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포"(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생체시계 유전자에 의해 만들어진 ‘타임리스 단백질’이 피어리어드 단백질을 끌고 세포핵 안으로 들어간다. 그 결과 피어리어드 유전자의 전사 과정이 방해를 받게 된다. 이에 따라 피어리어드 mRNA와 단백질의 양이 감소하고, 피어리어드 유전자의 전사가 다시 활성화된다. 이 과정이 24시간을 ... ...
- [Culture] 트라우마 극복법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기억과 트라우마의 관계를 통해 트라우마를 극복하는 방법을 연구해왔다. 최근에는 세포와 분자 수준에서 트라우마가 생기는 메커니즘을 연구해, 생리학적으로 이를 극복하는 방법이 발표됐다(doi:10.1038/nrn3339). 지난 30년 동안 트라우마에 대한 연구 논문은 수천 편이 쏟아져 나왔지만, 안타깝게도 ... ...
- Part 4. 미세 플라스틱 독성 물질을 끌어당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작은 플라스틱은 세포의 막을 통과할 수도 있지요. 만약 독성을 가진 나노 플라스틱이 세포막을 통과해 몸이나 뇌 속 더 깊은 곳까지 들어간다면, 건강에 더욱 더 나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요.◀석유에서 처음 만들어진 플라스틱 기본 재료인 플라스틱 펠릿.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과학뉴스] 유리도 3D 프린터로 인쇄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세라믹, 금속은 물론 세포와 음식까지…! 3D 프린터로 인쇄할 수 있는 영역이 점점 넓어지고 있어요. 이제는 유리도 3D 프린터로 만들 수 있게 됐답니다.최근 독일 카를스루에공과대학교 연구팀은 ‘액체 유리’를 개발하고, 3D 프린터로 유리로 된 물체를 찍는 데 성공 했어요. 액체 유리에는 유리의 ... ...
- Part 1. 채소왕 시금치의 특별한 프로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활성산소의 양이 늘어나지요. 활성산소에 의해 손상된 세포들은 노화되거나 심하면 암세포로 변하기도 한답니다.육홍선 교수는 “시금치를 무칠 때 사용되는 참기름이나 마늘 속 영양분을 같이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건강에 더 유익할 것”이라고 말했어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인공 ... ...
- Part 2. “털! 이번 生엔 널 없애기로 했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어쩐지 볼은 깨끗해졌네’라는 반응이 돌아온다. 박 원장은 “레이저 공격에도 모낭세포가 죽지 않을 수 있다”며 “몸에서 재생 또는 치유작용이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을 두고 여러 차례 반복적으로 시술을 받는 게 좋다”고 말했다. 기자는 총 20회 시술을 결심했다. 그러니 아직은 더 ... ...
- Part 4. 떠오르는 대세 ‘코스메슈티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피뿌리풀 추출물이 피부 주름을 개선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세포 실험에서 레티놀 등 현재 주름개선 화장품에 주로 들어가는 성분들과 비교한 결과 주름 형성을 촉진하는 효소(MMP1)의 분비를 억제하는 효과가 가장 좋았다. 노 책임연구원은 “피뿌리풀 추출물을 피부 노화 개선 ... ...
- [Origin] 쇼미더맛 제6의 맛 쟁탈전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박사는 사람들이 칼슘맛에 묘하게 끌리면서도 쓰다고 불쾌해하는 이유에 대해 “칼슘은 세포 간 신호 전달이나 뼈 성장 등 우리 몸에서 꼭 필요한 성분이지만 지나치면 오히려 신장 결석이나 심장질환 등 부작용을 일으킨다”며 “미량만 섭취해도 충분하기 때문에 단맛을 내는 포도당이나 짠맛을 ... ...
- [Origin] 모세혈관 따라 10만km ‘건강 게이트키퍼’ 모세혈관 총정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있다. 파골세포가 성장판의 연골 끝부분을 없애고, 혈관이 아치형으로 자라나며, 조골세포가 새로운 뼈를 만들기를 반복하면서 뼈가 자란다(왼쪽 사진). 속이 비어 있는 탑을 올리는 과정에 비유하자면, 천장을 없애고 새 벽과 새 천장 쌓기를 계속하는 셈이다. 뼈는 연골상태로 만들어지는데, 갓 ... ...
- [Culture] 원본 증명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보였습니다. 물리적인 실체가 있는 방식이든, 혹은 정보 형태로만 존재하는 것이든, 뇌세포의 연결망을 그대로 복사해서 다른 곳으로 옮긴다는 발상은 실은 디지털 문명 시대의 “전송”과 전혀 다를 바 없는 행위로 보였다는 뜻입니다. 존재를 옮기는 게 아니라 똑같은 존재 하나가 더 생겨났다는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