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날
고려대학교
고려대
고려대학
오래됨
상고
절벽
뉴스
24억 년 전, 바다의 리즈 시절은 '초록'이었다
과학동아
l
2025.08.23
지구를 보며 창백한 푸른 점이 아닌, 창백한 '녹색 점'을 떠올렸을 테다. 마츠오 교수는
고대
바다가 초록색이었다는 사실을 근거 삼아 “우주에서 발견되는 녹색 행성은 곧 외계 생명의 실마리가 될 것”이라고 논문을 통해 전했다. 지구에는 분홍 빛깔의 물도 존재한다. 우크라이나의 레무리아 ... ...
소라 껍데기 부는 요가 호흡, 코골이 치료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5.08.11
부는 전통 문화가 존재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소라 껍데기에 바람을 불어넣는
고대
관행이 코골이 상태를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란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크리쉬나 K. 샤르마 인도 이터널하트케어센터 호흡기내과 연구원 연구팀은 소라 껍데기를 정기적으로 부는 행위가 폐쇄성 수면 ... ...
북극곰, 인간이 배출한 수은의 종착지
과학동아
l
2025.08.09
완전히 녹을 때까지 북극권 생물들의 체내 수은 농도가 계속 올라갈 것으로 예상한다.
고대
중국 진시황제는 불로장생을 위해 수은을 먹었다. 수은이 생명 에너지를 불러일으키는 신비한 금속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오해는 수은의 독특한 물리적 특성에서 비롯됐다. 수은은 녹는점이 영하 38.8℃로 ... ...
독일 유명 화석층서 신종 해양 파충류 화석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8.04
곳으로 유명하다. 연구팀은 이곳에서 1억8300만년 전 존재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새로운
고대
해양 파충류 '플레시오넥테스 롱기콜룸' 화석을 발견했다. 플레시오넥테스 롱기콜룸은 공룡이 번성하던 시대에 살았던 해양 파충류인 ‘플레시오사우르스’의 한 종이다. 플레시오사우르스 화석은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표지로 읽는 과학] 3만 7000년 걸친 유라시아 감염병 지도…가축화, 전염병 불렀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6
유전 신호를 찾아냈다. 이 중 3384건은 현대에 알려진 인간 감염성 병원체로 확인됐다.
고대
인류 유해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병원체도 다수 포함된 결과다. 특히 눈에 띄는 점은 가축에서 사람으로 옮겨오는 인수공통병원체의 등장 시점이다. 연구팀은 인수공통병원체가 약 6500년 전부터 나타나기 ... ...
[표지로 읽는 과학] 가장 정교한 '시조새' 화석, 비행 진화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5.05.31
특징들을 종합한 결과 시조새는 공중과 지상, 나무 위를 오가는 생활에 모두 적응한
고대
조류였다는 결론이 도출됐다. 연구팀이 이 표본이 조류 비행의 초기 진화 과정을 규명하는 데 결정적인 증거를 제공했다고 평가하며 "시조새는 단순한 '잃어버린 고리'가 아니라 다양한 생존 전략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북미 야생말이 사라진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5.18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특히 북극권을 중심으로 기후 변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현재
고대
대형동물의 사례는 오늘날의 생태계 위기에 중요한 교훈을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 doi.org/10.1126/science.adk485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찾는 데 걸림돌 '인 문제' 해결됐나
2025.03.05
17세기 벨기에의 화학자 얀 밥티스타 판 헬몬트는 식물체를 이루는 물질이 흙에서 온다는
고대
그리스 이래의 과학 상식을 검증하는 실험을 진행해 흙이 아니라 물에서 온다는 결론을 얻었다. 꽤 엄격해 보이는 실험이었음에도 훗날 일부만 맞고 전체적으로는 틀린 해석으로 밝혀졌다. Aquarium of Vulcan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특집] 집비둘기, 왜 많아졌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만든 새, 집비둘기 집비둘기의 조상은 바위비둘기예요. 지금으로부터 4000년 전,
고대
이집트인들은 해안가 절벽이나 바위틈에 살던 바위비둘기를 잡아서 가축으로 기르기 시작했습니다. 오랜 시간 사람에게 길러진 바위비둘기는 사람의 목적에 맞는 외형과 성질을 갖게 되었고, 집비둘기라는 ... ...
