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후
d라이브러리
"
이래
"(으)로 총 1,260건 검색되었습니다.
청동기와 거푸집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황동이 놋(鍮)으로 잘못 알려진 때가 있었다. 통일신라 때부터 그릇의 소재가 된
이래
로, 고려와 조선시대에 이르는 동안 한국인의 전통적 식기로 오랫 동안 사랑을 받아온 놋그릇은 구리와 주석을 75 대(対) 25 또는 80 대 20의 비율로 섞은 청동합금인 향동(響銅), 바로 그것이다. 조선시대 문헌에 ... ...
바이오에틱스, 마침내 수면 위로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계약에 의해 자궁을 빌려주는 대리모가 이미 상당수 있으며 이 회사에서만도 지난 83년
이래
3백여명의 아이를 탄생시켰다는 것이다. 또 이같은 대리모 출산에 따른 모든 경제적 법적 사항을 전담해서 주선해주는 변호사도 상당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세계각국은 시험관 아기시대의 부작용을 ... ...
국내 HDTV 어떻게 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있는 HDTV는 흑백TV 컬러TV에 이어 제3세대TV로서 주목받고 있다. 혹자는 브라운관 발명
이래
최고의 기술발전이라는 찬사를 아끼지 않을 정도.현재의 TV보다 주사선수를 2배 늘리고(1천1백25) 화면의 가로 세로 비율을 3대4에서 3대5 또는 9대16으로 확대시킨 HDTV는 높은 선명도의 화면과 서라운드형의 ... ...
사하로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 최근에야 밝혀진 것이다. 사하로프가 중력이론을 발표한
이래
22년의 세월이 흐른 최근에서야 소립자이론의 통일이나 중력을 포함한 통일이론의 전개를 통해 이 이론은 차츰차츰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반물질이 적은 이유는?한편 같은 해 사하로프는 "무슨 이유로 ... ...
생물의 명멸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대두된 것은 분명하나, 아직도 많은 의문이 남아 있다.지구는 다세포생물이 등장한
이래
5차레의 대멸종기와 수십차례의 소멸종기를 맞았었다. 그렇다면 알바레즈의 이론은 백악기사태라는 특별한 사건에만 적용되는 특수이론인가, 아니면 모든 사건을 설명해주는 일반이론인가? 또 대멸종은 ... ...
80년대의 한국 과학·기술 양과 질에서 눈부신 변화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되고 기술개발노력에 힘을 기울이기 시작했다.세계 반도체시장의 5% 점유80년대초
이래
의 기업의 적극적인 기술개발노력의 결실은 80년대 중반부터 첨단기술 제품분야에서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예컨대 전자공업제품의 핵심인 반도체의 경우 최첨단제품인 메가디램급의 기억용 칩을 양산하는 ... ...
환경파괴, 전지구적 규모로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컴퓨터분석으로 그런 잘못된 결론을 얻은 것이다. 88년에는 기온이 측정되기 시작한
이래
가장 높은 기온을 기록했고 일부지역에 극심한 가뭄이 있었지만 온실효과에 대해 의심쩍어하는 학자들이 상당수 있다. 적어도 앞으로 5~10년이 지나야 온실효과에 의한 것인지 분명하게 판명될 것이라는 ... ...
입자물리학과 우주의 이해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938년 '한스 베테'에 의해 태양은 핵융합에 의해 열과 빛을 내고 있다는 것이 밝혀진
이래
태양의 핵융합에 관한 자세한 내용이 많이 밝혀졌다. 그러나 최근 의문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태양의 중심부에 있는 양자는 계속 중성자로 바뀌는데 이때 양전자(반전자)와 중성미자가 생겨난다. 양전자는 곧 ... ...
80년대 사건과 과학자의 양심 용기, 비열, 얼버무림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과학기술자의 윤리적 갈등은 그와 같은 개인의 도덕적 차원에 머무르지 않는다. 18세기
이래
과학기술은 산업발달과 국가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 세계의 모든 사회에서 과학 기술자는 그들의 전문적 지식을 제공하여 그 대가를 얻어먹고 살게 되어 있다. 그 대신 그들의 지식은 정치 경제 행정 군사 ... ...
멸종과 생존의 긴 역사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오늘날 생명을 멸종시키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바로 우리 인간이다. 인간은 유사
이래
육지에서 바다에서 광범위한 남획을 저질러 왔다. 또 세계 도처에서 광대한 삼림지대를 개척. 그곳의 식물은 물론이고 동물도 함께 없애버렸다.해변가에서의 매립이나 간척도 마찬가지이다. 인간이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