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뉴스
"
최초
"(으)로 총 6,423건 검색되었습니다.
美 민간 개발 달 착륙선 ‘오디세우스’ 발사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두 번째로 달 표면에 착륙하는 미국 우주선이 된다. 미국 민간 우주기업 달 착륙선으로는
최초
다. 오디세우스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달 탐사 프로젝트 ‘아르테미스’와 연계된 ‘민간 달 탑재체 수송 서비스(CLPS)’의 일환이다. 지난달 8일 애스트로보틱이 달 착륙선 ‘페레그린’을 ... ...
방사선 유발 DNA 돌연변이 정체 밝혔다…"방사선 치료 안전성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2.15
제공 국내 연구진이 방사선이 정상세포에서 만들어내는 돌연변이를 세계
최초
로 명확히 규명했다. 안전하면서 효과적인 방사선 치료 기술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KAIST는 주영석 의과학대학원 교수 연구팀이 참여한 국내 공동연구팀이 방사선이 인간 및 생쥐의 정상 세포에서 만들어내는 DNA ... ...
유전자 신호 따라 클러치 작동하는 스마트 나노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4.02.14
연구팀이 유전자 신호를 감지해 스스로 클러치를 작동하는 생체 나노로봇을 세계
최초
로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로봇은 200나노미터(㎚, 10억분의 1미터) 크기의 극미세 영역 내 엔진, 로터(회전체), 클러치 등 기계 장치를 탑재해 특정 질병 인자를 감지하고 세포와 결합해 생체 신호를 조절할 수 ... ...
"정치와 과학기술 간 파탄 난 신뢰부터 복원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2.14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과실연은 2005년 6월 265명의 발기인을 중심으로 출범한 한국
최초
의 과학기술 시민운동단체다. 과실연은 최근 정부의 과학기술 정책 중 전 정부의 탈 원전 정책과 현 정부의 과학기술 연구개발(R&D) 예산 감축을 두고 ‘정치의 폭주’라고 표현하며 “정치가 결론을 미리 ... ...
2월 대한민국엔지니어상에 이호원·모형규
동아사이언스
l
2024.02.13
높이고 폴더블폰 대중화를 선도하는 데 기여한 공을 인정받았다. 이 그룹장은 “세계
최초
로 구현된 압도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모바일 산업에서의 세계 시장 점유율 확대 및 국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 폴더블폰 등 신규 모바일 제품군에서 핵심 요소 기술 개발에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 ...
찰스 다윈 소장 ‘개인 도서 전체'
최초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24.02.12
도서관에 있는 책, 저널, 팸플릿, 기사 등이 20년간의 조사 및 정리 끝에 공개됐다.
최초
의 박테리아 사진이 담긴 독일 정기간행물부터 엘리자베스 개스캘의 소설까지 다윈이 소유한 도서들의 범위는 방대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와이허 박사가 운영하는 ‘다윈 온라인’ 홈페이지를 통해 다윈이 ... ...
올해부터 길거리에 배달용 자율주행 로봇이 달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2.10
● 5년 뒤면 운전자가 사라진다? 2023년 12월 서울시는 심야 자율주행 버스 운행을 세계
최초
로 시작했어요. 합정역에서 동대문역을 잇는 버스는 9.8km를 자율주행으로 이동합니다. 서울시는 이전에도 광화문과 청와대 등 일부 지역에서 시범 도입하며 자율주행을 꾸준히 시험해 왔어요. 아직은 ... ...
美 캘리포니아에선 '외로움'도 공중보건 비상사태
동아사이언스
l
2024.02.09
선언했다. Aleksei Morozov/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마테오 카운티가 미국
최초
로 외로움을 ‘보건 비상사태’로 선포했다. 샌마테오 카운티 감독위원회는 지난달 30일 외로움을 공중보건 위기로 선언하고 지역사회의 사회적 연결을 촉진할 수 있는 조치를 모색하기로 한 ... ...
국내
최초
‘전기자극’으로 간암 치료…암세포만 타격
동아사이언스
l
2024.02.0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세브란스병원이 국내
최초
로 전기자극을 이용해 간암 세포를 사멸시키는 데 성공했다. 시술을 받은 간암 2기 환자는 현재 퇴원 후 일상생활 중이다. 세브란스병원은 김도영 소화기내과 교수와 김만득 영상의학과 교수팀이 비가역적 전기 천공법(IRE)을 이용해 간암 환자를 ... ...
[과기원NOW] KAIST, 유전자가위 광유전학으로 조절하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07
paCas13 시스템 모식도. KAIST 제공 ■ KAIST는 허원도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
로 리보핵산(RNA) 유전자가위 기술(CRISPR/Cas13) 활성을 화학 유전학 및 광유전학으로 조절해 시공간적으로 표적 RNA 염기를 편집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은 구조가 알려지지 않은 단백질 구조를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