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포"(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 [과학뉴스] ‘뇌 하수구’로 치매 해결책 찾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들면 노화 현상으로 뇌 신경세포 안팎에 노폐물인 단백질이 쌓이면서 알츠하이머성 치매가 생길 수 있다. 지금까지 이 노폐물이 왜 쌓이는지, 어떻게 하면 없앨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오리무중이었다. 그런데 최근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신경질환및뇌졸중연구소(NINDS) 연구진이 건강한 ...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아니다”라고 말했다. 실제 황우석 박사의 논문조작 사건 당시에도 학계에서는 “인간의 세포에서 처녀생식이 일어났다는 사실만 가지고 논문을 발표했어도 큰 주목을 받았을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그만큼 드문 현상이라는 의미다. 박 연구위원은 “유전자 교정을 한 배아에서 정자의 ... ...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한다. 저명한 뇌공학자인 에드워드 보이든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는 “신경세포와 반도체 칩을 연결해 새로운 지능을 만들어 내는 것이 다음 세기 뇌 연구의 주요 목표가 될 것”이라고 예견했다. 사이보그라는 캐릭터에 투영된 인간의 상상력을 현실로 만드는 일은 이 글을 읽는 바로 ... ...
-
- Intro. [프리미엄 리포트] 2017 노벨과학상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후 2016년 발견이 공식적으로 인정됐고, 올해 물리학상 수상에 성공했다. 유도만능줄기세포(iPSC)이후 최근 가장 많은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는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는 생리의학상 수상에 실패(?)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현재 특허권을 둘러싸고 법적 분쟁이 진행 중이다.특허권 분쟁은 ... ...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과학동아 l2017년 11호
- PD-1, PD-L1, CTLA-4 같은 면역 관문을 확인했다. 그리고 이를 억제하는 약을 개발했다. 암세포의 ‘무기’를 빼앗은 셈이다. ‘펨브롤리주맙’은 PD-L1을 타깃으로 하는 대표 약물로, 이를 사용한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간에 이어 뇌까지 전이됐던 흑색종을 완치했다고 2015년 말 밝혀 화제가 되기도 ...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가설로는 발생 초기에는 세포분열이 너무 빨라서 유전물질이 발현될 시간이 부족하고, 세포분열의 속도가 느려지면 비로소 유전물질이 발현된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어쨌든 분명한 것은 수정란의 유전물질이 활발하게 발현되는 시기와 난자의 RNA가 분해되는 시기가 겹친다는 사실입니다. 분해되는 ... ...
-
- [과학뉴스] 빨리 배부르고 싶다면 OOOO 먹어라!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렌틸콩, 아몬드 등이 이에 속한다. 니콜라스 데일 신경과학과 교수는 “띠뇌실막세포의 새로운 역할을 찾아냈을 뿐 아니라 건강하게 체중을 감량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doi:10.1016/j.molmet.2017.08.01 ... ...
-
- [Culture] 트라우마 극복법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기억과 트라우마의 관계를 통해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방법을 연구해왔다. 최근에는 세포와 분자 수준에서 트라우마가 생기는 메커니즘을 연구해, 생리학적으로 이를 극복하는 방법이 발표됐다(doi:10.1038/nrn3339). 지난 30년 동안 트라우마에 대한 연구 논문은 수천 편이 쏟아져 나왔지만, 안타깝게도 ... ...
-
- [Career] 국내 뇌과학 연구의 미래를 엿보다 고려대 ‘뉴런(NEW LEARN)’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동아리다. 뇌와 관련된 것이라면 무엇이든 탐구한다. 뇌 신경세포인 ‘뉴런(neuron)’과 한국어 발음이 비슷하면서도 끊임없이 배움을 추구하겠다는 의미를 담아 동아리 이름을 ‘뉴런(NEW LEARN)’으로 지었다. ‘뉴런’ 1호 발간하고 2호 준비뉴런은 2014년 작은 스터디 ...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금강 미호천에서 처음 발견된 미호종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용해서 인공적으로 증식시키는 기술을 개발한 거예요. 연구팀은 미호종개의 생식줄기세포를 대리모인 미꾸라지에 이식해서 치어 7576마리를 얻었어요. 앞으로 연구팀은 이 치어를 자연 생태계에 방류하기 위해 계속 연구할 예정이랍니다.하지만 하천이 오염되면 인공 증식으로 태어난 미호종개도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