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멸종"(으)로 총 1,21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백두산 호랑이 인형 만들기기사 l20170605
- 추연진 기자입니다. 저는 경상북도 봉화에 위치한 국립백두대단수목원에 다녀왔습니다. 그곳에서 기념품으로 받은 멸종위기종인 백두산호랑이 인형을 만들었는데, 이 백두산호랑이 인형을 만드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양쪽모서리를 접습니다. 2.접은 부분을 다시 접습니다. 3.그 다음 세웁니다. 4.양쪽도 접습니다. 5.양쪽을 세웁니다. 6.5번의 ...
- 서울 환경영화제기사 l20170524
- 그 후에는 여러 가지 체험을 했습니다. 1.화분에 식물심기 2.커피로 방향제 만들기(향기로운 냄새가 아직도 납니다.) 3.지갑에 멸종위기 동물 그리기(장수하늘소를 그렸습니다.) 4.태양광 충전 램프(엄청나게 밝았습니다.) 그리고 함께 간 친구들에게 인터뷰를 했습니다. Q:'소년과 바다'를 보고 어떤 느낌이 들었나요? A민혁 : 감동적이고 사 ...
- 판다월드에서 귀염둥이 판다를 만나다!기사 l20170523
- 17%나 증가한 것이에요. 판다 보호를 위한 세계의 관심과 노력으로 빚어낸 결과이죠. 하지만 판다는 서식지 파괴로 인해 여전히 멸종위기에 놓여 있어요. 우리가 판다를 보호하기 위해 더욱 관심을 가지고 노력해 주어야 해요. 이제 판다월드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판다월드는 에버랜드에 세워진 국내 유일 판다 전시관으로, 작년 4월에 공개되었어요. ...
- [5월 행사소개] 기자단 취재처의 풍성한 5월 행사소식이 도착했어요!공지사항 l20170502
- 느낄 수 있도록 이 기획됐어요. 국립중앙과학관이 보유한 식물과 곤충 표본 61점과 김진오 사진작가의 멸종위기 나비와 야생화 사진 작품 20점, 봄, 꽃, 정원과 관련된 광주시립미술관의 작품 15점이 전시됩니다. 자연생태를 주제로 다양한 전시와 체험, 이벤트까지 있다고 하니 방문해서 축제에 참여해 보세요~! ...
- 인공에 대해 파헤치다!기사 l20170427
- 오염이 되고 개발되면서 푸른바다거북은 살아갈 장소가 부족해졌습니다. 푸른바다거북은 해양수산부 보호대상 해양생물이자 국제적 멸종위기종이 되었습니다. 푸른바다거북의 알을 열선이 깔린 전용 모래 부화장에 놓고 온도와 습도를 맞추어가며 인공부화기를 설치해 32마리의 새끼가 부화했습니다. 4. 맛도 비슷하다고?! 인공 닭고기 인공 닭고기는 소의 ...
- 돌발 퀴즈 2포스팅 l20170420
- 한국산 호랑이가 멸종한 이유는?(시대도 말해야 됨)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 담배를 피워서(담배가 이렇게 무서움니다!!!!!!!!!!!!!!!!!!) ...
-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 얼마나 심각할까?기사 l20170412
- 즉 500000000000kg(5조)의 물이 1년에 바다로 흐른다는 뜻입니다. 섬나라들은 그때문에 잠기기 일보직전이고 북극곰이나 펭귄 등의 동물이 멸종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겨울이 사라지고 사막이 생길수도 있습니다. 지구온난화 정말 무섭지 않나요? 그럼 지금부턴 이 지구온난화의 예방법을 알아봅시다. 지구온난화의 예방법: 에어컨대신 부채 ...
- 지구온도가1도 올라가면 양서류가 멸종한대요.탐사기록 l20170409
- 아쿠아리움에 갔는데, 지구온도가 1도 올라가면 20년안에 양서류가 멸종한대요. ㅜㅜ 개구리 친구들을 같이 지켜요. 식물보호. 쓰레기 재활용.에너지 절약을 같이해요. ...
- 건강한 아기를 태어나게 하기 위한 유전자 편집 기술! 어떻게 생각하나요?토론 l20170302
- 불치병에 걸려서 태어난 아기를 치료하지 못하고 죽게 하는 것이 너무나 가혹하기 때문이에요. 또한, 이런 기술은 유전자 치료와 멸종위기 동물 복원 등에도 활용될 수 있다고 해요. 그러나 아기가 태어나기 전부터 삶을 결정짓는 것은 위험하다는 의견도 있어요. 맞춤아기는 자연스럽게 태어난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 것이라는 주장이에요. 이런 방법으로 ...
- 2017년 2월 25일 대전 민물고기 번개탐사기록 l20170228
- 매번 들렀다가는 성심당에 가서 빵을 먹고 집으로 돌아갔다. 아무리 봄이 가깝다고 해도 아직 춥긴 춥구나라는걸 느꼈고 또 도심에도 멸종위기종이 사는구나, 환경이 아직 많이 훼손이 안되었구나 라는걸 느끼게 되어서 뿌듯했던 번개 였다.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