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절
절멸
몰살
박멸
제거
절제
말살
어린이과학동아
"
멸종
"(으)로 총 1,213건 검색되었습니다.
섭섭박사님과 실감나게 화산 실험을 해 보다! - 공룡들을 멸망시킨 게 이런 화산 폭발이었을까?
기사
l
20161120
이번 화산 폭발 실험은 너무 실감나고 즐거웠습니다. 실제 화산 폭발을 간접적으로 느껴보는 기회도 되었고 공룡들의
멸종
가설에 왜 화산 폭발이 있었는지 알 수도 있어서 더 뜻깊었습니다. 다음에는 더 많은 친구들과 함께 실험실에서 체험을 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앞으로도 더 많이 참여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참, 저 12월 3일 지구사랑탐사대 ...
현근성근탐험팀ㅡ최우수상 수상
탐사기록
l
20161120
3년동안 지구사랑탐사대 활동을 해온 현근성근탐험팀입니다~^^ 멋진 닥터구리프로비팀이 본보기가 되어 저희도 대회 출전도 하고 초등부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습니다~!지사탐에서 배운
멸종
위기 수원청개구리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맹꽁이를 탐구주제로 친구들과 출전하였습니다♡지사탐 열정으로 노력한 결실입니다♡~늘 응원해 주시는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님들과 장이권 ...
세계에서 가장 작은 돌고래, 바키타
기사
l
20161118
부레를 압수하고 멕시코 정부도 토토아바 사냥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환경 오염으로 바키타는 환경오염으로 여전히
멸종
의 길을 걷고 있습니다. 바키타를 지키기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이 있을까요? 아무래도 에너지 절약과 환경 보호가 중요하겠죠? 또 그린피스나 세계자연보호기금(WWF)를 후원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린피스 ...
낙동강의 흰수염난쟁이~
탐사기록
l
20161110
낙동강 본류는 모래채취와 보 건설, 녹조현상 등등 서식지가 많이 위태로웠고 아무리 지류가 온전해도 본류의 산란장이 훼손되어
멸종
을 걱정했었습니다.그렇기에 채집했던 장소는 이날이 처음 간 곳이라 혹시나 못보면 어쩌나 걱정했습니다. 채집이 시작된 20분 동안 우리는 모래 여울에서 어떠한 고기를 확인하지 못해 진짜 없는 건 아닌지 불안감이 절 ...
미호종개의 마지막 서식지
탐사기록
l
20161026
주 일요일에 비가 내리던 오후,전 미호천 지류에 다녀왔습니다^^바로
멸종
위기 1급이자 천연기념물 454호인 미호종개의 서식지를 점검하기 위해서였습니다.2년 만에 다시 찾은 서식지는 예전에 비해 표지판은 엉성하게 방치되었고 4대강 사업의 일원인 둑높이기 사업으로 인해 서식지의 상당수가 침수되어 모래대신 썩은 뻘이 퇴적되었습니다.상류 쪽으로 비 맞 ...
피의 색깔은 다 빨간 색일까?
기사
l
20161025
피는 무색입니다. 하지만 내장의 색깔은 빨간 색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오래전
멸종
한 공룡의 피는 무슨 색일까요? 오래전
멸종
해서 정확한 것은 모르지만 척추동물이어서 붉은 색이라고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파리를 잡으면 빨간 피가 나죠? 파리는 무척추 동물인데 왜 빨간 피가 날까요? 그건 바로 림프 액에 그 비밀이 있습니다 ...
가시고기
탐사기록
l
20161003
수 있습니다.이전에는 2종 다
멸종
위기 2급 어종이었지만 2012년 5월 31일 이후 잔가시고기는
멸종
위기 종에서 제외되었고 가시고기는
멸종
위기 2급 어종으로 유지되었습니다.그러다 보니 잔가시고기는 현재 개발과 희귀종 전문 수집가들에게 노출이 되었습니다.특히 영천의 금호강의 잔가시고기는 과거 우리나라에서 지각단층이 활발 ...
부산 해양자연사박물관에 가다!
기사
l
20160926
붙여졌다. 고래상어는 상어처럼 생긴 고래인데 국제자연보호연맹(UCM)이 규정한 취약종으로 많은 보호를 받고 있으며 사이테스에 의해
멸종
위기 동물로 지정되었다. 또 성게 3총사를 보았다. 맨 처음 성게는 우리나라의 보라성게다. 색깔이 보라색이라서 보라성게고 두번째 성게는 유럽성게다. 마치 유럽에서 온 성게라서 유럽성게가 아닐까 싶다 ...
매미 고정탐사 후기: 매미를 지켜라!!
탐사기록
l
20160925
'계속해야돼?'라는 생각도 있었다. 그런데, 하다보니 재미있었다. 매미 우화과정을 관찰하는것도 정말 신기하고 재미있었다. 우연히
멸종
위기종 맹꽁이를 발견한것도 재미있었다. 땅속에서 나오는 말매미 약충들도 신기했고, 내가 도와주고싶었다. 우화자리를 잘못잡아서, 에어콘 실외기 앞에서 날개를 말리다가 날라간 매미는 안타까웠다. 이번해에는 사람이 많은 ...
성무성어벤져스와 함께한 닥터구리의 민물고기탐사이야기
탐사기록
l
20160901
전북지역 만경강 지류하천 탐사다. 결혼전 부터 30년 물놀이 다니던 그곳의 다리이름도 새삼 다시보았다. 이곳에
멸종
위기1급 퉁사리가 산다는것도 오늘 알았다. 지난 8월 국립중앙과학관 생물탐구관 청개구리와물방개 전시때 민물고기들도 전시되어 있었다. 민물고기 도감을 보고 또 보아도 외워지지 않던 민물고기 녀석들 그녀석이 그녀석 같더니 오늘 성무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