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도 조각퍼즐을 좋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000
개
의 서로 다른 모양의 조각을 맞춰 한 폭의 그림을 완성하는 조각퍼즐이 인기다. 그런데 식물도 조각퍼즐 맞추기 고수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들의 사용하는 조각은 바로 세포.미국 리버사이드 소재 캘리포니아대 젠비아오 양 교수팀은 잎의 세포가 조각퍼즐처럼 서로 맞물려 자라는 ... ...
02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능력이 있는 식물이 세계적으로 440종이 넘는다고 한다. 지난해 집계를 보면 약 10%인 44
개
의 식물을 이용한 환경정화 기술이 특허를 받았거나 특허 심사 중인데, 이 중 중금속 정화에 관련된 기술이 절반을 차지한다.지금 식물학자들이 약용식물을 찾아 전 세계를 헤매고 있는 것처럼 앞으로는 ... ...
05 푸른 향기 가득한 우주정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2002년 우주왕복선 애틀란티스호를 이용해 우주에서 재배한 콩을 가져오는데 성공했다. 4
개
월 전 우주정거장으로 가는 엔데버호에 콩 씨앗을 실어보내 우주에서 싹을 틔우고 열매를 맺은 것을 회수한 것이다. NASA는 당시 이 경험을 토대로 작은 작물재배실 즉 ‘우주샐러드 기계’를 만드는 계획을 ... ...
67시간의 논스톱 세계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있다.영국 BBC방송은 포셋에 대해 “5
개
분야에서 100
개
이상의 기록을 세웠으며 이중 60
개
는 아직도 깨지지 않고 있다”고 보도했다. 모험을 즐기는 만큼 위험도 많아 1997년 열기구로 세계 일주에 도전했을 때는 러시아에 불시착했고 이듬해 도전에서는 폭풍을 만나 호주 해안에 떨어지는 사고를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설명했다. 반면 남성은 단맛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한편 맛에 대한 민감도는
개
인에 따라 다르다. 이런 현상은 특히 쓴맛에서 두드러지는데 여기에는 유전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추측됐다. 연구자들은 오래 전부터 쓴맛을 내는 물질 중 하나인 페닐티오카바마이드(PTC)에 대한 민감도의 차이를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국내 유일의 연구용 원자로 ‘하나로’가 지난 2월 8일로 가동 10돌을 맞았다. 1995년 차갑던 노심이 ‘마법의 불꽃’을 밝힌지 꼭 10년째를 맞은 것이다. 올해는 하나로 ... 오는 4월11일부터 13일까지 지난 10년간 하나로의 성공적인 운영과 이용을 기념하는 국제심포지움을
개
최할 계획이다 ... ...
포항공대, 결핵 DNA 백신
개
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항생제 내성 결핵균이 나타나 환자가 매년 늘고 있다.연구자들은 결핵균의 유전자 2
개
를 함유한 DNA가닥, 즉 DNA백신을 만들어 생쥐에 주사했다. 생체에 침투한 DNA에서 만들어진 단백질은 항체로 작용, 면역 반응을 촉진한다. 영국 국립의료원 더를라스 로리 박사는 “DNA 백신은 항생제에만 의지한 ... ...
사람 피부같은 촉각 센서
개
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더 세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또 연구팀은 가로와 세로가 22mm인 하나의 촉각센서를 여러
개
연결해 원하는 만큼 넓은 면적에 적용할 수 있게 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이형규 박사는 “사람 피부를 본격 모방해 세밀한 자극감지능력, 부드러움, 확장성을 갖춘 촉각센서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 ...
지자기 북극과 남극 바뀔까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지지를 얻어 제안된 다국적 프로젝트다. 이를 위해 인공위성이 한꺼번에 세
개
나 지구 주위를 돌게 된다.스웜 A와 B는 적도 부근에서 수평방향으로 서로 150km 가량 떨어져 나란히 돌면서 동시에 자기장을 측정한다. 처음에는 지구 상공 450km 궤도를 돌게 되지만 임무가 끝날 때쯤이면 300km까지 지표 ... ...
영화 말아톤의 감동은 진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불릴 정도로
개
인에 따라 증상이 다양하다”며 “그럼에도 지속적인 관심과 교육을 통해
개
선될 여지가 많다”고 말했다. 자폐증인 사람은 뇌의 구조가 보통 사람들과 조금 다르고, 그 결과 세계를 해석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말아톤’ 줄거리얼룩말과 초코파이를 좋아하는 ... ...
이전
1049
1050
1051
1052
1053
1054
1055
1056
10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