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불규칙한 바람에서 노다지를 캐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반응하는 압전센서를 여러 줄로 배치한 다중배열마이크로폰 (PDVF)도 이런 가운데 나온
개
발품이다.성 교수의 연구는 산업과 직결될 수 있다는데 의의가 있다. 현대자동차와의 공동 연구 외에도 유동제어연구실이 그 동안 이뤄낸 성과는 꽤 많다. 선박 표면 마찰저항을 줄여 연료비를 절감하는 ... ...
돈 잘 버는 사람이 최고 공학자 박희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그 제품을 LG필립스LCD, 삼성전자 등 세계 1위인 회사의 공장에 설치해 끊임없이 초일류로
개
선하는 것이 두번째 강점입니다. 일본과 미국에 경쟁 회사가 하나씩 있지만 우리를 따라오지 못할 것입니다.”그의 꿈은 앞으로 에스엔유프리시전 2호, 에스엔유프리시전 3호 등이 계속 나오는 것이다. ... ...
음식물쓰레기도 돈 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경기도 용인시 포곡면 전대리 삼성에버랜드. 정문을 지나쳐 음식물자원화센터에 도착했다. 에버랜드 안에 있는 40여
개
식당에서 나오는 음식물쓰레기는 여기로 모인 다 ... 배재근 교수는 “음식물쓰레기에서 소금을 원천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은 현재까지
개
발되지 못했다”고 말한다 ... ...
파리에 가다, 과학에 취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첫 무대도 바로 루브르박물관이야.밀로의 비너스, 나폴레옹 황제의 대관식 등 몇
개
의 유명한 작품을 봤어. 가장 사람들이 많이 몰린 곳은 역시 모나리자야. 얼마나 사람이 많이 몰렸으면 한 줄로 들어갔다 그림을 본 뒤 바로 나와야 했다니까.이사벨이라고 하는 박물관 가이드 언니가 그러더라고. 다 ... ...
창의세상 -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가득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만날 수 있다. 또한 아인슈타인이 태어나서부터 사망하기까지가 체계적으로 정리된
개
인 역사기록을 볼 수 있다. 1879년 3월 14일 오전 11시 30분에 독일에서 태어난 아인슈타인이 1905년 다수 논문 발표와 박사학위 취득, 1912년 취리히 대학의 교수 임용, 1955년 4월 18일 오전 1시 15분에 미국 프린스턴 ... ...
모든 생물의 '유전자 신분증' 만든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열린 국제회의에서 25
개
국 과학자들은 ‘생물 바코드 만들기’ 프로젝트
개
시를 선언했다.이 프로젝트의 목표는 포유류 조류 어류 식물을 망라한 1000만 종의 생물을 대상으로 유전자 지문을 만든 뒤 각각 유전자 지문에 따른 바코드를 부여하는 것이다. 바코드가 부여되면 간단한 테스트로도 종을 ... ...
5. 디자인은 대화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디자인한 방사형 전등갓 ‘놈(norm)69’는 69
개
의 부품형태로 판매된다. 구매자는 69
개
의 조각을 하나하나 맞춰가면서 ‘예술작품’을 창조하는 기쁨을 누리게 된다.노먼 교수는 위와 같은 제품의 디자인적 특성을 ‘반성적 디자인’(reflective design)이라는 용어로 표현한다. 즉 첫눈에 보기에 좋거나 ... ...
“일단 믿고 맡겨봐” 인간과 맞붙은 로봇 외과 의사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평소 심장질환을 앓아온 여성 직장인 A씨는 몇달전 담당의사로부터 이색적인 제안을 받았다. 로봇을 이용한 수술을 받아보면 어떠냐는 제안이었다. 외과전문의가 직접 수술하는 것 ... 절
개
하지 않고 원격 조종되는 초소형 로봇을 몸 안에 주입해 수술하는 시스템도 한창
개
발 중이다 ... ...
신이 내린 선물 곰팡이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찾지 못했다.곤충병원성 곰팡이는 외국에서도 연구가 아주 미흡한 미생물이다. 그만큼 미
개
척지다. 필자는 언젠가 한국 토종 곰팡이에서 페니실린 버금가는 물질을 발굴할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한다 ... ...
우주는 여전히 출산 중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쯔비키 18’보다 훨씬 멀리 떨어져 있다. 그 결과 아쉽게도 허블우주망원경으로도 별들이
개
별적으로 보이지 않아 분석이 불가능하다.아기 은하의 존재에 대한 멋진 발견이 이어졌지만 여전히 의문은 남는다. 첫 번째 별이 생성되기까지 왜 그토록 오랜 시간이 걸렸을까? 그 이유는 아직 미스터리로 ... ...
이전
1051
1052
1053
1054
1055
1056
1057
1058
10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