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발
개척
경제
연구
발달
발전
발육
뉴스
"
개발
"(으)로 총 24,57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포스텍, 새집증후군 잡는 '가스 골라내는 액정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가진 물질로 주변 환경에 따라 빛을 반사하거나 통과시키는 방식이 달라진다. 실험 결과
개발
된 센서는 새집증후군의 주요 원인인 아세트산에만 반응하고 다른 가스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스몰'에 최근 게재됐다 ... ...
[사이언스게시판] 2025년 AI연구용 컴퓨팅지원사업 사업설명회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인허가, 고온 초전도 자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가능성을 검토한다. 핵융합 실증로
개발
과정에서 필요한 추가 협력 분야를 발굴하기 위한 논의도 진행된다 ... ...
값싼 'DIY 공기청정기' 나왔다…"실내 먼지·꽃가루 걸러내"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1~3㎛ 입자가 제거된다는 것은 먼지, 꽃가루 등을 걸러낼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팀이
개발
한 필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효과가 감소했지만 크기가 큰 입자를 걸러내는 데는 헤파필터보다 나은 성능을 유지했다. 연구 기간이 길어질수록 작은 입자 또한 헤파필터와 경쟁적인 수준으로 성능이 ... ...
노르마, 경상국립대와 항공우주 시뮬레이션 분야 양자이득 실증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전산유체역학
개발
과 실증을 진행하고 항공우주, 국방 기업과 협력해 프로토타입을
개발
하고 이후 상용화를 통해 글로벌 방산과 우주 시장 진출하겠다는 계획이다. 전체 연구 기간은 5~8년으로 전망했다. 경상국립대 연구책임자인 명노신 교수는 선행 연구에서 비선형 버거스 방정식을 풀기 위한 ... ...
저전력으로 지하철 터널 초미세먼지 제거…"국민 편익 위한 기술
개발
"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20년 이상 정전기술을 연구해 온 기계연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미세먼지 저감기술을
개발
했고 2년간의 실증을 통해 그 안정성과 효과를 입증했다"며 "더 많은 공공시설에 확대 적용해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 ...
'뉴럴링크 칩' 뇌 이식 후 1년…"게임 실력 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칩'을 뇌에 삽입해 뇌파를 측정하고 이를 통해 컴퓨터를 작동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
했다. 아르보 씨는 다이빙 사고로 어깨 아래 모든 신체가 마비된 지 8년 만이던 2024년 1월 뉴럴링크의 BCI 칩을 뇌에 이식받았다. 뉴럴링크의 첫 번째 뇌 임플란트 사례였다. 같은 해 3월 뉴럴링크는 아르보 씨가 ... ...
'1000분의 1초' 동안 단백질 반응 포착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강진영 교수는 “이번 연구는 구조 생물학 및 신약
개발
, 효소 반응연구, 바이오 센서
개발
등 다양한 생명과학 및 의약 분야에서 패럴린 박막 소자의 폭넓은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이원희 교수는 “연구팀은 앞으로 이를 활용한 생화학 반응 연구와 더 빠른 반응 분석을 위한 성능 ... ...
빛의 미세한 변화, 메타표면 이용해 실시간 측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메타표면을 활용해 광스핀홀 효과를 한 장의 이미지로 실시간 정밀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
했다고 24일 밝혔다. 광스핀홀 효과는 빛이 물체 표면에서 반사되거나 방향이 바뀔 때 중심 위치가 미세하게 이동하는 현상이다. 초소형 광학 소자 및 정밀 측정 기술의 핵심 원리로 빔 분할기나 필터 등 다양한 ... ...
차세대 원자로 SFR 핵연료 피복관 난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핵심 기술로 자리 잡을 것"이라며 "차세대 원자로의 안전성을 강화할 핵연료 시스템
개발
에 전념하겠다"고 밝혔다. - doi.org/10.1016/j.jnucmat.2024.15536 ... ...
'터미네이터 T1000' 로봇처럼 좁은 틈 통과하는 '액체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5.03.24
걸음 더 나아가 음파나 전기장을 사용해 액체 로봇의 모양을 자유자재로 바꾸는 기술을
개발
중"이라고 설명했다. 공동 교신저자인 선정윤 교수는 "액체 로봇이 향후 산업 현장에서 보다 널리 활용되도록 재료의 기능성을 더 높일 계획"이라고 전했다. doi.org/10.1126/sciadv.adt5888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