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반
전송
수송
정보전달
정보
정보전달매체
매체
스페셜
"
전달
"(으)로 총 1,26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낮은 반면 뇌간의 수도관주위회백질(PAG)의 활성도는 높았다. 그리고 통증 신호가
전달
되는 부위인 척수의 경우 예상대로 활성도가 높았다. 연구자들은 이 결과를 다음과 같이 해석했다. 즉 두 제품 가운데 비싼 크림을 바른 사람들은 부작용이 더 클 것이라고 예상할 경우 rACC의 활성이 낮아지고 그 ... ...
토스터 크기 소형 탐지기, “유령을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17
이보다 수백 억 배 이상 무거운 원자핵과 결맞음 상호작용을 통해 탄성 에너지를
전달
한다. 뉴바이 교수는 이 현상을 “탁구공이 볼링공을 쳤을 때, 볼링공에 미세한 떨림이 생기는 정도의 흔들림”이라고 묘사했다. 유 교수는 “이번에 관측된 중성미자의 결맞음 상호작용은 초신성이 폭발할 때 ... ...
식물의 ‘잎 크기’ 결정하는 요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9.03
파여 있는 구멍은 폭우와 강한 바람에 견딜 수 있게 도우며, 아래쪽 잎까지도 태양 빛을
전달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안 라이트 호주 맥퀴리대 교수팀은 전 세계 682개 지역 7670종 식물의 잎 모양과 서식지를 분석, 잎의 모양을 결정하는 새로운 분류법을 고안해 ‘사이언스’ 8월 31일자에 발표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corticospinal tract)라고 부른다. 근육과 연결된 운동뉴런이 척수에서 만나 신호가
전달
된다. 연구결과 사람을 포함한 진원류는 피질척수뉴런과 손 근육의 운동뉴런을 1대 1로 연결하는 회로가 잘 발달해 있는 반면 다른 포유류에서는 이 연결이 부실한 것으로 밝혀졌다. 어찌 보면 예상한 내용이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린 어떻게 습기를 느낄까
2017.07.25
같은 곤충에서처럼 특화된 습도수용체인 건 아니다. 한편 선충에서 열감각(온도) 정보를
전달
하는 AFD 뉴런이 습도 해석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AFD 뉴런에서 발현하는 tax-4라는 유전자를 고장 내면 선충은 습도를 제대로 알아채지 못한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선충이 툰베리의 가설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
2017.05.24
완화하는 소규모 임상이 성공을 거뒀다. 전기쇼크로 자극된 미주신경의 신호가 비장으로
전달
돼 면역세포(대식세포)의 활동을 억제하는 메커니즘을 도식화했다. - 네이처 제공 ● 기능의학적 접근도 활발 아무튼 아직까지 이렇다 할 치료법이 없는 상태에서 생활습관을 개선해 증상을 완화하고 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
2017.04.18
화학적 감각으로 냄새분자나 맛분자가 직접 수용체 단백질에 달라붙어야 신호가 뇌로
전달
된다. 냄새수용체는 무려 400가지나 되고 맛수용체도 수십 가지인데 특히 쓴맛수용체가 30여 가지에 이른다. 따라서 풍미의 개인차는 냄새수용체나 맛수용체 유전자의 차이 또는 해당 정보를 뇌에서 처리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규모 7.8 지진으로 뉴질랜드 南-北섬 5m 가까워져
동아사이언스
l
2017.04.16
뉴질랜드 헌데일 단층에서 시작된 지진 에너지는 북쪽으로 15㎞ 떨어진 요르단 단층까지
전달
됐다. 이 에너지는 케키렝구 단층을 지나 170㎞ 이상 북쪽으로 전파됐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진 가능성을 예측하는 과학자들이 보다 폭넓은 관점을 가져야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지진의 규모는 파열된 ... ...
[사이언스지식IN] “돌 안된 아이에 꿀 금지, 잊지마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4.14
만든 독소는 입자가 큰 편이어서 수유부가 꿀을 먹었어도 그 성분이 모유로
전달
되지 않는다고 한다. 보툴리누스균의 포자는 열에 매우 강해 100℃에서 6시간 이상 가열해야만 죽일 수 있다. 가정에서 일반적인 방법으로 꿀 속 보툴리누스균을 죽이긴 힘들다. 영아 보툴리누스증의 전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수록 잠의 질이 떨어지는 이유
2017.04.11
보낸다. 반면 시상하부에 있는 시각교차앞영역(POA)에서는 갈라닌(galanin)이라는 신경
전달
물질을 분비해 수면의 시작과 유지를 담당한다. 역시 시상하부에 있는 시교차상핵(SCN)은 24시간 주기의 생체시계를 관장하며 외측시상하부영역을 자극해 수면시간을 조율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나이가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