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d라이브러리
"
나노
"(으)로 총 1,438건 검색되었습니다.
실리콘과 유기물 중매해 손톱만한 슈퍼컴퓨터 꿈꾼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원자의 수를 정확히 측정하는데 성공했다. 탄소 원자의 양이 5% 이하인 수준에선 1차원의
나노
선 형태로, 탄소 원자가 많아져 12.5%에 이르면 넓은 범위에 걸쳐 규칙적으로 배열로해 실리콘 표면에서 0.4nm 깊이의 단일한 원자층을 이뤘다.연구단은 이 결과를 지난 2001년 물리학 분야의 권위지인‘피지컬 ... ...
DNA바코드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여부를 가릴 수 있다.DNA는 유기물이기 때문에 열이나 독성물질에 약하다. 최 교수팀은
나노
캡슐로 이 문제를 풀었다. 그는 “DNA바코드는 바코드가 눈에 안 보일 뿐 아니라 제품 표면에 뿌리는 형태이기 때문에 극소량만 있어도 제품 표면에서 바코드를 감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위조나 변조를 할 ... ...
물분자 캡슐이 포획한 차세대 에너지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얼음과 비슷하지만 분자구조는 다르다. 메탄하이드레이트는 물 분자가 0.5~0.7nm(
나노
미터, 1nm=10-9m) 크기의 축구공 모양으로 배열해 메탄이나 프로판, 이산화탄소 같은 기체 분자를 하나씩 담는다.이런 특이한 결정구조 때문에 1m3의 메탄하이드레이트에는 약 172m3에 이르는 기체를 저장할 수 있다. ... ...
광선총 든'산화물 해결사'가 떴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강유전체의 성질을 잃지 않는 한도에서 가장 얇아질 수 있는 한계는 이론적으로 2.4nm(
나노
미터, 1nm=10-9m)로 알려져 있었지만 누구도 이를 실험으로 증명하지 못했다.2004년 연구단은 이론적 한계에 근접한 두께 5nm의 강유전체 박막을 만드는데 성공했다. 그 전까지 가장 얇은 강유전체 박막은 두께가 ... ...
PART1 비교체험 KAIST vs. 포스텍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양정아’표 연구란 말씀. 지금 하고 있는 연구는 약물이 서서히 방출되게 하는
나노
크기의 구멍을 갖는 재료를 개발하는 일이다.하루에 한번 또는 일주일에 한번씩 주기적으로 맞던 주사를 몇 달에 한번 몸에 약물 칩을 삽입하는 일로 대신하면 번거롭지도 않고 꾸준히 약물을 투입할 수 있어 ... ...
PART2 있다! 없다! BEST 5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최고수준급이다.2002년 물리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지인 ‘어플라이드 피직스 레터스’에
나노
막대 생성과 관련한 논문을 발표해 지금까지 수백 건의 인용 횟수를 기록했다. 100회 이상 인용된 논문이 지금까지 5편이 넘고, 한 논문은 2005년에는 과학논문인용색인(SCI)을 제공하는 미국과학정보연구소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거라고. 그럼 그 원자보다도 작은 지구에서 살고 있는 인간은 과연 크기가 얼마만 할까?
나노
단위로도 측정이 불가능하진 않을까? 그런 내가 태어나서 살다가 죽는 것은 우주의 관점에서 보자면 참으로 미미한 일이겠소. 과학이라는 건 때로는 제법 큰 슬픔을 담고 있기도 하오. 그렇지 않소 ... ...
과학하는 당신, 국가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5~10년 뒤 반도체소자 기술과 제조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초고속, 초고집적, 초저소비력
나노
소자 개발을 목표로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지난 2002년 ‘우수연구센터’로 지정된 형질전환복제돼지연구센터의 경우 올해 초 암이나 당뇨병 치료에 활용할 수 있는 체세포 복제돼지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 ...
PART2 생체 에너지 공장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이것이 불가능하다. 만약 인체 내에 존재하는 당분을 활용해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면
나노
로봇을 질병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미토콘드리아가 세포와 인간의 삶을 새롭게 디자인하고 있다. ‘에너지 발전소’ 미토콘드리아를 모방해 탄생할 생체 연료전지의 모습이 기대된다. ▼관련기사를 계속 ... ...
PART2 꼭꼭 숨어있는 빛까지 잡아낸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UC버클리의 알리비사토 교수팀과 오스트리아 요하네스케플러대의 린츠 연구그룹은 무기
나노
입자와 폴리싸이오펜이라는 유기물질을 섞어 근적외선 영역의 빛을 일부 흡수하는 최초의 유기태양전지를 만들었다. 기대했던 만큼 높은 에너지효율을 얻을 수는 없었지만 잃어버린 400nm 영역을 잡는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