[우주에 온 것을 환영합니다, 천문학자] 밤하늘의 숨은 그림 찾기? 별자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5호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에 관한 신탁도 적혀 있지요. 이 바빌로니아 별자리가 이후
고대
그리스로 넘어와 조금 바뀌어 오늘날 우리가 쓰는 별자리의 기초가 되었답니다. 현재 표준으로 쓰이는 88개의 별자리는 1922년 로마에서 열린 최초의 국제천문연맹 총회에서 정해졌어요. 빈 점선 잇기 놀이판 같은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doi: 10.1073/pnas.1612354113 논문에 따르면 Sox2 유전자는 4억 5000만 년 전, 인간과 상어가 공통의
고대
조상을 갖고 있던 이래 쭉 유지돼 왔습니다. 다만 인간은 유치가 빠진 뒤 영구치가 새로 날 때 상피 세포에서 Sox2 유전자가 발현된 뒤, 상피 세포가 사라지면서 이후로는 발현을 멈춥니다. 반면 상어는 ... ...
[미술X과학]만남에서 태어난 우주의 소리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셀레스트 부르시에 무주노의 작품 ‘클리나멘 v.9(Clinamen v.9)’의 전경이다. 클리나멘은
고대
로마의 철학자 루크레티우스가 원자의 운동에 대한 자신의 이론을 설명하기 위해 고안한 말이다. 루크레티우스는 원자가 직선 궤도를 따라 이동하다가 자유의지에 의해 돌연 궤도를 이탈하곤 한다고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저랑 웹툰 같이보실분 찾아요
포스팅
l
20250814
★★★★★★★★★★★★★★
고대
동물기 ★★★★★★★★숭뇽버블티 ★★★화산귀환 ★★★★★★★★★★★★★★작전명 순정 ★★★★★★★★★★★★★★마루는 강쥐 ★★★★★★★★★★★★★★전독시(아직 보는중이에요) 베폭,스오스,천만청춘,청계가 최애입니다ㅠ근데 요즘 볼게 떨어져서 ... ...
오랜만에 와서 글 던지고 튀기
포스팅
l
20250723
정보 덕분이야.” 그는 팔을 벌리고 소년을 향해 뒤돌며 말했다. 유리관 안의 인영이 배양실의 빛을 받아 희미하게 형체가 보였다.
고대
회화에서 미의 여신에게나 허락될 법한 아름다운 미모, 거의 죽은 듯이 보이는 창백한 피부, 배양실의 푸른빛 때문에 얼핏 푸른색으로 보이는 옅은 회색 머리카락이 이질적인 존재의 날개를 꺾고 다리를 묶어 가둬놓은 ...
옵젝쇼를아시는진귀한분을찾습니다,
포스팅
l
20250720
왔냐고요?제한모드 끄는법 알게된 겸 올만에 IDFK몰아보기하고있습니다ㅎㅎㅎ..사실 처음인거겠죠 그리고 전 제한모드끄기 덕분에 드디어
고대
하던 VOO와 CFMOT에 입덕할 수 있게되었습니다 기다려 오리온챤..크라츠키챤..요시카챤..(반말죄송합니다 ... ...
지금의 환경
기사
l
20250622
항공기같은 사용하면 환경오염이 심한 물체들 때문인 것 같습니다. 지금은 빙하는 녹았습니다. 이 때문에 빙하속에 얼어있던
고대
바이러스가 깨어날 위기입니다. 그리고 얼음 위에 살던 북극곰은 2300년에 빙하가 녹기 시작하면서 집이 사라져 멸종되었습니다. 팽귄들은 남극에 눈이 내려오지 않아 그리고 26일전의 배사고 때 배에서 기름이 새서 때 ...
[우주기자단 현장미션] 광주과학기술원에 다녀왔어요.
기사
l
20250608
탐사선 퍼서비어런스가 ( Perseverance Rover ) 화성에서 물의 흔적을 찾았다는 기사를 같이 읽어보면 좋을 것 같아요! - 화성 생명체 흔적,
고대
호수 퇴적층에서 찾는다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63492 - 미스터리 2. 사막에 사는 특별한 생물 https://dl.dongasc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