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2020 노벨상] 화학상│ 박테리아는 어떻게 침입자의 DNA를 자를까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따른다. 노벨위원회 역시 10월 7일 수상자 발표에서 유전자 가위는 인류에 많은 혜택을
줄
수 있지만 ‘유전자 조작 아기’를 만드는 것처럼 오용 가능성도 존재한다며 유전자 가위에 적절한 규제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그럼에도 유전자 가위 기술의 중요성은 그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잘못된 ... ...
[수학자 인터뷰] “수학은 세상에 대한 이해”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개체가 결국은 집합’이라는 그들의 아이디어가 독자에게 새로운 수학적 사고를 깨워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에게 이토록 열정적으로 대중과 소통하는 이유를 물었다. “재밌어서”라는 간단한 답이 돌아왔다. 그는 “다양한 사람들과 새로운 대화를 하는 것을 즐긴다”며 “잘 모르고 ... ...
[아무나 못하는 팩트체크] 끊이지 않는 환절기 비염, 이유가 뭘까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반응을 더 민감하게 만들 수 있다”며 “염증을 강화 또는 약화하는 데 장기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식단 관리가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 ...
[어과동 PICK] 예술이 된 우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레일리 국장은 “이 지도는 달의 기원과 시대에 따른 달의 변화 모습을 연구할 때 도움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미래 유인 달 탐사 임무에도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필즈상과 노벨상 수상 비법 공개 질문이 위대한 발견 낳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11호
많은 사례가 있지만 특별히 2014년 서울 세계수학자대회에서 필즈상을 수상한 만
줄
바르가바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 석좌교수의 이야기를 소개하겠습니다.바르가바 교수는 가장 오래된 수학 분야라고 할 수 있는 정수론에서 획기적인 성과를 거둬 필즈상 수상자로 선정됐습니다. 주요 업적은 ... ...
[한페이지 뉴스]사막 공기에서 물을 뽑을 수 있을까? “YES”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10~20%인 건조한 공기 중에서도 물을 추출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
줄
’ 10월 14일자에 발표했다. 우리나라가 가장 건조해지는 3~4월 전국 평균 상대습도가 이보다 높은 50~70%인 것을 고려하면, 국내에서는 거의 모든 지역에서 물을 얻을 수 있는 셈이다.연구팀은 낮과 밤의 기온 및 ... ...
코로나19 덕분에 vs. 때문에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0.1126/science.abb8905 온실가스는 다시 증가 올해 4월까지는 공기 중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줄
어들었다. 하지만 통합 탄소 관측 시스템(ICOS)에 따르면 6월에 접어들며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다시 늘기 시작했다. 전 세계 6월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작년의 95% 수준이다. 관측시스템 구축에 참여했던 코리네 ... ...
[2020 노벨상] 물리학상│보이지 않는 블랙홀이 생길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내지 않는 별 410만 개가 존재해야 한다. Sgr A*에서 S0-2까지 태양 410만 개를 다닥다닥 한
줄
로 세워야 할 정도로 작은 공간이다. 더불어 이 별들은 빛을 방출하지 않아야 한다.만약 그런 별들이 존재한다고 해도 수백만 개의 별이 좁은 공간에 모여 있으면 역학적으로 매우 불안정해 흩어질 수밖에 없다. ... ...
Science Future│ 현실에 나타난 SF 과학기술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014년부터 연재 중인(현재 휴재 중) 웹툰 ‘좋아하면 울리는’은 좋아하면 울리는 알람,
줄
여서 ‘좋알람(조.알.람. 이라고 발음한다)’이란 애플리케이션(앱)이 개발되면서 벌어지는 일화를 담았다. 이 앱을 실행하면 나를 연애 감정으로 좋아하는 사람이 반경 10m 안에 들어오는 순간, 알람이 울린다 ... ...
[가상인터뷰] 외계행성 찾아 떠난 위성 ‘키옵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0호
11b’를 관찰했어. 켈트-11b가 항성 앞을 지나갈 때 키옵스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얼마나
줄
었는지 살펴봤고, 이 관측 결과로 켈트-11b의 지름이 18만 1600km에 달한다는 걸 알아냈어. 키옵스 프로젝트를 주도한 베른대학교 빌리 벤츠 박사는 “지구에서 잰 것보다 5배는 더 정확한 수치”라고 말했지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