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줄"(으)로 총 6,865건 검색되었습니다.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의미하는 접미사인 ‘온(-on)’을 더해 만들어진 이름이랍니다.강한 핵력은 쿼크를 묶어줄 뿐 아니라, 같은 전하라서 서로 밀어내는 양성자도 함께 붙들어놓아 원자핵을 만든답니다. 강한 핵력은 전자기력보다 100배나 강하거든요. 강한 핵력이 없었다면 다양한 원소들도 탄생하지 못했을 거란 뜻이죠 ...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트윈데믹’이 올까봐서요. 실제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코로나19 전파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인플루엔자가 우리 몸을 코로나19 감염에 더 취약한 상태로 만들기 때문입니다. 트윈데믹, 백신, 재감염, 후유증. 여러분이 궁금해하는 4가지 주제로 코로나19 Q&A 리포트를 작성했습니다 ... ...
-
- 한글날특집 과학동아 l2020년 10호
- 12 결국 문학에서 사용한 심상이 독자의 뇌를 자극해 결과적으로 독자의 정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뜻이다.▪관련어: 정서, 공감각 의인화(擬人化) [의인화] 사람이 아닌 대상을 마치 사람처럼 대해 표현하는 방법을 의인화라고 한다. 독자들에게 대상에 대한 친근감을 유발해 심리적 ... ...
-
- [나의 일본유학일기] 만화로 배운 ‘오타쿠’ 일본어 친구들 힘입어 레벨 업!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기능이 잘 돼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일본인 중에서도 상용한자를 전부 쓰고 읽을 줄 아는 사람이 많지 않다고 한다. 오죽했으면 일본 게이오기주쿠대 최근 입시문제에 ‘이 대학의 이름을 한자로 쓰시오’가 나왔을까(참고로 정답은 ‘慶應義塾大学’다). 나도 평소에는 한자를 쓸 일이 많지 ... ...
-
- [특집] 더 큰 클라우드가 온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서비스가 필요하다”며 “초광역화가 가능한 멀티 클라우드 기술이 이를 해결해 줄 것”이라고 말했다. 멀티 클라우드는 전 세계 다양한 클라우드 공급자의 서비스를 동시에 쓸 수 있는 기술이다.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각각 가장 적합한 클라우드들을 선택해 상황에 맞게 유연하게 ... ...
-
- [인터뷰] 수학 증명 과정은 롤러코스터 타는 것과 같이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제공해요. 김 교수님은 “가장 멀다고도 할 수 있는 두 분야이기 때문에 사이를 이어줄 수 있는 도구가 생길 때마다 수학자들이 굉장히 재밌어하고 각 분야의 오래된 난제를 해결하는 데 새로운 시각을 주지 않을까 기대한다”고 설명했어요. 이번 난제의 해결로 또 다른 대수학, 해석학 난제들이 ... ...
-
- [아이돌 수학] AKMU와 작곡 속 수학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잘 알지만 음악은 잘 모르는 사람이 연주를 할 수 있는 방법이 또 있다. 악보를 볼 줄 몰라도 멋진 피아노곡을 칠 수 있는 ‘피보나치 수열 연주법’이다. 먼저 피보나치 수열은 0과 1로 시작해 바로 앞의 두 수를 더해서 다음 수를 만드는 수열로 0, 1, 1, 2, 3, …과 같이 전개된다. 피보나치 수열은 잎이 ... ...
-
- [서평] 언어가 뇌를, 뇌가 행동을 개조한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교수팀의 연구결과가 있다. 야콥스 교수팀은 모국어가 독일어면서 영어도 사용할 줄 아는 사람들에게 소설 ‘해리포터’를 읽게 했다. 그 사이 연구팀은 참가자들이 중립적 내용을 접할 때와 감정적 내용을 접할 때의 뇌 활동을 비교 측정했다. 결과는 분명했다. 편도체 등 감정 처리와 관련된 뇌 ... ...
-
- [별 헤는 수학] 태양 폭풍 감시자, 우주재해로부터 지구를 지켜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폭풍’이죠. 태양 폭풍은 태풍처럼 비바람을 동반하지는 않지만, 지구에 막대한 피해를 줄 수 있는 우주 기상 현상입니다. 비바람 대신 태양에서 방출된 전하를 띤 입자들이 빠르고 강한 속도로 지구로 몰아치거든요. 이때 심하면 지구의 통신망이나 전력망에 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결과 ... ...
-
- [가상인터뷰] 외계행성 찾아 떠난 위성 ‘키옵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11b’를 관찰했어. 켈트-11b가 항성 앞을 지나갈 때 키옵스로 들어오는 빛의 양이 얼마나 줄었는지 살펴봤고, 이 관측 결과로 켈트-11b의 지름이 18만 1600km에 달한다는 걸 알아냈어. 키옵스 프로젝트를 주도한 베른대학교 빌리 벤츠 박사는 “지구에서 잰 것보다 5배는 더 정확한 수치”라고 말했지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