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숫자"(으)로 총 2,830건 검색되었습니다.
-
- [hot science] 포스트시즌의 세가지 미신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담장을 직접 넘겨버리는 롱 볼이 더 유리했던 것이다.올 시즌 한국 프로야구에서 기옌 숫자가 가장 높은 팀은 38.1의 넥센 히어로즈다. 2위는 NC 다이노스로 33.4다. 작아 보이지만 사실 꽤 큰 차이다. 벌써부터 이번 포스트시즌에서 넥센의 화력쇼가 기대된다(참고로 기자는 삼성 팬이다). [클러치 ... ...
-
- PART 1. 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없는 동물 종도 있다”고 반박했다. Y 염색체는 여전히 몰락하고 있다는 것이다.적은 숫자의 유전자가 성을 결정하는 데 관여하고, Y 염색체의 가장 중요한 정보가 성을 결정하는 것이라면, Y 염색체는 궁극적으로 진화를 통해 소멸될 수도 있다. 다만 아직 Y 염색체에 있는 모든 유전자가 밝혀지지 ... ...
-
- 비정상 회담 한국어 유창한 G11 비정상인가요?수학동아 l2014년 10호
- 결과가 미국에서 나와 화제였다. 미국 노스웨스턴대와 텍사스 A&M대학 연구팀은 영어로 숫자를 셀 때 사용하는 언어가 24개 이상인 반면, 한국어로 수를 세는 데에 필요한 단어는 10개에 불과하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하지만 전문가들은 이견이 분분하다. 서울대 언어학과 권재일 교수는 “한국어의 ... ...
-
- [재미] 10회 천재작곡가, 사건의 실마리를 제공하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메일을 기다리다!수의 규칙을 찾는 퍼즐은 퍼즐 해결사 소마의 주특기. 소마는 4개의 숫자로 이뤄진 수의 규칙을 찾기 위해 집중했고, 뭔가를 알아내고는 큰 소리로 말을 꺼냈다.“규칙은 바로 ○○○○ 수열이에요. 그렇다면 이장이 5월 10일 이후로 곡을 보낼 날은 10월 1일. 오…, 오늘이에요 ... ...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수학동아 l2014년 10호
- 논리적인 추론이 자연스럽게 녹아 있다”며, “누구나 퍼즐을 풀어볼 수 있기 때문에 숫자를 다루는 감각을 익히는 데 적합하다”고 복면산의 매력을 설명했다.본문의 복면산 해답SEND + MORE = MONEY▶ 9567 + 1085 = 10652THREE + THREE + TWO + TWO + ONE = ELEVEN▶ 84611 + 84611 + ...
-
- 어린이만큼 똑똑한 돌고래와 원숭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것을 도와드릴게요. 그런데 잠깐! 지금은 숫자를 공부하러 가야 해요. 리빙스턴 박사님이 숫자 문제를 잘 맞힐 때마다 먹이를 주시거든요. 제가 덧셈, 뺄셈뿐만 아니라 곱하기와 나누기도 가능해질 때까지 기다려 주세요. 그럼 저는 이만 산수공부를 하러 갈게요. 안녕~ ... ...
-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아리스토텔레스는 세상에 약 550종의 동물 이 살고 있다고 믿었다. 당시에는 그것도 많은 숫자였다. 2000년이 지나 18세기에 이르자 현대 생물분류학이 체계를 갖 추기 시작한다. 스웨덴의 칼 폰 린네는 당시까지 알려진 식물 8500종과 동물 4200종 등 총 1만2700종의 생물을 처음으로 정 리해 '신종헌터의 ... ...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콜로라다 섬 한 곳에만 약 2만 종의 곤충이 산다. 유럽 전역에 서식하는 곤충과 맞먹는 숫자다. 21세기 다윈, 공기통 메고 바다로 뛰어들다 "신종 찾을 때 뭐가 가장 힘드신가요?" 식상한 질문에 엉뚱한 대답이 돌아왔다. "너무 추워요." 때는 바야흐로 초복을 사흘 앞둔 7월 15일. 양양군 남애항에서 ... ...
-
- [2030 인류, 화성에 가다] 화성 올림픽 폐막 파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선외활동복의 압력과 온도를 보여주는 계기판이 있는데, 몸을 구부려 볼 수 없다 보니 숫자를 거꾸로 표시한 뒤 왼쪽 손목에 있는 거울로 봐야 했다. 이런 옷을 입고 운동을 하는 것은 꿈도 꿀 수 없었다.해결의 실마리는 단순한 아이디어에서 나왔다. 이미 오랜 세월 다양한 용도로 사용돼온 ... ...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부터다. 따뜻한 국물과 건더기를 먹는 습관이 생기면서 숟가락의 숫자가 폭발적으로 늘어난다.숟가락이 고려 후기에서야 널리 쓰였다면 숟가락 없이 뜨거운 밥을 어떻게 먹었을까? 믿기 어렵겠지만 조선 시대 이전까지 대부분의 백성들이 쌀밥을 먹지 못했기 때문에 숟가락이 ... ...
이전991001011021031041051061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