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벼랑
낭떠러지
급경사면
고대
절애
급사면
가파른 비탈
뉴스
의사 국시 합격자 269명…응시율·합격률 모두 저조
동아사이언스
l
2025.01.22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 지난 1월 치러진 필기시험엔 285명만 응시했다. 신규 의사 배출
절벽
이 현실화하면서 전공의와 전문의 배출에도 줄줄이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각 수련병원은 국시 최종 합격자와 지난해 인턴 사직자 등을 대상으로 내달 3∼4일 상반기 인턴을 모집할 예정이다. 이대로라면 ... ...
박종래 UNIST 총장 "UNIST, '울산의 스탠퍼드’로 만들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1.07
전반에서 새로운 길을 여는 ‘파이오니어’가 되어야 한다”면서 “경제 침체와 인구
절벽
이라는 도전 속에서도 UNIST만의 대체 불가한 독창성을 확보하는 것이 생존을 넘어 우위를 점하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파이오니어 UNIST’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세 가지 부문에서 ... ...
"인구
절벽
심화…이공계 대학원, 석사중심·박사중심으로 나눠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1.07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인사이트’ 제337호 표지. STEPI 제공 학령인구 감소에 대응하고 대학원을 연구와 인력양성 거점으로 육성하기 위해 실무 중심의 석사양성과 연구 중심의 박사양성 투트랙 인재육성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강도 높은 구조조정과 역량, 역할에 따른 특성화가 필요하다 ... ...
네이처 선정 올해 최고 과학 이미지…폭우에 떠밀리는 치타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16
진짜다', '일식 관람객' 등의 사진도 최고의 과학 이미지로 선정됐다. 털복숭이 등산가는
절벽
을 어렵게 올라가는 흰족제비의 모습, 투쟁은 진짜다는 올해 폭우로 큰 피해를 입은 케냐에서 치타들이 강을 건너려고 시도하다가 하류로 떠내려가는 모습, 일식 관람객은 북미대륙에서 7년 만에 일어나는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이덕환의 과학세상] 의료개혁에 흔들리는 이공계 교육과 지방대 소멸
2024.03.27
일도 있었다. 이공계 인력 양성이 절박하다는 교육부의 변명은 심각한 학령인구
절벽
에 절망하고 있는 지방대의 입장에서는 수용할 수 없을 정도로 옹색했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왼쪽 두번째)이 '이공계 학생들과의 릴레이 대화'에 참석하여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 ... ...
[표지로 읽는 과학] 당나귀는 7000년보다 더 오래전 가축화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11
제공. 이번주 사이언스는 표지에
절벽
끄트머리에 서있는 당나귀의 모습을 실었다. 당나귀에는 안장과 고삐 등이 갖춰져 한눈에 봐도 주인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랑스 폴 싸바티에대 연구진은 유전체(게놈) 분석을 통해 당나귀가 언제 가축화가 이뤄졌는지를 규명하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 ...
[이덕환의 과학세상]계약학과는 산업계 인력난을 해결해주지 않는다
2022.07.20
투자를 확대해야 하는 기업도 마다할 이유가 없다. 학생의 입장에서도 취업
절벽
을 해소해주겠다는 계약학과가 반가울 수밖에 없다. 그야말로 일석삼조의 제도인 셈이다. 실제로 올해 전국 대학의 ‘채용조건형 계약학과’의 학생 수가 작년보다 19%나 늘어났다. 교육대학을 포함한 4년제 일반대학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지속가능한 연구실
2022.06.30
못하니, 대학의 교수채용 숫자 역시 증가하지 않는다. 게다가 현재 한국 대학들은 인구
절벽
으로 인한 재정난과 예산부족으로 신음하고 있으니, 교수 일자리는 절대로 증가할 가능성이 없다. 교수의 숫자가 증가하지 않는다는 말은, 연구실 숫자도 증가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하지만 대학은 등록금 및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특집] 집비둘기, 왜 많아졌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넓은 흰색 띠가 있는 것이 특징이죠. 낭비둘기는 집비둘기와 달리 도심 외곽의 해안가
절벽
이나 바위틈, 사찰에서 지냅니다. 도시의 집비둘기가 사람이 먹고 남은 음식물을 즐겨 먹는 반면, 낭비둘기는 농경지에서 식물의 씨앗을 주로 먹죠. 낭비둘기는 1980년대까지 전국에서 볼 수 있는 텃새였지만, ... ...
