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X KRISS] 기본전하 상수로 새롭게 태어나는 암페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무한히 길고 무시할 수 있을 만큼 작은 원형 단면적을 가진 두 개의 평행한 직선 도체가 진공 중에서 1 m간격으로 유지될 때 두 도체 사이에 m당 2×10-7 N의 힘이 생기게 하는 일정한 전류’. 1948년 제9차 국제도량형총회에서 정의돼 지금까지 사용해온 1 A(암페어)의 정의는 모호하고 길었다. ‘무한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목소리가 반영된 맞춤형 장치 개발이 중요하다는 의미다. 협회는 국제기관과의 공동연구, 빔 타임 배정을 위한 논의 등을 진행하게 된다. 그중에서도 협회의 가장 중요한 임무는 미래의 젊은 과학자를 육성하는 일이다. 문 협회장은 “라온의 성공 여부는 전문인력 양성에 달려있다”며 “아무리 ... ...
- [Origin] 이산화탄소를 연료로, 인공광합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섬유 등을 생산하는 데 활용될 전망입니다. 2010년 미국 에너지부(DOE)에 인공광합성공동연구센터(JCAP)가 설립되면서 인공광합성 연구는 더욱 활발해졌습니다. 당시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연설에서 이 센터를 통해 태양과 물로부터 자동차의 연료를 만들어내는 일이 가능해질 거라고 강조했습니다 ... ...
- [인터뷰] 연세대 신입생 대표 염규민 “강점인 수리논술 집중해 부족한 내신 극복”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신입생들이 1년간 인천 송도에 위치한 국제캠퍼스에서 기숙사 생활을 하며 수업을 듣고 공동체 생활을 하는 RC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RC 프로그램은 미국 하버드대와 예일대 등 세계 유수의 명문대들이 운영하는 교육 방식을 도입해 한국의 상황에 맞게 적용한 것으로, 2014년 처음 시작됐다. 현재 ... ...
- 수학의 남북통일은 가능할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전환해 핵 없는 한반도를 만든다는 공동 목표를 확인했다.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개성에 설치하고, 남북적십자회담이나 이산가족 상봉 같은 행사도 열기로 했다. 한반도에 평화의 봄이 오고 있는 것이다. 진정한 한반도의 평화를 위해서는 아직 거쳐야 할 관문이 여럿 ... ...
- [과학뉴스] 별세포 활성 떨어지면 운동 능력은 향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KIST) 신경교세포연구단 책임연구원 팀은 윤보은 단국대 분자생물학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비신경세포 중 가장 많은 별세포가 소뇌의 운동 능력에 관여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4월 24일자에 발표했다. 별세포는 주로 신경세포의 이온농도를 조절하거나 노폐물을 ... ...
- [과학뉴스] 조용히 수영하는 ‘뱀장어 로봇’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와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공동 연구팀이 전기모터 대신 물을 채운 인공근육을 이용해 소음이 없는 뱀장어 로봇을 개발했다. 지금까지 수중 로봇은 대부분 프로펠러가 장착된 전기모터로 움직였다. 전기모터가 돌아가면서 소음이 발생해 ... ...
- [포커스 뉴스] ‘꽃의 여왕’ 장미, 유전자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프랑스 리옹고등사범학교 식물생식발달연구소 연구원과 독일, 중국, 영국 등의 과학자가 공동 주도하는 국제 연구팀은 월계화(Rosa chinensis)의 게놈(유전체)을 해독해 유전자 지도를 완성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제네틱스’ 4월 30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88-018-0110-3 월계화는 중국이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우주항공 엔진 달고 꿈을 향해 비상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아닌 우박이 떨어졌던 5월 3일. 서울대 정밀기계설계 공동연구소 1층에 위치한 휴게실에서 여섯 명의 우주항공공학전공 학생들을 만났다. 17학번과 18학번인 이들은 출신 학교와 지역이 모두 달랐지만, 우주와 물리, 항공기와 로켓을 좋아한다는 공통분모가 있었다. 내신 4등급 받아도 포기 안해_1 ... ...
- [과학뉴스] 암 진행 단계 확인 ‘지수’ 나왔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주목할 만한 연구결과는 브라질 상파울루 의대와 미국 하버드대, 폴란드 포즈난대 공동연구팀이 개발한 ‘유사줄기세포능(stemness-like) 지수’다. 연구팀은 종양세포의 탄생과 죽음이 줄기세포와 비슷하다는 점에 주목했다. 건강한 줄기세포가 새로운 세포로 분화하는 시기의 분자 특성 데이터를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