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검은 피부로 변신한 바다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8호
불리지요. 그런데 최근 호주 시드니대학교와 뉴칼레도니아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뉴칼레도니아에서 몸 전체가 검은색인 거북머리바다뱀을 발견했어요. 이후 연구팀은 호주와 뉴칼레도니아 주변의 15개 지역에서 1300마리 이상의 거북머리바다뱀을 조사해 봤지요. 그 결과, 9개 지역에서는 발견한 ... ...
[과학뉴스] 화성에는 돌풍과 함께 눈이 내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8호
화성에 눈이 내리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최근 미국과 프랑스 국제
공동
연구팀은 화성의 극지방에 밤마다 눈이 내린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 2008년 화성에 도착한 탐사선 피닉스호와 화성의 궤도를 도는 두 위성이 보내 준 자료를 분석해 이 같은 결론을 내렸지요. 피닉스호는 ... ...
Part 4. [도전 ➌] 냉동 인간의 핵심은 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성공했어요. 또 2016년에는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 김시윤 연구교수가 참여한 국제
공동
연구팀이 원숭이 머리를 영하 15℃에서 얼린 뒤 다른 몸에 이식하는 데 성공했지요. 두 사례 모두 오래 살지는 못했지만, 뇌 세포가 전혀 손상되지 않았다는 데 큰 의미가 있었어요. 사람의 머리를 다른 사람의 ... ...
[과학뉴스] 먹이의 경로를 예측해서 사냥하는 잠자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예측해 사냥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호주 애들레이드대학교와 스웨덴 룬드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잠자리가 사냥할 때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했어요. 실험실에서 먹이와 비슷하게 생긴 물체를 다양한 경로로 이동시키면서 잠자리의 뇌에서 활성화되는 영역을 확인해 본 거예요. 그 결과, ... ...
[과학뉴스] 피부에 붙이기만 해도 독감이 예방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미국 에모리대학교 나딘 루파엘 교수와 조지아공과대학교 마크 프라우스니츠 교수
공동
연구팀은 파스처럼 붙이기만 해도 독감을 예방할 수 있는 패치형 독감 백신을 개발했어요. 패치형 독감 백신은 엄지손가락만 한 면적에 높이가 0.65mm인 미세 바늘 100개가 돋아 있는 모양이에요. 패치를 팔목에 ... ...
Part 3. 유전자 변형 기술로 모기 박멸을 꿈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말라리아를 옮기는 얼룩날개모기를 없애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공유하기 위해 시작한
공동
연구 프로젝트예요. 현재 아프리카와 북미, 유럽의 연구소와 정부 기관들이 참여하고 있지요.목표는 아프리카에서 말라리아를 옮기는 얼룩날개모기 3종을 멸종시키는 것! 연구팀은 이 얼룩날개모기 3종이 ... ...
[과학뉴스] 네이처 지구과학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등 지구과학 관련 모든 연구를 아우른다. 올해 5월호에는 이성근 서울대 교수 등
공동
연구팀이 진행한 지층 속 석영의 녹는점에 대한 연구결과가 실렸다. 연구팀은 석영이 99%를 차지하는 암석인 규암을 빠른 속도로 마찰시키면 석영 일부가 고온석영으로 바뀌면서 기존에 알려진 녹는점보다 실제 ... ...
[과학뉴스] 인명구조견용 ‘첨단 슈트’ 개발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이번이 처음이다. 오노 카즈노리 일본 도호쿠대 미래과학기술
공동
연구센터 교수팀 등
공동
연구팀은 구조견의 심전도와 활동량 등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해 구조견이 적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돕는 웨어러블 슈트(아래 사진)를 개발했다고 11월 1일 일본과학기술진흥기구(JST) 홈페이지를 통해 ... ...
[Culture] 보리 게놈지도 마침내 완성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잘 견디는 새로운 보리 품종을 개발하는 데도 도움을 줄 전망이다. 이를 위해 국제
공동
연구팀은 대표적인 보리 품종 96종의 염색체를 분석해 보리의 유전형 다양성을 밝혔다. 최도일 서울대 식물생산과학부 교수는 “어떤 유전자 요인에 의해 품종별로 특성이 달라지는지 비교분석할 수 있게 ... ...
[과학뉴스] 귓불에 대각선 주름 있으면 치매 위험 높아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꾸준히 보고됐다.이진산 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와 서상원 서울삼성병원 신경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정상인 243명과 치매(알츠하이머, 혈관성) 환자 471명을 조사한 결과 치매 환자의 60%인 279명에서 대각선 귓불 주름을 발견했다. 또 정상인보다 치매 환자들에게서 2배가량 높은 빈도로 귓불 주름이 ... ...
이전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