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동"(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6. 일반 마스크도 효과 있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양을 낮출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한중일이 미세먼지 이슈에는 공동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배 단장은 “미세먼지를 저감하려면 국내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줄이는 것뿐 아니라, 동북아 전체에서 미세먼지 발생을 줄이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이 병행돼야 할 ... ...
- [서울대 공대] 전기·정보공학부 최대&최강 교수진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연구할 수 있는 주제가 거의 없고 협력, 융합 연구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공동 연구자들이 서로 자신의 생각만 내세우거나 좋은 결과를 얻었을 때 자신의 공로만 강조하다 보면 장기적으로 좋은 성과를 내기가 어렵다. 이병호 학부장은 “의견을 조율하면서 협업할 수 있는 소통 능력이 ... ...
- [과학뉴스] 다이아몬드가 밝힌 맨틀의 비밀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가치를 지닌다. 올리버 샤우너 미국 네바다주립대 지구과학과 교수가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팀이 다이아몬드의 불순물에서 발견한 독특한 결정체인 ‘제7형 얼음(Ice-VII)’을 분석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3월 9일자에 발표했다. 제7형 얼음은 3만 기압 정도의 고압에서도 고체상태를 유지하는 ... ...
- [Culture] 그 많은 감귤 패밀리는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doi:10.1038/nbt.2906 알버트 우 미국 에너지부 조인트게놈연구소 박사팀을 비롯한 다국적 공동연구팀은 만다린 네 종류와 포멜로 두 종류, 오렌지 두 종류의 게놈을 해독해 비교분석했다. 오렌지가 만다린과 포멜로의 교잡종인 것은 확실하므로, 그 구체적인 족보를 따져보겠다는 취지였다. 그 결과 ... ...
- 과학 수사의 최전선, 겹친 지문을 분리하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고군분투 중이다. [지문 식별 기술 1] 사람마다 다른 땀 성분 3월 7일.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 한쪽에 위치한 이 교수팀의 실험실을 찾았다. 광학 장치와 서버, 그리고 현미경처럼 생긴 분광분석장치가 실험실에 빼곡히 들어 서 있었다. 조재범 박사과정 연구원이 분광분석장치로 촬영한 겹친 지문 ... ...
- [Origin] 세상에서 가장 작은 기계, 분자기계과학동아 l2018년 04호
- 1로 저장됩니다. 스토더트 교수와 짐 히스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교수 공동연구팀은 기존의 로탁세인 분자 스위치 연구를 기반으로 메모리 칩을 개발해 2007년 ‘네이처’에 발표했습니다. 원리는 간단합니다. 로탁세인에 전압을 가하면 고리분자의 위치가 변하고, 그에 따른 저항 ... ...
- [DGIST] 눈앞에 ‘뙇’ 증강현실 수술 내비게이션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가격은 10분의 1 수준으로 낮췄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현재 국내 유수 대형병원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AR 수술 내비게이션의 성능을 검증하고 있다. 이미 동물 뼈와 사람의 사체에 적용한 실험에서 임상시험에 도입해도 될 수준이라는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연구진은 숨을 쉬고 움직이는 ... ...
- Part 2. 폭풍성장 사춘기의 몸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영국 케임브리지대 의학연구위원회(MRC)와 미국의 유전자분석기업 23앤드미(23andMe)가 공동연구를 통해 꾸준히 유전자를 찾아내왔다. 시작은 2015년 11월이었다. 존 페리 수석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남성 5만5000명의 유전자 정보를 분석해 사춘기의 시작을 결정하는 유전자 20개를 특정했다. ... ...
- Part 2. 중금속, 발암물질이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출처를 밝혀낼 수 있다. 엄 환경연구사는 “현재 중국, 일본 과학자들과 함께 공동연구를 시작했다”면서 “앞으로 동북아 미세먼지의 발생원을 찾고 흐름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미세먼지 속으로Part 1. 예보, 못 믿겠다?Part 2. 중금속, ... ...
- [과학뉴스] 공감능력 떨어지는 건 유전자 탓?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최초로 나왔다. 사이몬 바론-코헨 영국 케임브리지대 자폐증연구센터장이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진은 사람의 공감능력 변이의 약 10%가 유전자 때문이라는 사실을 국제학술지 ‘중개정신의학(Translational Psychiatry)’ 3월 12일자에 발표했다. 여기에는 미국의 유전정보분석 기업 ‘23앤드미’에서 분석한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