 둘의 간격은 좁혀지더라도 거북이 여전히 앞선다. 즉, 아킬레스가 거북이 있던 위치에 오게 돼도, 그 사이에 거북도 조금씩 앞서 나가는 것이다. 이런 식이면 제아무리 발이 빠른 아킬레스라도 거북을 영원히 ... ...
- [수학동아클리닉] 도형의 닮음을 이용한 시어핀스키 피라미드 만들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제작된다. 정교한 모형은 실제 건축물의 구조와 디자인이 어떤지 알 수 있게 한다. 이 둘은 서로 닮은 도형이다. 자기 자신과 닮은 도형은 어떤 것이 있을까? 닮은 도형에 대한 호기심을 넓혀서 시어핀스키 피라미드를 만들어보고 그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지식과 기억은 설명을 듣기만 해서는 ... ...
- [Knowledge] 수컷 침팬지는 폭력의 대명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다양한 환경에 적응해 살고 있지만, 보노보는 콩고강 남쪽 일부 지역에서만 산다. 둘의 유전자가 워낙 비슷해 잡종이 생겼을 법도 한데, 보노보의 서식지가 워낙 고립돼 있다 보니 야생상태에서 잡종은 아직 단 한 건도 보고되지 않았다.혹시 잡종 가능성이 있을까. 이를 밝히기 위해 영장류학자들이 ...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결과를 확인한 몇 개체가 그 규칙을 어기려 들었어요. 겨우 되살려낸 종족이 자멸하게 둘 수는 없다고 주장했죠. 그건 진심이었을 수도 있고, 당신들에게 조상의 문화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거꾸로 물든 결과일 수도 있어요. 그 중 몇 사람이 이 나라의 핵무기 관제소를 장악하려 시도했어요. 핵 ...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낮아 이주가 자유롭게 이뤄지는 종에서는 경쟁이 심하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측했다.둘째, 혈연 식별이 협력자 ‘끼리끼리’를 만든다. 개체는 유전적 또는 환경적 단서를 활용해 자신과 족보를 통한 혈연관계를 맺은 상대방이 누군지 알아내서 그 개체에만 선별적으로 도움을 베풀 수 있다. 많은 ...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한자어를 그대로 풀이하면 ‘섞고 합한 물질’이라는 뜻이지요. 과학에서 혼합물은 ‘둘 이상의 물질이 각각의 성질을 지니면서 뒤섞여 있는 물질’을 말해요.‘섞을 혼(混)’은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물수))과 음을 나타내는 ‘뒤섞일 혼(昆)’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뒤섞일 혼(昆)’에는 ... ...
- [지식] 수학 잘하는 방법이 궁금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한명이다. 원래는 대학에서 물리학을 공부하려고 했지만, 결국 수학자가 됐다. 언뜻 보면 둘 다 직관과 논리력이 필요하고 수식을 도구로 사용하는 학문이라는 점에서 비슷해 보이는데, 무엇이 다를까?“제가 생각했을 때 물리학은 직관이 더 중요하고, 수학은 논리력이 더 중요해요.”물리학에는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오히려 이상하게 여긴다”고 말했다.건물 2층의 한쪽 끝에는 강당이 있는데, 매년 10월 둘째 주 이 곳에서 프랜시스 크릭의 이름을 딴 ‘크릭 주간’이라는 행사가 열린다. 크릭 주간에는 56개의 모든 연구 그룹이 돌아가면서 자신들의 연구 현황을 발표한다. 남의 연구에 얼마나 관심을 가질까 ... ...
이전95969798991001011021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