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논문"(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프리미엄 리포트] 미국, 진통제와의 전쟁 선포! 진통제 알고 먹자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발표한 ‘단일 상급종합병원에서 마약성 진통제의 최근 13년간 사용 경향 조사’ 논문에 따르면 2000년도에는 그 경향이 120.5DDD/1000-HS였던 반면, 2012년에는 197.7DDD/1000-HS으로 64.1% 증가했다. ※ DDD/1000-HS: 세계보건기구(WHO)의 DDD(성인의 주적응증에 사용하는 약물 용량) 기준을 입원기간으로 ...
- Part 3. 쌍둥이 눈결정이 있을까?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일란성 쌍둥이로 태어나 서로 다른 곳으로 입양돼 살다가 성인이 돼서야 재회한 자매의 이야기는 감동적이다. 이는 서로 거의 똑같이 생겼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하늘에서 내 손바닥 위로 떨어진 눈결정도 자신과 똑같이 생긴 형제를 찾을 수 있을까? 똑같이 생긴 눈결정이 있을까? 아마 생각 ... ...
- [과학뉴스] 끊어져도 완전히 다시 붙는 신소재 개발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능력을 보이는 신소재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월 4일자에 표지논문으로 발표했다. 자가 치유 능력은 영화 ‘터미네이터’ 시리즈에 나오는 T-1000처럼 상처를 스스로 회복하는 능력이다. 기존에 개발됐던 자가 치유 물질들은 회복된 뒤 기계적인 강도가 떨어졌다. 황성연, ... ...
- [Future] 그림이 열일 하는 메디컬 일러스트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다양해졌고 활용 분야가 넓어졌다. 초기에 메디컬 일러스트는 의학 서적이나 연구 논문 등 전문적인 콘텐츠에 집중됐다. 하지만 컴퓨터 소프트웨어가 발달하면서 표현 기법과 대상이 넓어졌다. 최근에는 3차원 기술을 접목해 실제와 흡사한 입체 구조를 표현하고, 증강현실(AR)을 활용해 어린이나 ... ...
- [Career] 이것이 ‘신의 한 수’ 절연체 뺀 초전도 자석과학동아 l2018년 02호
- 2011년 국제전기전자공학회(IEEE)가 발행하는 저널 ‘초전도 응용 처리’에 발표했다. 이 논문은 학계에서 초전도 자석의 패러다임을 바꿨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후 초전도 관련 국제학회에서는 무절연 세션이 별도로 마련되기도 했다. 절연체가 사라지면서 초전도 자석의 크기가 대폭 줄었다. 4m에 ... ...
- [인터뷰] 물리학자, 눈결정의 별이 되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이 사람을 빼놓고는 눈결정에 대해 논할 수 없다! 누구보다 열정적으로 눈결정을 연구하는 리브레히트 교수와 이메일로 이야기를 나눠봤다. Q. 눈결정과 사랑에 빠지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처음에는 결정이 어떻게 자라나는지 관심이 생겨 그와 관련된 연구를 시작했어요. 얼마 지나지 않아 눈 ... ...
- [Issue]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18개국의 해양생물학자가 ‘미국기상학회보(BAMS)’ 1월 13일자에 공동으로 발표한 논문에는 “인간이 야기한 기후변화 외에는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 발생한 대규모 백화 현상의 원인을 설명할 수 없다”는 내용이 담겼다. 그레이트배리어리프는 3차례의 대규모 백화 현상을 겪었다. 세계 최대 ... ...
- Part 2. 수학적으로 만드는 눈결정의 비밀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도표’에 있는 가장 복잡한 눈결정까지 모두 3차원으로 재현한 것이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지금까지 다양한 눈결정 모양을 정확히 재현한 모형은 거의 없었다”며, “눈결정 성장을 묘사하는 수학 모형은 기상학 및 항공기의 안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를 ... ...
- [필즈상 미리보기] 혜성처럼 나타나 단숨에 필즈상 후보!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얼마나 좋은지 24차원에서도 통했습니다. 비아조프스카 교수는 8차원 문제를 해결한 논문을 인터넷에 먼저 공개했는데, 이를 본 콘 박사가 24차원 문제도 풀 수 있겠다며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그리고 5명의 수학자가 일주일 동안 머리를 맞댄 결과 24차원 문제도 단박에 풀어버렸죠. 최영주 포스텍 ... ...
- [Issue] 무술년 ‘황금 개’의 해 과학으로 풀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동물유전체과 농업 연구사 등 공동연구팀이 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에 발표한 논문 ‘한국 전통개의 다양성과 조상에 대한 게놈 연구’에 따르면, 한국 개의 유전적 다양성은 유럽 개는 물론이고, 인근 아시아 지역의 개들보다 높았습니다. 단적으로 흰 털을 가진 천연기념물 경주개 동경이는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