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뉴스
"
개발
"(으)로 총 24,585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력발전소, 韓 최대 강점은 건설 시간 준수와 강력한 공급망"
동아사이언스
l
2025.03.19
가장 핵심이라는 설명이다. 국내 원자력규제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달 국산 SMR
개발
에 발맞춰 SMR 관련 심사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올해 핵심 추진 과제라고 밝힌 바 있다. 레이먼트 소장은 "한국과 영국은 모두 NEA나 IAEA의 회원국이기 때문에 양자 간 협력뿐 아니라 다자간에도 규제 협력을 ... ...
[과기원NOW] KAIST, 범용성 카이랄 나노 페인트 최초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3.19
4PACz 분자보다 더욱 정공 수송 성능을 높일 수 있도록 분자 구조를 설계한 Mes-4PACz를
개발
했다. 이 물질을 적용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기존 SAM보다 13% 이상 효율이 개선된 25.16%의 광전 변환 효율을 기록했다. 광안정성도 좋아져 500시간 동안 강력한 태양광에 노출하는 실험에서도 초기 효율의 ... ...
대학·출연연 인력·처우·정년 칸막이 허문다…2045년까지 우주인재 3만명 양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3.19
참여 등 세계 우주기관과의 연계 프로젝트를 진행해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는 프로그램도
개발
해 나갈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제4차 회의를 통해 인재양성전략회의 출범 당시 발표한 5대 핵심 첨단분야 중 마지막으로 항공·우주·미래모빌리티 분야의 인재양성방안이 발표돼 첨단분야 인재양성 전략 ... ...
"빛으로 뉴런 조작해 정신질환 치료…뇌 전극 삽입 뉴럴링크와는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5.03.19
빛을 비추기만 해도 뇌 심부에 위치한 뉴런을 자극할 수 있는 고감도 채널로돕신을
개발
하는 데 성공했다. 다이서로스 교수는 “이전에는 뇌에 수술적으로 광섬유를 삽입해야 했지만 이제는 발광다이오드(LED)을 통해 뇌 표면에서 깊은 뉴런까지 자극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광유전학 치료의 ... ...
찢어져도 10초 내 원상 복구되는 전자피부
동아사이언스
l
2025.03.19
10초 이내에 외부 자극 없이 80% 이상 기능을 회복하는 성능을 보였다. 연구팀이
개발
한 전자피부는 고온·고습·저온·수중 등 극한 환경에서도 근전도 및 심전도를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었다. 또 손상이 일어나 자가 치유를 한 뒤에도 신호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성능을 보였다. 연구팀은 ... ...
텔레픽스 AI 컴퓨터, 전세계 참고하는 NASA 기술동향 보고서 등재
동아사이언스
l
2025.03.19
데이터 처리 방식을 바꾸는 혁신적인 기술"이라며 "이번 NASA 보고서 등재는 텔레픽스가
개발
한 우주용 컴퓨팅 시스템이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실제 위성에서 운용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 ...
"도덕성 논란 한림원, 위상 회복할 것…폐쇄성보단 개방적 거버넌스 강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3.18
체계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 원장과 김 부원장은 지난해 연구
개발
(R&D) 예산 삭감 문제에 대해 한림원이 공개적인 목소리를 내지 않은 것에 대해 "문제가 있다"라고 말했다. 정 원장은 "R&D 예산이 삭감될 때 한림원이 현장의 목소리를 많이 듣고 전달해야 하는데 당시 제 역할을 ... ...
‘민·군 우주산업 표준화 포럼’ 출범…"우주부품 국산화·경쟁력 제고"
동아사이언스
l
2025.03.18
“민군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우주부품 표준화는 중복투자를 줄이고 기술
개발
효율성을 높이는 핵심 요소”라며 “포럼을 통해 군 정찰위성, 초소형 위성체계 등 국방우주사업의 부품 신뢰성을 확보하고 우주 국방기술의 민간 이전과 수출산업화를 촉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
탄소 흡수력 높인 미생물 나올까…광합성 미생물 유전자 가위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3.18
최초로 유전자 교정 대상 생물의 핵 내부 물질 전달 원리를 활용하여 유전자가위 기술을
개발
한 것"이라며 "광합성 미생물의 낮은 유전자 교정 효율이라는 큰 장애물을 넘는 데 필요한 핵심 기술로 광합성 미생물 기반 탄소저감 기술의 실현을 앞당기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 ...
전기차 주행거리 늘릴 양극재, 폭발 위험 잡는 설계론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25.03.18
개발
방향성을 제시했다"며 "에너지 밀도를 높인 폭발 없는 장거리 주행 배터리 소재
개발
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126/sciadv.adt023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