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해저케이블로 해류를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해저케이블을 활용하면서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동해의 새로운 모습이 알려지게 됐고,
미국
지구물리학회 등 국제저명 학술지와 국제 학술세미나에 연구결과가 발표되면서 그 연구 성과가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이 연구를 주도적으로 수행해 서울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유상진 박사(34 ... ...
01. 사랑은 뇌가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fMRI나 PET를 사용해 연구된 적은 없다. 그러나 사랑에 빠진 감정을 연구한 학자들은 있다.
미국
의 인류학자 헬렌 피셔 박사는 미 앨버트 아인슈타인대 신경과학자들과 협력해서 최근에 사랑에 빠졌다고 생각하는 지원자들을 모집했다. 이들에게 애인의 사진을 보여주면서 fMRI를 찍었다. 그리고 ... ...
과학으로 승부한다 - '무어의 법칙' 을 추월한 괴력의 삼성전자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메모리를 중심으로 메모리 신성장 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보았다. 이것이 그가 2002년
미국
에서 발표한 ‘메모리 신성장론’ 이다. 당시 황사장은 1년에 2배의 속도로 플래시 메모리의 용량이 늘어날 것이라고 발표했다.이미 메모리 개발 전략을 PC용 D램에서 플래시 메모리로 급선회한 삼성전자는 5년 ... ...
페름기 대멸종 일으킨 충돌분화구 호주서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소행성 또는 혜성이 지구와 충돌한 결과임을 시사하는 흔적이 호주북동부에서 발견됐다.
미국
샌타바버라 캘리포니아대 루안 베커 교수팀은 5월 13일 발표한 ‘사이언스’ 온라인 논문에서 이 사건을 ‘베두(Bedout) 충돌’이라 명명했다. 연구진은 분지에 둘러싸인 4㎞의 융기암석인 베두 분화구에 ... ...
HOT ISSUE 1. 특명 '아인슈타인의 우주를 검증하라'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한다. 또한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는 물론 하버드대, 프린스턴대, 스탠퍼드대 등
미국
의 유수대학의 교수들, 그리고 항공우주회사가 참여했다.계획에 따르면 중력탐사B는 조만간 본격적인 실험에 착수해 내년까지 지상으로 데이터를 보내올 전망이다. 그리고 2006년쯤에는 데이터 분석이 끝나 ... ...
보물단지로 떠오른 민간요법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피부에서 상처에 좋은 물질이 나온다는 사실은 실험실 에피소드 덕분에 밝혀졌다. 1987년
미국
의 외과의사 자슬로프 박사가 올챙이의 분화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살아있는 개구리의 배를 가르고 알을 꺼냈다. 그리고 나서 터진 배를 꿰맸는데, 항생제를 주사해야 한다는 것을 깜박 잊어버렸다. 하지만 ... ...
02. 사랑하도록 디자인된 인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성생활을 하면 호르몬 분비가 정상적으로 유지돼 갱년기 증상이 완화된다. 최근
미국
에서도 배우자가 있는 여성이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질병에 걸릴 위험이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단 심장병이 있는 환자는 과도한 성생활이 심장에 부담을 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남녀간의 성은 아름답고 ... ...
서울대 물리학부 국양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대문의 빗장을 열 수 있게 되면서부터다.호기심은 과학자 최고의 덕목1981년 국교수가
미국
에 있을 때 처음으로 개인용 컴퓨터(PC)가 등장했다. 국교수가 가장 먼저 한 일은 드라이버를 들고 본체 뒷부분을 뜯어본 것. 이 정도의 호기심은 과학자로서 당연한 것이라며 호기심 예찬론을 편다. ... ...
내 부모는 예외일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매우 의존적이고 수동적이 된다. 심한 경우 치매와 정신이상이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미국
과 유럽에서 헌팅턴병의 발병률은 인구 10만명 당 4-8명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정확한 통계치는 없으나 이와 비슷할 것으로 추정된다. 1993년 과학자들은 헌팅턴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밝혀냈다. 이 유전자는 ... ...
시동걸린 과학계 '히딩크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사실을 처음 밝혔고 그 다음해에 러플린 교수가 이를 이론적으로 규명해냈다.1950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태어난 러플린 교수는 미 매사추세츠공대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은 뒤 벨연구소와 로렌스 리버모어 연구소를 거쳐 현재 스탠포드대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그는 주요 연구업적은 20대 ... ...
이전
1043
1044
1045
1046
1047
1048
1049
1050
105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