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프라스틱
플래스틱
합성수지
플라스틱 제품
푸라스틱
plastic
뉴스
"
플라스틱
"(으)로 총 1,121건 검색되었습니다.
가볍고 휘어도 OK… ‘종이 배터리’ 개발됐다
2014.09.30
‘나노종이’를 만들었다. 이 종이에는 작은 구멍이 많이 뚫려 있어서 기존 배터리의
플라스틱
분리막을 대체할 수 있다. 연구진은 나노종이 분리막에 전극을 입히는 방식으로 둘을 일체화하는 데도 성공했다. 분리막의 양쪽 면에 각각 양극과 음극 역할을 할 수 있는 물질을 입힌 것이다. 기존 ... ...
차 안에서 데워진 생수, 마시지 마세요
2014.09.28
안전한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면서 “물이 아닌 커피나 주스처럼 산성을 띤 음료수를
플라스틱
용기에 넣은 채 더운 환경에 장기보관한 경우 문제가 더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 ...
한국엔 에볼라 앰뷸런스가 없다
과학동아
l
2014.08.26
앰뷸런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에어 앰뷸런스에는 환자를 안전하게 담아 오는 특수
플라스틱
텐트가 설치돼 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 만든 이 밀폐장치는 기내에 있는 수송요원들을 에볼라로부터 보호한다. 바이러스는 0.3μm보다 큰 입자를 99.97% 이상 거르는 헤파필터(고성능 ... ...
[브리지스 서울 2014] 수학 박사의 ‘저글링’ 보실래요?
2014.08.17
한 작품이다. 예술품 중에는 황홍택 금오공대 수학과 교수의 작품도 있었다.
플라스틱
소재로 오각형을 만든 다음, 이를 수직과 수평 등으로 배열한 조형품인 ‘아르키메데스 별’ 시리즈가 대표적이다. 이번 학회에 전시된 작품은 모두 흰 색 소재로 만들었으며, 정말 '별' 같이 고고한 ... ...
헉! 종이 로봇의 트랜스포머 3단 변신
2014.08.08
제공 우드 교수팀이 선택한 소재는 일종의 ‘전자종이’. 잘 휘어지는 얇은
플라스틱
기판에 종이를 덧댔다. 그리고 접히는 부위에는 형상기억 소재를 붙였다. 형상기억 소재가 접힌 자국을 기억하고 있다가 원 상태로 돌아가는 성질을 이용해 종이 스스로 몸을 접어 로봇이 만들어지도록 했다. ... ...
“태블릿PC에서 내 뇌가 보여요”
2014.08.08
표지판, 표준…. 6일 대전 KAIST의 한 연구실.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황건필 씨가 머리에
플라스틱
헬멧을 쓰고 컴퓨터 책상 앞에 앉았다. 컴퓨터 화면에 ‘표’라는 글자가 뜨자 황 씨는 이 글자로 연상되는 단어를 하나씩 머릿속에 떠올리기 시작했다. 황 씨가 단어를 생각할 때마다 그의 ... ...
‘아르키메데스의 별’을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4.08.01
말했다. 황 교수의 ‘아르키메데스의 별’도 이렇게 탄생했다. 7점 모두 빨대 같은
플라스틱
막대를 이용해 만들었고, 이들을 공 모양으로 이었다. 겉으로는 골격만 남은 공처럼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 공은 무수한 오각형으로 이뤄졌다. 황 교수는 팔면체를 이용해 만든 새로운 형태의 ... ...
연구논문 2개에 동시에 이름 올린 중앙대 교수
과학동아
l
2014.07.30
30일 동시에 발표되면서 공교롭게도 같은 날 두 곳 모두에 이름이 보도됐다.
플라스틱
배터리에 쓰인 탄소 구조체의 화학식 - 한국연구재단 제공 ... ...
“겨울철 교통지도 하는 어머니 보면서 ‘발로 부는 호루라기’ 떠올려”
과학동아
l
2014.07.24
발로 부는 호루라기가 불편하다는 점이었다. 펌프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1회용
플라스틱
돗자리로 받침대를 만들고, 받침대에 펌프를 고정시키기 위해 인라인스케이트에 쓰는 끈 고정장치를 매달아 문제를 해결했다. 이렇게 최종 작품이 나오기까지 시행착오만 14번. 나 양은 입으로 부는 ... ...
정전기로 분자들 쫙 줄세웠더니…
과학동아
l
2014.06.24
한계가 있었다. 지금까지는 이를 위해 200℃ 이상의 고온처리 방법 등이 시도됐지만
플라스틱
기판이 녹아버려 유기 전자소자를 구현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 교수팀은 기존의 열처리 방법을 포기하고 정전기를 이용해 유기분자의 규칙적 배열을 시도한 결과 전하 이동 속도가 기존 소자보다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