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수학을 잘해야 영어도 잘한다?!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지나가는 영상 속에 숨어 있는 규칙을 잘 찾는 학생들이 히브리어도 빨리 배운 것이다.
연구
팀은 “언어는 문법을 따르기 때문에 규칙을 찾아내는 능력이 좋으면 언어도 쉽게 배울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수학하는 동물들이 나타났다!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신기한 일만 찾아다니는 ‘세상에 이런 일이!’의 최 PD입니다. 제가 놀라운 이야기 하나 해 드릴까요?글쎄, 인간도 어려워하는 ‘수학’에 통 ... 패턴 등 자연에서 찾을 수 있는 수학적인 원리는 뇌
연구
에서 로봇 개발까지 다양한 첨단
연구
의 시작점이 되고 있다 ... ...
[체험] 수학으로 툭 튀어나온다! 팝업 카드 만들기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돌리면 여러 개의 글자나 일러스트를 볼 수 있게 되어 있었다. 유이는 자신의 천문
연구
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볼벨레를 이용했다.이후 18세기까지 팝업책은 주로 천문학과 수학 등 자연과학 분야를 쉽게 설명하기 위해 사용됐다. 18세기 중반에 이르러서야 현재처럼 어린이들을 위한 책이 ... ...
[시사] 야구 하는 고릴라가 나타났다! 미스터 고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가며 회귀분석★을 한 결과 만들어졌다. 처음 이 식이 만들어졌을 때에는 n=2였으나, 후속
연구
를 통해 미국 메이저리그의 경우 n=1.83, 한국 프로야구에서는 n=1.87일 때 더 나은 예측을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회귀분석★ 둘 이상의 변수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추측통계의 한 분야.기호와 숫자의 ... ...
[생활] 데카르트가 들려주는 무지개 이야기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따라 무지개의 모습은 다양하게 변하죠.저는 1637년부터 무지개에 대해 본격적으로
연구
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가장 먼저 무지개를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하는 미세한 물방울 하나를 거대하게 확대해 그려 보았지요.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굴절의 법칙을 적용해, 무지개를 이루는 빛은 물방울을 ... ...
[독자탐방] 미니 브릿지 융합 수학을 맛보다!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잘 알려지지 않은 것 같다. 수학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우리나라의 전통 문화 속 패턴을
연구
해서 브릿지 학회에서 소개하면 참 좋을 것 같다.수학은 더 이상 딱딱한 학문이 아니다!유수민(서울 대원국제중 3)가장 좋아하는 과목인 수학과 다른 학문과의 연계성에 대한 호기심이 많았던 나에게 이 ... ...
1차원 - 제돌이, 바다로 돌아가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확인한다. 고래의 등지느러미는 마치 사람의 지문처럼 각기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연구
자들은 등지느러미만 보면 개체를 구분할 수 있다. 만약 처음 보는 지느러미라면 새로운 식별번호를 붙인다. 이전에 봤던 지느러미라면 그 개체가 잘 살고 있다는 뜻이다. 남방큰돌고래 8호도, 10호도 그랬다. ... ...
내 몸에 환경호르몬 얼마나? 치아를 봐!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대표적 환경호르몬인 비스페놀A(BPA)가 치아를 손상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이를 이용하면 몸 안에 BPA가 쌓이기 전에 미리 알 수 있다. ... 환경호르몬이 몸 안에 많이 쌓이기 전에 미리 알아낼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이
연구
결과는 ‘미국병리학저널’ 6월 10일자에 발표됐다 ... ...
누가 더 친환경적일까?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소형차를 3명이 함께 타고 갔을 때 1인당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는 50kg 정도로 비슷했다.
연구
팀은 “교통수단이 환경에 끼치는 영향을 줄이려면 연료 효율성을 높이고 저탄소 연료를 개발해야 한다”며 “일반인의 경우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자동차를 여러 명이 타고 가야 한다”고 권했다 ... ...
"멍멍 멍멍멍 멍멍 멍!" 내 마음 알겠니?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같은 고차원적인 생각이라면 얘기가 달라지지요. 동물의 사고력이나 수리능력에 대한
연구
는 많지만, 아직까지 동물이 철학적인 사고를 한다는 얘기는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백번 양보해서 애니멀 커뮤니케이터가 동물의 억울한 마음을 알아낸 뒤 인간의 언어로 풀어낸 거라고 해 보지요. 그게 ... ...
이전
1056
1057
1058
1059
1060
1061
1062
1063
10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