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뉴스
"
전기
"(으)로 총 6,376건 검색되었습니다.
쥐 62만 뉴런이 밝힌 뇌의 지도…분산 네트워크로 작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9.05
가는 막대 안에 수백 개의
전기
채널을 배열한 장치로 세포 발화 시 생기는 미세한
전기
신호를 동시에 포착할 수 있다. 연구팀은 전극당 평균 889개의 신호 단위를 확보하고 이 가운데 7만5708개의 뉴런을 개별적으로 식별했다. 연구팀은 의사결정 과정에서 뇌가 어떻게 신호를 주고받는지 확인하기 ... ...
韓 연구팀, 상온서 '스핀트로닉스' 제어하는 자성 나선 구조체 최초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9.05
따라 다른 특성을 낼 수 있다. 연구팀은 금속인 코발트(Co)와 철(Fe)이 결정화되는 과정을
전기
화학적으로 제어해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 나선형 나노 구조체를 각각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카이랄 자성 나노 나선 구조체가 형성되는 과정을 설명한 모식도. 금속 입자의 ... ...
"화성 내핵에 지구처럼 '고체'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04
원소를 방출해 외핵의 대류를 강화시킨다. 이렇게 만들어진 자기장은 태양에서 방출된
전기
입자들을 굴절시켜 입자가 지구 대기를 쓸어가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자기장 덕분에 지구에 대기가 유지되고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학계에서는 화성이 지구와 진화 과정이 얼마나 ... ...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 "GPU 5만장 확보해 20~30% 학계 배정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9.04
박근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천연물시스템생물연구센터 책임연구원, 김정호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교수, 김우연 KAIST 화학과 교수가 참여했다. 배 장관은 "AI를 과학 분야에 적용하면 한국도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며 "2030년까지 GPU 5만장 확보가 목표지만 2028년까지 ... ...
UST, 국가연구소대학 발전에 기여 큰 29인 명예교수 추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9.04
스쿨 김동국, 동상근 △한국원자력연구원 스쿨 김인규, 송철화 △한국
전기
연구원 스쿨 임근희, 정대영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스쿨 마평수 △한국화학연구원 스쿨 이규양 교수를 명예교수로 추대했다. 전임 정부출연연구기관 기관장을 역임한 교원 중에서는 △극지연구소 스쿨 김예동 ... ...
韓 주도 국제연구팀, 암흑물질 신호 'DAMA' 논란에 종지부 찍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04
상호작용하지 않아 검출이 어렵다. 매우 드물게 원자핵과 충돌해 생긴 미약한 섬광을
전기
적 신호로 변환하고 초정밀 검출기로 포착하는 방식으로 검증할 수 있다. 암흑물질의 증거 신호를 포착하기 위해서는 지하 깊은 곳에서 우주에서 날아오는 전자기파 등 배경 잡음(노이즈)을 최소화해야 한다. ... ...
"혈액 한 방울로 병원급 검사"…차세대 바이오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9.03
플랫폼을 구현했다고 3일 밝혔다. MEIS는 미세유체 채널에 전극을 배치해 흐르는 혈액의
전기
화학적 임피던스를 실시간 측정하는 장치다. 세포를 손상시키지 않고 세포막·세포질의 특성과 형태 변화를 정밀하게 포착할 수 있다. 임피던스는 전류가 흐를 때 얼마나 방해받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 ...
9월 과학기술인상에 정재웅 KAIST 교수…부드러운 정맥 주사바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9.03
교수(가운데). 과기정통부 제공 과학기술인상 9월 수상자에 정재웅 KAIST
전기
및전자공학부 교수가 선정됐다. 체온으로 부드러워지는 정맥 주사바늘을 개발해 환자 안전에 기여하는 등 전자 소자와 의료기기 융복합 연구 성과가 인정받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 ...
체내삽입 가능한 '생체친화적 신축성 반도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9.03
전자기기의 기본 소자인 ‘유기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제작했다. 트랜지스터는
전기
신호를 증폭하거나 켜고 끄는 스위치 역할을 하는 반도체 소자다. 개발된 트랜지스터는 50% 늘어나는 변형과 체액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했다. 생쥐 피하에 이식한 뒤에도 염증이나 조직 손상 없이 ... ...
혼합 폐플라스틱 분리수거 않고 재활용한다…에틸렌·벤젠으로 전환
동아사이언스
l
2025.09.03
에틸렌과 벤젠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개념의 공정이다. 플라즈마는 고온에서
전기
적으로 활성화된 기체 상태다. 연구팀이 개발한 공정은 기존 열분해보다 반응 속도가 훨씬 빠르다. 사업단은 세계 최초로 100% 수소를 사용하는 고온 플라즈마 토치를 개발해 혼합 폐플라스틱을 1000~2000℃의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