Day2. 깎아지른 수직 협곡과 옥빛 하천이 눈앞에! (타이루거 협곡-칠성담 해변)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3호
커진 것”이라고 했지요. 이 구멍들은 하천의 수면과 가까운 곳에서 만들어지므로
절벽
의 위로 갈수록 오래전에 만들어진 구멍이라는 점도 알 수 있었어요 ... ...
Day3. 화산 분출로 만들어졌다! 대만의 하와이 ‘펑후’ (펑후 섬 다궈예 주상절리-고래동굴)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3호
볼 수 있었어요. 우 교수는 “섬을 쭉 살펴보면 대부분 고도가 낮고 편평한 대지가 절리
절벽
에 둘러싸인 채 바다에 접해 있다”며, “용암이 넓은 지역으로 흘러 높은 지대를 만들었고, 그 사이에 바다가 있어서 섬들은 모두 같은 높이를 가지게 됐기 때문”이라고 했지요. 마지막 탐험지는 모세의 ... ...
[탐험후기] “놀라운 풍경에 지질학자의 설명까지 더해진 귀한 경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23호
마치 영화 의 한 장면 속 같아 입이 떡 벌어졌어요.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절벽
과 바닥에 있는 동굴 같은 구멍들이었습니다. 원래는 아주 좁은 틈이었는데, 그 사이로 물이 새면서 점점 커졌다고 해요. 자연의 힘으로 이런 형태가 만들어지기까지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렸을지 상상이 되지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역대급으로 이상한 어젯밤 꿈 꺄악!!
포스팅
l
20250218
~~음 ~~함 이런식으롴ㅋㅋ) 이렇게 4개의 세계관을 거쳤어요 흐아아앙앙 이상한 꿈도 적당히 꾸고싶다고요오오오 지난번에
절벽
에서 떨어지는 반 애들 날아다니면서 받는거나 무이치로 스팽킹이나 밋반을 피해 공중부양으로 도주하다 머리에 정의맞고 무잔되는 꿈보다 더 이상하다고요오오오어오어오오어 아니면 팝플에 누구가 나와서 제가 필명으로 부르니까 그 사 ...
블랙홀의 미스터리
기사
l
20250215
1&qdt=0#imgId=image_sas%3Aweb_d03308115e597a4448704f4102d8784f 귀한 불능 지점귀한 불능 지점이란, 예를 들어 폭포를 흘러가는 강물을 생각해 봐요
절벽
과 아주 멀리 있을 때는 물의 속도가느리지만, 폭포 끝에 다가갈수록, 물이 점점 더 빨리 흘러 그곳에는 사람이나 사물들은 못 빠져나오게 되요 이처럼 ...
승솟 동굴 투어 (하노이)
기사
l
20250104
궁금한데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그럼 2번째 장관으로 넘어가시죠. 이 장관도 여러 돌로 구성되 있었습니다. 높은
절벽
2개가 멋져서 한 번 찍어 보았습니다. 그럼 이제 마지막 장관으로 넘어가시죠. 마지막 장관은 불빛과 긴 가로 형태의 멋진 돌들로 구성되 있었습니다. 또 천장이 움푹 파인 느낌인데 왜 그런지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하 ...
저 요즘 참 꿈을 재밌게 꿔요(?)
포스팅
l
20241129
보지마. 검색도 하지마. (예지몽은 아니겠죠ㅋㅋㅋㅋ) 3.[앗! 구해야해!]엄청 유치한 꿈인데요, 제 꿈속에서 갑자기 저희반 애들이
절벽
에서 하찮게 와르르 떨어지는데 제가 그걸 "앗!! 구해야해!!" 하면서 날개도 없이 공중부양ㅋㅋㅋ 하면서 애들 구하는데.. 가은(가명)이라는 여자애를 받았다가 세르 받으면서 떨구고 혜주는 저한테 메달리고 수현( ...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공항 TOP7을 알아보자! (중)
기사
l
20240805
'3 3위는 루클라 공항입니다. 에베레스트 산 2000M쯤에 있는 공항입니다. 매우 쌘 바람이 부는데다 한쪽은 그냥 에베레스트 산의
절벽
입니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이곳의 활주로 길이입니다. 활주로가 301M밖에 되지 않습니다. 이 거리는 우리 뛰어서 1분도 안 되서 도착할 수 있는 거리입니다! 그래도 속도를 빠르게 줄 수 있게 경사를 18.3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