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필즈상 미리보기] 혜성처럼 나타나 단숨에 필즈상 후보!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말했습니다. 최 교수는 비아조프스카 교수의 박사 과정 지도교수인 돈 재기어 교수와
공동
연구를 함께 진행할 만큼 친분이 두텁습니다. 그래서 비아조프스카 교수가 박사 과정을 밟을 때 여러 번 봤답니다. 하지만 이렇게 뛰어난 수학자인줄 그때는 미처 몰랐다고 합니다. 너무나도 평범해서 ... ...
Part 1. 빙하의 수난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매년 50억t에 가까운 얼음이 녹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2016년 미국과 호주
공동
연구팀도 남극 동쪽에 있는 가장 큰 빙하인 토텐빙하가 녹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어요. 측정 결과, 따뜻해진 바닷물 때문에 토텐빙하는 매년 630억~800억t씩 그 양이 줄고 있으며 두께도 매년 10m씩 얇아지고 있는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LED 스탠드를 만들어 보자! 적정기술 연구센터 핸즈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되었지요. 빈곤층을 위한 지속가능한 과학기술을 가리켜요. 이때 그 기술은 사용한
공동
체의 환경과 문화를 고려해야 해요. 예를 들어 고장이 나도 현지에서 고칠 수 있고, 장치의 재료도 그 지역에서 쉽게 구할 수 있어야 한답니다. LED 스탠드를 만들어 보자!“친구들은 LED 조명에 대해 들어 본 ... ...
[아파트] 외벽타고 상승하는 불, 불연성 외장재가 해답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피난하기 어렵다면 아랫집 혹은 옆집으로 대피해야 한다. 1992년 이후 시공 된 3층 이상의
공동
주택에는 옆집으로 통하는 경량칸막이가 있다. 경량칸막이는 9mm 가량의 석고보드로 만들어져 사고 시 부수고 탈출할 수 있다. 유 연구위원은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를 방치한다”며 “경량칸막이가 ... ...
Part 4. 빙하를 보존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계속 연구할 수 있도록 빙하를 보존하기로 한 거예요. 바로 프랑스, 이탈리아 등 국제
공동
연구팀이 2015년부터 시작한 ‘아이스 메모리 프로젝트’지요. 아이스 메모리 프로젝트는 전세계 고산 지대에 있는 빙하코어를 채취해 남극으로 운반하는 프로젝트예요. 운반된 빙하 코어는 남극에 위치한 ... ...
[통합과학 교과서] 지구의 속사정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원리를 이용해 내부 구조를 과학적으로 확인했거든요. 하지만 아직도 일부 사람들은 지구
공동
설을 믿고 있답니다. 지구 속에 매머드나 공룡 같은 멸종 동물들이 살고 있다는 주장도 하지요. 정말 재미있는 상상이죠 ... ...
[에디터 노트] 과학은 올림픽을 더 재미있게 만든다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쟀다. 하지만 규정에 따라 공개는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올림픽 알파인 스키사상 첫
공동
금메달이 나왔다. 기록은 ‘과학 올림픽’의 상징이다. 1972년 뮌헨올림픽에서는 처음으로 100분의 1초까지 계측이 됐고, 1976년 몬트리올올림픽에서는 스코어보드에 처음으로 실시간 기록이 떴다. 1988년 ... ...
[과학뉴스] 시민 과학자 1만 명, 5행성 시스템 발견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외계행성계 ‘K2-138’이 발견됐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와 캘리포니아공대(칼텍)
공동
연구팀은 1월 11일 미국천문학회에서 이 같은 사실을 발표했다. 특히 이 연구에는 전 세계 시민 과학자 1만 명이 참여해 집단지성이 이뤄낸 쾌거로 평가받고 있다. 이 외계행성계의 행성들 은 크기가 지구의 2~ ... ...
[과학뉴스] 중력장 변화로 지진 규모 확인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미세한 변화로 대지진의 규모를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프랑스와 미국
공동
연구팀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당시 발생한 지진파가 도착하기 전에 중력 변화가 지진계에 감지됐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2017년 12월 1일자에 발표했다. 지진이 일어나면 속도가 가장 빠른 지진파인 ... ...
[과학뉴스] 전기뱀장어 모방한 고전압 에너지 발생기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매우 낮았다. 박정열 서강대 기계공학과 교수와 최은표 전남대 기계공학부 교수
공동
연구팀은 전기뱀장어의 전기발생세포가 직렬로 연결돼 있어 약 600V까지 전압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모방했다. 양이온 또는 음이온만을 통과시키는 3차원 이온 교환막을 일정한 간격으로 직렬 배치한 것이다. 그 ... ...
이전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