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d라이브러리
"
논문
"(으)로 총 3,673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뷰] 상위 1%, KAIST 총장장학생 오현창, 1등 비결이요? 실패죠!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학생들이 관심 있는 주제에 대해 조사를 진행하는 등 연구 활동을 하고 이를 보고서나
논문
으로 작성하는 활동이다. 그는 고등학교 2학년 1학기 때 미생물을 이용한 연료전지에 관한 R&E를 진행했다. ‘이것밖에 없다’고 생각한 만큼 심혈을 기울였지만 결과는 신통치 않았다. 한 마디로 실패였다. ... ...
비틀즈의 ‘스트로베리 필즈 포에버’, 혁신에 수학을 더하다
수학동아
l
2018년 01호
도슨 세인트 메리대학교 수학과 교수와 함께 이에 대한 연구 결과를 수학공식을 도출해
논문
으로 발표했습니다. 명곡을 만들어내기 위해 수학은 필수인 걸까요? 브라운 교수는 그렇다고 말합니다. 스스로 인지했든 못했든, 위대한 작곡가들은 늘 수학을 이용했다고 말했지요. 브라운 교수는 비틀즈 ... ...
[현장 취재] 올해도 탐사 미션 성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4호
것만으로도 연구에 큰 도움이 된답니다. 지난 몇 년 동안 여러분이 보내 준 데이터는 곧
논문
으로 발표할 예정이에요.” 올 한해도 1600여 명의 지사탐 대원들은 1만 건이나 되는 탐사기록을 올려 주었어요. 내년에도 새롭게 펼쳐질 지구사랑탐사대 6기 활동을 기대해 주세요 ... ...
Part 5. 빛 공해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3호
산체스 연구원이 시작했지요. 그는 2015년 이 데이터를 이용해 스페인의 빛 공해
논문
을 발표하기도 했답니다. 시민들이 직접 스마트폰으로 밤하늘을 관측해 빛 공해를 측정할 수도 있어요. ‘글로브 앳 나이트(Globe at Night)’는 2006년부터 미국 국립과학재단(NSF)과 국립광학천문대(NOAO)가 하고 있는 ... ...
Part 3. 외래 붉은불개미의 습격, 과연 끝났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2호
바로 지구온난화예요. 미국농업연구소의 마이클 코르츠킨 박사는 2004년에 발표한
논문
에서 지구온난화로 외래 붉은불개미의 서식지가 세계적으로 확장되고 있다고 발표했어요. 추웠던 북쪽 지역이 지구온난화로 점점 더워지면서, 외래 붉은불개미가 이전에 살지 못했던 북쪽으로도 점점 ... ...
[가상인터뷰]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중력파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1호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이에요. 스위스 특허청에서 일하며 틈틈이 물리학 공부를 해서 여러
논문
을 발표했지요. 빛이 파동과 입자의 성질을 동시에 갖는다는 사실을 밝혀내 1921년 노벨물리학상을 받기도 했답니다. 제가 한 연구는 이것뿐만이 아니에요. ‘특수 상대성이론’과 ‘일반 상대성이론’을 ... ...
[과학뉴스] 걸으면서 커피 쏟지 않으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0호
다니던 시절 ‘약한 충격이 있을 때 커피가 넘치는 현상 연구’란 제목의 15쪽짜리
논문
을 썼어요. 커피를 들고 움직일 때 어떻게 해야 덜 넘치는지 직접 실험하고 연구했지요. 이를 위해 우선 커피가 어떤 모양의 컵에서 얼마큼의 진동을 줬을 때 가장 잘 넘치는지를 알아봤어요. 실험 결과 원통형 ... ...
Part 1. 똥냄새는 2억 8000만 년 전부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20호
말에서 10월 중순 사이에 일어난다는 사실도 발견했지요. 이후 그는 도쿄대학교 식물학
논문
집에 정밀화와 함께 이 내용을 발표했고, 이 일을 계기로 식물학이 크게 발전하게 되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킁킁~! 똥냄새가 생존전략? 은행나무의 비밀Part 1. 똥냄새는 2억 80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칼 빌헬름 셸레’가 2년 전에 먼저 발견했어요.그럼에도 프리스틀리가 셸레보다 먼저
논문
을 발표했기 때문에 그에게 산소 발견의 공로가 돌아가게 됐지요.하지만 이들은 새로 발견한 기체를 플로지스톤 이론으로 해석해 ‘플로지스톤이 빠져나간 공기’라고 불렀어요. 당시 과학자들은 ... ...
[공룡은 왜?] 골반 뼈가 넓으면 암컷? 공룡의 암수 구별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스테고사우루스의 골판 크기만 가지고도 암컷과 수컷으로 쉽게 구별을 할 수 있다는
논문
을 발표했어요. 수컷 골판의 면적이 암컷 골판보다 약 45%나 더 크다는 점을 근거로 내세웠지요.연구팀은 컴퓨터단층촬영(CT)으로 골판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크기와 모양이 다른 표본들 모두 성체로 다 자란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