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전달"(으)로 총 1,269건 검색되었습니다.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존재한다. 예전에는 세포가 내놓는 '쓰레기'로 오해받았지만 최근 연구를 통해 세포 신호 전달, 종양의 진행이나 전이 등에 기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나노소포체를 분석하면 암 등 각종 질병 유무를 파악할 수 있어 새로운 질병 지표로 주목받고 있다. 나노 소포체를 효과적으로 걸러내는 마땅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2017.03.21
- 이루는 염기의 하나인 아데닌(adenine)에 리보오스가 붙어 있는 아데노신은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 뉴런이 피로해졌을 때 이를 회복시키는 작용을 한다. 일을 많이 하면 피곤하고 졸리는 것도 뇌세포에 아데노신 농도가 높아진 결과다. 뉴런의 아데노신 수용체에 달라붙어 이런 작용을 방해하는 ... ...
-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3.07
- 중증근무력증은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한 항체가 생겨 신호가 신경에서 근육으로 전달되지 못하는 질환이죠. 중증근무력증의 면역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아세틸콜린 수용체의 항체 형성을 막기 위한 경구 면역조절 단백질을 연구했습니다." 음식물에서 유래하는 단백질은 외부물질이지만 ... ...
- 양자컴퓨팅의 세계, 기초과학이 토대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3.07
- 발표했으며(네이처 피직스, 2017. 02) 나노구조물리 연구단은 빛의 속도로 정보를 전달하는 초고속 광전소자를 개발했다(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2016. 11). 이렇듯 양자컴퓨터 상용화를 위해 기초과학 연구를 포함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실제 상용화시기를 점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당장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털과 땀샘의 음양이론2017.02.07
- 높은데 이런 사람들은 땀샘의 밀도가 높아 땀을 많이 흘린다는 것이다. EDAR은 BMP:SHH 신호전달 과정에 관여하는 수용체 단백질이다. 당시 저자들은 이런 특성이 수만 년 전 동아시아 기후가 고온다습해 그에 대한 적응으로 진화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동아시아 사람들의 털 밀도는 ... ...
- "최고 수준의 중이온가속기 건설에 모든 걸 걸었어요!"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로컬제어)를 담당하고 있다. 최 연구위원은 2016년 SCL 데모 시험시설에서 빔을 생성하고 전달하는 데 필요한 전자사이클로트론공명 이온원(ECR-IS)과 저에너지 중이온빔 전송장치(LEBT)의 제어시스템을 개발하고 구축하는데 주력했다. 최 연구위원은 "가속기는 수십 만개의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모든 ... ...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갖는 플래시 메모리 구조에서 저장 전극을 없애고, 시냅스처럼 2개의 전극으로 신호 전달 및 저장을 동시에 수행하는 TRAM(터널링메모리)을 구현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터널링 메모리 구조는 상용화돼 있는 실리콘 메모리에도 곧바로 적용이 가능하다. 또 소비 전력이 낮고, 물질적 안정성이 높으며, ... ...
- [사이언스 지식in] 굴 하나 잘못먹어도 노로바이러스에 걸리나요?동아사이언스 l2017.02.02
- 들어가 그 안에서 자손을 불립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처럼 유전정보는 RNA를 통해 전달하며, 유전자 변이가 쉽게 일어난다는 특징을 갖고 있지요. 우리가 알고 있는 ‘노로 바이러스’라는 이름은 2002년부터 쓰였습니다. 그 전에는 ‘노르웍 바이러스’라고 불렸지요. 1968년 미국 오하이오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말 빨리하는 사람이 싱거운(?) 이유!2017.01.23
- 여성보다 정보밀도가 높았다. 이에 대해 코헨 프리바 교수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정보전달 능력이 떨어지는 게 아니라 듣는 사람을 좀 더 배려하기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그나저나 알파고 수준의 번역기는 언제쯤 나올까.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 ...
- IBS 5년간 땀과 노력, 한 권으로 집대성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신경세포 자라게 하고 뇌 기억력 높인다 02.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 시냅스 신경전달물질 수용체서 자폐 치료 실마리 발견 03. 시냅스 뇌질환 연구단 | 뇌 속 100조개 시냅스의 조절 원리를 밝히다 04. 면역 미생물 공생 연구단 | 음식물의 장내 면역 반응 억제 원리 규명 05. RNA 연구단 | 생명 활동의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