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복"(으)로 총 3,383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모든 게 말이 됐다. 추억충은 숙주의 기억을 다른 숙주에게 전염시킨다. 그 과정은 계속 반복해서 일어날 수 있다. 그 누군가의 기억이 심창대에게 전염되고 그 전염된 기억이 다시 윤정에게 넘어가고. 이렇게 되면 심창대가 그렇게 이상하게 행동한 이유도 설명이 된다. 알코올로 망가진 그 남자의 ... ...
- [News & Issue] 경쟁하는 너? 스트레스 받는 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보다 진보한다는 강력한 믿음이 퍼져있는 것이다.하지만 여키스-도슨 법칙은 단순한 반복 작업에서 주로 통용될 뿐, 협력이 필요한 공동작업이나 창조성이 필요한 업무에는 잘 들어맞지 않는다. 남보다 앞서려고 노력하는 것과 잘하려고 노력하는 것은 완전히 다른 문제다. 뉴욕의 뒷골목에서 ... ...
- Part 2 비밀번호 무력화하는 백도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없다. 그 상태로 계속 붕어빵을 만들고 틀에 있는 벌레가 붕어빵에 붙어 나오는 상황이 반복된다. 마찬가지로 컴파일러에 백도어가 숨겨져 있으면 실행 파일을 새로 만들어도 또 백도어가 숨어 들어가기 때문에 찾기도 어렵고 없애기도 어렵다. 톰슨은 기고문에서 “컴파일러에서 문제가 되는 ...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있는 방법을 터득했다. 키스 박사팀은 이 턱수염도마뱀이 익숙해지게끔 실험을 여러 번 반복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이 턱수염도마뱀은 여닫이문을 능숙하게 열 수 있게 됐다.문 여는 파충류 정도로는 재미없다고? 이 다음부터가 진짜 재미있는 부분이다. 키스 박사팀은 여기서 멈춘게 아니었다. ...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필리핀원숭이는 하루 종일 부산하게 돌아다니며 먹이를 찾거나 먹는 행동을 반복하는 데 비해, 콜로부스 원숭이는 나뭇잎을 한번 많이 먹은 뒤에는 거의 움직이지 않는다. 마치 코알라처럼, 나무 위에서 쉬면서 뱃속에 있는 나뭇잎을 발효하는 데 대부분의 시간을 보낸다.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섬에 ... ...
- [출동! 섭섭박사] 살아 움직이는 라바램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액체 밖으로 빠져나가고, 형광 물방울만 다시 기름 아래로 돌아와요. 이러한 현상이 반복되면서 마치 램프 속은 화산에서 용암이 분출하듯 살아 움직인답니다.이때 액체가 넘치지 않도록 발포제는 4분의 1 크기로 잘라 넣고, 반응을 보면서 추가로 넣는 것이 좋아요. 라바램프를 완성하자 형광 빛을 ... ...
- [과학뉴스] 불의 고리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이달의 사물 최근 일본과 에콰도르에서 불과 31시간 간격으로 강력한 지진 두 건이 일어났습니다. 이를 두고 ‘불의 고리’가 활성화된 게 아 ... 일본 당국은 아소산을 주의 깊게 살펴볼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우연은 언제든 반복될 수 있고, 우리는 그것이 언제 닥칠지 알 수 없으니까요 ... ...
- [수학동아클리닉] 물결처럼 굽이치는 도형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끊임없이 반복하는 것은? 정답은 사인곡선!반대로 일정한 주기로 내려왔다 올라갔다 반복하는 것은? 바로 사인곡선을 왼쪽으로 조금 움직여 만들 수 있는 코사인곡선이다. 이 재밌는 곡선은 단순히 주기를 갖는 함수로만 의미가 있는 게 아니다. 오래전부터 수학뿐아니라 우리 실생활 곳곳에서 ... ...
- [지식] 운수 나쁜 날, 13일의 금요일?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딱 맞아 떨어지게 만든다. 즉 그레고리력을 쓰면, 400년을 주기로 모든 요일과 날짜가 반복된다. 13일의 금요일은 달력의 주기에 따라 당연하게 등장한다. 그럼 ‘13일의 금요일’이 특별한 날처럼 보이는 것은 속설일 뿐일까? 적어도 수학적으로는 그레고리력에서 13일이 나오는 횟수가 요일별로 거의 ... ...
- [과학뉴스] “ 또 왔니?” 얼굴 기억하는 남극 갈매기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접근시켜 갈색도둑갈매기가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실험을 했다. 총 7쌍의 갈매기에게 반복한 결과, 새들은 모두 이전에 봤던 연구원을 쫓아가며 공격했다. 까마귀나 까치에게 유사한 특성이 나타난다는 연구는 있었지만,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은 극지 동물에게서 사람을 구분할 수 있는 인지능력이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