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기"(으)로 총 5,04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너의 취향을 추천할게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컴퓨터과학과 조셉 콘스탄과 존 리들 교수는 2012년 9월, 과학기술 분야 잡지인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 스펙트럼(IEEE Spectrum)’에 쓴 칼럼에서 “아마존은 머신러닝 추천엔진으로 매출이 10~30% 정도 늘었다”고 밝혔다. 넷플릭스도 협업 필터링 기술을 이용한 개인 맞춤형 서비스로 엄청난 성공을 ... ...
- [Future] 뒤로 공중돌기 완벽 성공, 너의 이름은 아틀라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로봇 팔에 부착해 로봇 손목이 최대 210도까지 움직이도록 했다. 로봇손에 액추에이터와 전기모터를 둘 다 적용하자 최대 30kg까지 들어 올릴 수 있을 만큼 힘이 세졌고, 종이컵을 찌그러트리지 않고 쥘 정도로 섬세해졌다. 조 선임연구원은 “야외에서 유압식 휴머노이드가 스스로 움직이려면 ... ...
- 시계장인은 수학천재? 태엽 시계의 반란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없는 기계식 시계여서다. 태엽으로 수많은 톱니바퀴를 돌려 추가 기능을 구현한다. 전기의 힘으로 움직이는 쿼츠 시계★에 비해 훨씬 어렵다. 셀레스티아는 장인 한 명이 5년 동안 514개 부품으로 단 한 점만 만들었다. 쿼츠 시계★건전지를 넣는 시계로, 전자식 시계라고도 부른다. 쿼츠 시계는 ... ...
- Part 5. 호모 사이보그, 뇌 세포 만으로 OK?!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발표했어요. ‘고든’이라 불리는 이 로봇은 쥐의 뇌 세포와 연결된 전극판으로부터 전기 신호를 받아 움직여요. 이 신호의 세기에 따라 바퀴 두 개를 굴려 앞으로 나아가지요. 사람의 조작 없이 오직 뇌 세포의 신호만으로 움직인답니다. 하지만 앞에 장애물이 있을 때 완벽하게 피해가진 못한다는 ... ...
- [시사기획] 폴더블폰, 그분이 오신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어떤 모습일까. 삼성디스플레이 연구소장(부사장)을 지낸 김학선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에게 들어봤다. 폴더블폰의 열쇠‘ 폴더블 디스플레이’“폴더블폰이라는 말은 제가 처음 만들었습니다. 2009년 플렉시블(휘어지는) 디스플레이를 개발하기 시작했고, 폴더블폰을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주는 것은 물론, 집 안의 온도와 습도를 파악해 스스로 냉난방을 조절한다. 불필요한 전기를 차단하는 일도 한다. 앤드류를 구입하기 전에 비해 관리비가 40%나 줄었다. 그녀의 e메일, 전화통화 등을 기록해 뒀다 분석해 하루의 일정을 정리해주기도 한다. 비록 지금처럼 잔소리를 하기도 하지만 ... ...
- 이공계 직업 정보 [화학&신소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폭도 크다. 3. 차세대배터리 연구자최근 전자제품의 핵심은 배터리다. 스마트폰과 전기자동차 등 차세대 전자제품은 한 번 충전으로 얼마나 오래 작동하는지에 따라 성능이 결정된다. 배터리 연구는 현재 주로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단점을 보완하는 기술을 개발하거나, 아예 새로운 ... ...
- 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심겨 있는 칩으로 전달 하지요. 칩은 대뇌에서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부분에 심겨져 있어 전기 신호를 전달받으면 ‘무언가를 보고 있다’고 느낄 수 있답니다. 같은 방식으로 대뇌에서 청각을 담당하는 곳에 칩을 심으면 청각을 보완할 수도 있지요. 한편 색을 소리로 인식하는 ‘아이보그’도 ... ...
- [Origin] 빛으로 뉴런 조절하는 ‘광유전학’의 태동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하기 시작합니다. 이를 위해 동물 뇌의 특정 부위를 절제해 행동 변화를 관찰 하거나, 전기 자극을 통해 뇌 영역을 인위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방법을 주로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정확하게 목표하는 영역만을 활성화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특정 약물을 주입해 뇌 영역을 ... ...
- [Career] ‘전자약’으로 노화 걱정 덜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개발에는 신 연구원의 공이 컸다. 처음에는 칩에서 세포가 자라는 부위에만 선택적으로 전기자극을 주기 위해서 반도체 재료를 이용해 제작했다. 하지만 막상 실험해보니 세포가 제대로 자라지 않거나 측정 결과가 재현되지 않는 문제가 생겼다. 세포를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주입 하기도 쉽지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