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프라스틱
플래스틱
합성수지
플라스틱 제품
푸라스틱
plastic
뉴스
"
플라스틱
"(으)로 총 1,121건 검색되었습니다.
1000년 뒤엔 ‘
플라스틱
돌멩이’가 지질학 증거?
과학동아
l
2014.06.15
때 섬유에서 떨어져 나온
플라스틱
부스러기가 바다로 흘러들어간다는 소식, 반짝이는
플라스틱
조각을 물고기가 먹이로 착각해 삼킨다는 소식 등을 인류세 도래의 증거로 함께 제시했다. ... ...
하반신 마비 환자가 ‘브라주카’를 뻥~
과학동아
l
2014.06.14
번쩍 들어올려 기쁨의 탄성을 질렀다. 시축 성공이었다. ①EEG : 전도성을 가진 유연한
플라스틱
집합체를 두피에 붙여 수천 개의 뇌세포로부터 정보를 받아들인다. ②헤드기어 : 전극이 부착된 헤드기어에서 뇌파를 모아 컴퓨터로 보낸다. ③컴퓨터 : 뇌파를 해석해 웨어러블 로봇에 작동 명령을 ... ...
전자피부에서 접는 디스플레이까지
과학동아
l
2014.06.13
영화에 등장하는 소품처럼 얇은 디스플레이 위에 문서나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
플라스틱
로직 제공 영화 ‘해리포터’ 시리즈에는 종이신문 위에 동영상이 재생되는 장면이 등장한다. ‘예언자일보’로 불리는 이 신문은 마법에 걸려 있어 정지된 사진이 아니라 움직이는 인물의 ... ...
첨단공정 최대의 적 ‘수분’ 막는 방법 찾아냈다
과학동아
l
2014.06.05
직접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팀 관계자는 “식ㆍ의약품 분야의
플라스틱
기반 포장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판용 고분자 필름의 세계시장 규모는 해마다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기 때문에 산업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정액기술료 1억700 ... ...
쓰레기가 예술이 되다!
수학동아
l
2014.06.02
com/Photo/2014/05/14012424845466.JPG" width="500" height="521" /> 영국의 작가 제인 퍼킨스가 버려진
플라스틱
재료를 수집해 재탄생시킨 명화. 구스타프 클림트의 . - Jane Perkins 제공 이렇게 생활 속의 잡동사니나 폐품, 재활용 소재를 활용한 미술작품을 ‘정크 아트’라고 한다. 정크 아트는 195 ... ...
‘도깨비 방망이’ 3D 프린팅 예술의 미래는?
동아일보
l
2014.05.27
점을 내놨다. 서구에 비해 한국의 3D프린터 개발과 보급은 걸음마 단계다. 많은 작가들은
플라스틱
소재를 쓰는 보급형 장비를 상상과 창작의 도구로 삼았다. 짧은 기간에 교육과 시험을 거쳤기에 최종 결과물이 어설프고 거칠다. 그럼에도 첨단 기술이 예술의 활력소가 될지 재앙이 될지 성찰할 수 ... ...
삼성 모든 기술-인력 모아 ‘미래 먹거리’ 찾는다
동아일보
l
2014.05.26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제일모직이 보유한 경량, 고강도 합성수지(
플라스틱
) 기술을 배터리 외장재에 적용하면 현재 양산되는 배터리에 비해 무게를 대폭 줄일 수 있다. 전기차 배터리의 경우 배터리 무게를 줄이는 것이 주행거리와 직결되는 핵심 기술이다. 현재 양산되는 전기차 ... ...
인텔국제과학경진대회(ISEF) 2014 직접 가보니
과학동아
l
2014.05.23
제동일 군은 “박테리아는 증식만 시키면 그 수를 자유롭게 늘릴 수 있기 때문에
플라스틱
을 얼마든지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며 “대학에 가서도 이와 관련된 연구를 계속 하고 싶다”고 밝혔다. 이안류를 이용해 파력발전기를 만든 이찬 군(경기고 2학년) - 이우상 기자=로스앤젤레스 제공 20 ... ...
뽕나무 열매 오디는 탄산을 좋아해~
과학동아
l
2014.05.21
‘오디의 상품성 유지를 위한 수확 후 관리기술’을 연구해왔다. 현재 오디는
플라스틱
용기에 포장한 뒤 스티로폼 상자에 아이스팩과 함께 밀봉해 유통시킨다. 이 방법은 반나절에서 하루가 지나면 표면에 곰팡이가 생기고 이들 곰팡이가 빠르게 증식하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 ...
쌀이냐 밀이냐, 작물로 결정돼버린 문화권
과학동아
l
2014.05.11
또 연구팀은 대장균의 유전자 체계를 임의로 조작한 결과 ‘BL21’이라는 대장균 균주가
플라스틱
, 제초제 등의 개발에 사용되는 페놀을 다량 생산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해 같은 달 바이오테크놀로지에 발표하기도 했다. 그러나 생명체의 유전자 구조를 조작하는 것에 대한 종교적·윤리적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