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후
d라이브러리
"
이래
"(으)로 총 1,260건 검색되었습니다.
「흥수아이」를 통해 살펴본 한반도의 구석기 인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나온 흥수굴이 속한 두루봉유적(충북 청원군 가덕면 노현리 소재)은 76년 7월 첫발굴된
이래
가장 많은 구석기 유물들이 쏟아져 나와 '구석기유적의 보고(寶庫)'로 손꼽힌다. 충북지방은 원래 석회암동굴이 많아 토양성격이 알칼리성으로 유물의 보존상태가 양호하므로 고고학자들의 주목을 ... ...
TDX-1B개통을 계기로 본 국산 전자교환기의 역사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교환기의 근대화는 급진전을 보게된다. EMD교환기는 60년 용산전화국에 첫 설치된
이래
공전식과 스트로우저식을 보급회선수에서 앞지르기 시작했다. 당시 국내에서는 동양정밀과 금성통신이 외국과 기술제휴를 맺고 스트로우저식과 EMD교환기를 각각 조립생산하는 단계에 있었다.70년대에 와서 우리 ... ...
한국경제신문·공병우씨·덕수상고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공병우씨(83·한글문화원장)는 49년 현대식 한글타자기(일명 공병우식타자기)를 발명한
이래
40년동안 한글자판연구에 많은 업적을 남겼다.덕수상고는 70년부터 전산교육을 시작해 학교컴퓨터교육의 선구자적 역할을 해왔을 뿐 아니라 서울시교위및 중·고등학교 업무전산화에도 기여해온 바가 크다 ... ...
오랜 전쟁에 시달리다 통일된 나라 베트남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세운 것이다.하노이는 실로 오래된 도시다. 9세기말에 '탄론'이란 이름으로 왕도가 된
이래
수많은 영광의 흔적을 지니고 있다.그런만큼 사원이 많이 있다. 캄보디아의 '앙코르 와트'에는 비길 수 없으나 중국식의 대승불교사원이 볼만하다. 망고나무 그늘에 싸인 '콴탄'사원, 옛날의 민중지도자 ... ...
기적의 에너지 시대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평가했다.전기화학적인 방법을 통한 상온에서의 핵융합실험은 '폰스'교수의 발표
이래
, 우리나라를 비롯 일본 이탈리아 소련 등 10여개국에서 실험을 재현해내고 있다. 그러나 과연 이것이 핵융합반응인지 여부와 초과에너지가 발생했는지에 대해서는 확실치 않다.아무튼 실험이 이론으로 정착되는 ... ...
왜 아픈가?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중추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신경전달물질이 분비되면 통증이 감소되거나 소멸된다.1975년
이래
여러 종류의 엔돌핀이 발견되었다. 일반적으로 몸안에 있는 진통발현물질을 엔돌핀이라고 부르는데, 이들은 모두 β-lipotropine(β-LPH)의 일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엔돌핀은 αβγ 및 σ가 각각 분리되었으며 ... ...
스모그규제 20년, 한계에 봉착하다.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주장도 있다. 그러나 이는 아직 요원한 일.미국에서는 1970년 '공기청정법'이 발효된
이래
자동차당 탄화수소·일산화탄소 등의 배기물 방출량은 75~90%까지 낮아졌다. 그러나 지난 10년동안 자동차수 25%이상 증가한 점을 감안하면 결코 대기오염상태는 현상유지는 됐을 망정 개선되었다고 말할 수는 ... ...
예수의 수의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남은 반은 다시 5천7백년이 지나면 붕괴되며, 그런 식의 붕괴를 계속한다.지구가 생성된
이래
로 수십억년이 자났다는 것을 고려해 볼 때, 지구 생성초기에 존재했던 탄소14는 오래 전에 붕괴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지구의 대기권에서 우주선에 의해 원자들이 충격을 받아 새로운 탄소14가 항상 ... ...
50만원 PC, 언제 출현할까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예측한다.10년새 가격은 5분의 1이하로이러한 사실은 80년대초 국내에 PC가 첫 등장한
이래
그 가격의 변화과정을 유심히 살펴보면 확연해진다. 83년 처음으로 'PC붐'이 일어나 너도 나도 앞을 다투어 컴퓨터를 구입할때 당시 주종을 이루었던 애플기종등 8비트 PC의 가격은 보통 2백만원을 웃돌았다. ... ...
AIDS보다 무서운 질병 유행성출혈열과의 한판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파괴돼 소변도 볼 수 없었던 이 무서운 질병의 이름이 몇해 전에 확정되었다. 1913년
이래
출혈성신우염, 유행성출혈열 또는 한국형출혈열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우다가 1982년 세계보건기구에 의하여 신(腎)증후출혈열로 통일 된 것이다.그 이유는 이렇다. 1976년 나와 우리 연구팀은 유행성출혈열의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