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뉴스
"
최초
"(으)로 총 6,423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
2024.01.21
1964년에 항암제로 개발된 지도부딘은 1987년부터 항바이러스제로 사용하는 것과 비슷하게(
최초
의 '에이즈' 치료제는 폐기처분된 항암제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62082 참조) 같은 해에 의료용으로 승인된 닥티노마이신이 처음 개발 목적과 다르게 항암제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예를 대할 ... ...
프랭클린은 왓슨과 크릭에게 노벨상을 도둑맞았다?
과학동아
l
2024.01.20
지속하며 연구 성과를 교류했다. 1953년 6월 런던 왕립학회 집담회는 DNA 이중나선에 대한
최초
의 공적 발표 가운데 하나인데 이 발표의 저자를 보면 프랭클린과 그녀의 지도 학생 고슬링, 프랭클린의 상관 윌킨스, 왓슨과 크릭 등 두 연구 그룹의 인물들이 모두 이름을 올렸다. 특히 프랭클린은 ... ...
최고 기술 보유하고도 해외기업과 상용화 연구하는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9
나노테크놀로지'에 발표했다. 서로 다른 특성의 소자를 결합하는 탠덤 구조를 활용해
최초
로 발광소자를 제작한 성과다. 색 순도가 높고 제작비용이 높아 디스플레이 시장의 차세대 주자로 떠오르는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기술에 큰 진전을 이뤘다는 평가다. 석상일 UNIST 특훈교수 연구팀은 ... ...
인류가 '본'
최초
블랙홀 M87…1년 뒤 고리 밝기 변화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4.01.18
블랙홀 영상화팀을 공동으로 이끄는 조일제 천문연 박사후연구원은 "2017년에 발표된
최초
의 M87 블랙홀 이미지를 다시 한번 검증했을 뿐만 아니라 1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변하는 고리의 모습을 포착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며 "지속적인 블랙홀 관측의 중요성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 ...
남극해 ‘짠물’ 생성 과정, 첫 정밀 관측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1.18
위치(노란색 원). 극지연구소 제공. 남극 바다에서 짠물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세계
최초
로 정밀 관측됐다. 짠물은 바다 순환의 핵심인 ‘남극저층수’를 움직이는 마중물 같은 존재인 것으로 확인됐다. 극지연구소는 이원상 극지연구소 책임연구원과 경북대, 미국 컬럼비아대, 뉴질랜드 ... ...
내성 극복하는 폐암 항암제 모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18
단백질을 표적으로 프로탁 기반의 비소세포 폐암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보여준
최초
의 실험 결과”라며 “기존 항암제의 한계점인 독성과 내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의료화학저널’에 지난달 19일 게재됐다. 방정규 KBSI ... ...
中 연구진 '치사율 100%' 코로나바이러스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8
발표됐다. 이번 연구는 코로나19 관련 바이러스에 감염된 쥐의 치사율을 100%로 보고한
최초
의 연구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연구진에 따르면 이전에 보고된 다른 연구 결과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다만 이번 결과가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논문에 따르면 ... ...
복제 원숭이 2년 생존…"세계 최장 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4.01.17
기술은 지난 1996년 영국 로슬린 연구소의 이언 윌머트와 키스 캠벨 두 과학자가 세계
최초
복제동물인 돌리를 탄생시키는 데에 쓰이며 전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당시 6살짜리 암컷의 유선 세포에서 추출한 핵을 다른 암컷의 난자 핵과 바꾼 뒤 대리모 자궁에 이식하는 획기적인 ... ...
세계
최초
‘고효율 탠덤 페로브스카이트 발광소자’ 개발…OLED 효율 장점 갖춰
동아사이언스
l
2024.01.16
소자 제작에 성공했다. 이는 페로브스카이트를 기반으로 탠덤 발광소자를 제작한 세계
최초
의 연구결과다. 연구팀은 광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고효율·고색순도를 동시 구현하는 최적의 소자구조를 찾아 ‘하이브리드-탠덤 밸리(h-Tandem Valley)’로 명명했다. 새로운 하이브리드 탠덤 소자는 ... ...
"비타민D, 노화로 인한 지방간 생성 억제"
연합뉴스
l
2024.01.16
단백질(Micos60)을 급격히 감소시켜 간에서 지방 축적량이 크게 증가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
로 증명했다. 또한 노화 쥐에 충분한 양의 비타민D를 보충하면 Micos60이 증가해 지방간 생성을 억제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이번 연구는 그간 근거가 부족했던 비타민D의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