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 508억 년에 1초 느려지는 새 원자시계 개발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과 휴대전화, 방송처럼 시간을 정확히 지켜야 하는 분야에 꼭 필요한 원자시계의 오차가 지금의 100분의 1로 줄게 됐다 ... 장기간에 걸쳐 솟아오른 산맥의 높이 등을 측정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포토닉스’ 5월 24일 자에 발표됐다 ... ...
- “인간 유전자는 특허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특허가 풀린 유전자를 이용해 새로운 치료법을 만들거나 또 다른 기능을 찾아내는 기초 연구 등 그동안 특허에 가로막혔던 일에 새로 도전해볼 수 있게 된 것이다.대법원은 이번에 미리어드 지네틱스사가 인공적으로 만든 유전자에 대해선 특허권을 인정했다. 하지만 이 역시 향후 문제가 될 수 ... ...
- 24시간 태양이 빛나는 북극 다산기지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추출해 제대혈, 줄기세포, 혈액 등 중요한 생물자원을 초저온에서 오랫동안 보관하는 연구도 하고 있어요.이밖에 다양한 생물자원을 이용해 항산화제, 항생제, 항암제 등 바이오신소재도 탐색하고 있지요. 현재 다산기지 주변에서 채집한 바닷물 미세조류 67주와 민물 미세조류 43주를 ... ...
- “정답 없는 문제를 풀어야 비로소 보이는 것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훗날 직접 화학 공정을 설계하고 관리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이예린 교수님께서 연구하시는 ‘초임계상태’ 물질이 일상생활에도 쓰이는지 궁금합니다.이산화탄소나 물 등에 임계점을 넘기는 고온·고압을 가해 고체도, 액체도, 기체도 아닌 상태로 만든 것이 바로 초임계 상태입니다. 초임계 ... ...
- 1차원 - 제돌이, 바다로 돌아가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확인한다. 고래의 등지느러미는 마치 사람의 지문처럼 각기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연구자들은 등지느러미만 보면 개체를 구분할 수 있다. 만약 처음 보는 지느러미라면 새로운 식별번호를 붙인다. 이전에 봤던 지느러미라면 그 개체가 잘 살고 있다는 뜻이다. 남방큰돌고래 8호도, 10호도 그랬다. ... ...
- INTRO-초끈으로 우주만들기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끈이라고 한다. 믿기 어려운 이야기지만 많은 물리학자들은 그게 옳다고 생각하고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쿼크, 양성자, 중성자, 전자, 원자, 분자, 행성, 별, 은하, 그리고 우주. 이 모든 것을 10-35m에 불과한 끈으로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 우리의 상상력을 뛰어넘는 이론에 도전하는 물리학자들은 이 ... ...
- 촉각 마우스로 만져보고, 인터넷으로 옷 산다.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쿨링모듈로 온도를 조절해 물체의 차갑고 뜨거운 정도를 구현해 냈다.박연규 책임연구원은 “이 기술을 응용하면 실제로 만질 수 없는 박물관 유물을 마우스를 통해 느껴보거나 3D 온라인 게임을 하며 생생한 촉각과 현장감을 느낄 수 있다”고 말했다 ... ...
- 3D프린터로 만드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배터리과학동아 l2013년 07호
- ‘배터리 광탈’. 배터리가 순식간에 닳아 없어진다는 뜻의 은어로 스마트폰을 쓰는 사람에겐 낯설지 않은 말이다. 그런데 3D프린팅 기술이 ... 배터리는 곤충을 모방한 초소형 로봇, 의료기기, 휴대기기에 쓰이게 될 전망이다.이번 연구결과는 ‘어드밴스드 머터리얼스’ 6월 8일자에 실렸다 ... ...
- 누가 더 친환경적일까?과학동아 l2013년 07호
- 소형차를 3명이 함께 타고 갔을 때 1인당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는 50kg 정도로 비슷했다.연구팀은 “교통수단이 환경에 끼치는 영향을 줄이려면 연료 효율성을 높이고 저탄소 연료를 개발해야 한다”며 “일반인의 경우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자동차를 여러 명이 타고 가야 한다”고 권했다 ... ...
- 피 조금만 뽑아도 되는 초민감 센서과학동아 l2013년 07호
- fg/mL(fg는 펨토그램으로 1000조 분의 1) 감도로 찾을 수 있는 센서를 만들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이 개발한 센서는 혈액 안에 존재하는 1pg/mL~100ng/mL의(pg는 피코그램으로 1조 분의 1g, ng는 나노그램으로 10억분의 1g) 극미량의 물질을 감지할 수 있다. KIST는 이 센서로 “전립선암과 심혈관계 질환을 ...
이전1055105610571058105910601061106210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