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날
고려대학교
고려대
고려대학
오래됨
상고
절벽
d라이브러리
"
고대
"(으)로 총 1,939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쟁에 지면 달력도 없다
과학동아
l
2007년 01호
해서 1태양년의 길이를 100년에 0.0002일씩 짧아지게 조정하도록 돼 있다.
고대
부터 1년의 길이를 측정하고 비교한 결과 실제 1년의 길이가 조금씩 짧아진다는 사실을 알았기 때문이다. 칠정산은 시간에 따라 1태양년의 길이를 조정했기 때문에 조선 후기까지 200년간이나 큰 오차 없이 사용될 수 있었다 ... ...
MIGAC CHRISTMAS! 매직 크리스마스 3개의 선물 상자를 열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4호
*참고-마술은 이집트에서부터!마술은 지금부터 3800년 전인
고대
이집트에서 가장 먼저 시작되었다고 보고 있어. 거위 목을 잘라서 다시 원래대로 붙이거나, 컵에 구슬을 넣고 구슬을 사라지게 하는 마술이 그림이나 글로 기록되어 있거든. 정말오~래 전부터 마술을 했지? ... ...
모바일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어떤 일들을 했는지 역사 속의 인물들을 통해 살펴볼까요?직접 뛰어서 정보를 전달해!난
고대
그리스의 용사 페이디피데스야. 기원전 490년 우리 그리스를 침략한 페르시아 군과 전투가 벌어졌지. 바로 그 유명한 마라톤 전투야. 우리는 대승을 거두었어. 정말 기뻤지. 그런데 이 기쁜 소식을 아테네의 ... ...
살아 쉼쉬는 녹색의 도시 --유럽의 환경생태도시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1호
반도의 남쪽에 있는 도시로 폼페이 유적으로 유명합니다. 로마는 이탈리아의 수도로서
고대
로마제국의 유산을 고스란히 갖고 있어요. 덕분에 나폴리와 로마는 세계에서 관광객이 가장 많이 방문하는 도시로 명성을 떨치고 있습니다.최신식 고층빌딩이 즐비하고 번쩍거리는 네온사인이 멋진 한국의 ... ...
동이마을 비내리제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1호
하기로 결정했다. 우리 마을의 비내리제 소식은 전국의 매스컴을 들끓게 했다.마침내
고대
하던 비내리제날 아침. 유적지 주변은 비내리제를 구경하기 위해 각지에서 몰려든 사람들과 최첨단 보도장비를 총동원하여 취재에 열을 올리고 있는 기자들로 북적였다. 비내리제 시간이 다가오자 백년 ... ...
똥의 향기에 취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0호
분석한 결과 쥐, 토끼, 물고기, 해바라기, 도토리 등 다양한 음식물의 흔적이 나타났다.
고대
인들은 참식성도 좋았다.캥거루 똥으로 만드는 종이캥거루가 아름답고 향기로운 종이를 만든다고? 캥거루 똥 25㎏이면 A4 사이즈 종이를 400장까지 만들 수 있다고 오스트레일리아의 종이 제조업체인 조안나 ... ...
역사를 바꾼 무기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8호
아니라 건물을 공격할 때 무거운 돌을 던져 공격하는 무기. 로마와
고대
중국에서 사용된 후 중세 대부분의 전쟁에서 쓰였다. 활과 마찬가지로 물체의 탄성을 이용한다.그림은 중세 전쟁에서 성벽을 무너뜨리기 위해 사용된 투석기‘카타풀트’. 화약의 폭발력을 이용하라13세기경 질산칼륨과 황, ... ...
서양귀신 VS 동양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5호
시체가 썩지 않고 미라가 된 경우지요. 무덤을 발굴한 사람들은저주를 받아 죽었을까?
고대
이집트의 왕이었던 투탕카멘은 기원전 1323년에 젊은 나이로 죽었습니다. 미라로 만들어져 왕가의 계곡에 묻힌 채 수천년 동안 잊혀졌던 투탕카멘의 시체는 3245년 후인 1922년 영국의 귀족인 카나본과 ... ...
나도 애니메이션 감독!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4호
있는 불상 역시 역동적인 팔의 움직임을 단계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인류는
고대
부터 움직임을 표현해 보려고 꾸준히 노력했습니다. 하지만 지금의 애니메이션처럼 실감나는 영상을 만들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어요. 바로‘잔상효과’라는 원리를 이해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지요 ... ...
별똥별 쇼가 펼쳐지다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관한 연구와 집필, 구를 평면에서 일정한 비율로 베어내는 문제 등을 해결했다246~330
고대
알렉산드리아에서 활약한 그리스의 수학자 대수학의 아버지라 불린다특히 정수론(整數論)에 공헌이 컸으며, 대수학에서 미지수를 문자로 쓰기 시작했다디오판토스 해석이라는 일종의 부정방정식 해법을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