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반복"(으)로 총 3,38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교수팀은 비글 종인 복제탐지견 17마리와 일반 비글 10마리를 대상으로 인공 사과향을 반복적으로 줬다가 빼면서 뇌의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을 촬영했다. 영상에 나타난 활성도 신호로부터 인지와 후각을 담당하는 영역의 부피를 계산해 나이가 같은 개들끼리 비교했다.그 결과, 후각 탐지 능력을 ... ...
- [가상인터뷰] 침팬지도 친구를 믿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전달해 줄 거라고 믿어야 ‘믿음의 끈’을 잡아당길 수 있는 거예요.같은 실험을 12번씩 반복하며 끈을 잡아당긴 횟수를 조사한 결과, 친밀도 점수가 높을수록 믿음의 끈을 더 많이 잡아당기는 것으로 나타났어요.닥터 그랜마 : 난 너를 믿어. 나랑 지구를 정복하자!침팬지 : 엥겔만 박사는 이번 실험 ... ...
- [Editor’s Note] 우주의 주름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없이 하고 막대한 자료를 질리도록 해석한 학자들, 기기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수없는 반복실험을 한 엔지니어들이 뒤에 있었다. 과학과 합리성의 영역은 개미보다 작게 조금씩 늘어났고, 이런 과정이 쌓여 가망 없어 보이는 실험도 결국 성공하게 됐다.아인슈타인은 물질의 존재에 따른 시공간의 ... ...
- [Knowledge] 최초로 ‘빵’ 터진 그들에게 무슨 일이?ㅋㅋ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웃는다. 미국 볼링 그린주립대 야크 판크셉 교수는 2003년 8월, 쥐들도 같이 놀 때 반복적으로 찍찍거리는 소리를 낸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doi:10.1016/S0031-9384(03)00159-8). 사람이 쥐의 몸을 간질이자, 쥐들이 찍찍대면서 사람과 즐겁게 어울렸다는 것이다.판크셉 교수는 “쥐들은 더 간지럽히기를 ... ...
- Part1. 난수, 넌 누구니?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비밀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먼저 ‘난수’가 무엇인지 알아야한다. 난수는 어떤 주기로 반복되지 않고, 특정한 규칙 없이 무작위로 나열돼 있는 수를 말한다. 난수는 예측이 불가능한 수다. 예를 들어 1, 3, 5, 7 …이라는 수열이 있다면 7 다음에 9가 나올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다. 반대로 난수는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레시피 I 중등_수학네일아트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담은 수학네일아트를 소개하고자 한다.알람브라 궁전의 패턴 벽화처럼, 동일한 패턴을 반복해 빈틈이나 겹치는 부분 없이 평면을 완전히 채우는 것을 테셀레이션이라고 한다. 화장실의 벽이나 바닥의 타일 배열도 우리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간단한 테셀레이션이다. 우선 테셀레이션의 ... ...
- Part 1. 과학자들이 본 알파고의 비장의 무기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법 같은 복잡한 함수는 수학적으로 풀기엔 너무 어렵다. 하지만 간단한 방법으로 근사를 반복적으로 하는 딥러닝은 충분한 데이터만 있으면 복잡한 함수도 추정해낼 수 있다.알파고의 스승은 일본의 바둑 고수들?준 취재 중에 만난 프로 기사는 알파고가 돌이 깔린 모양을 보고 자기에게 유리한 수를 ... ...
- [수학뉴스] 백제 의자왕도 구구단을 외웠을까?수학동아 l2016년 03호
- :)가 찍혀있어요. 점 아래에 한자로 81(八十一)이 적혀 있습니다. 같은 두 수를 곱할 때는 반복해서 쓰지 않고 ‘:’ 으로 표현한 것이지요.두 번째 칸, 오른쪽 세 번째 줄에는 6x8=48을 계산한 글자가 적혀 있습니다. 여기서는 40을 한자 두 개로 쓰지 않고 기호로 썼습니다. 참 효율적이지요? 또한 백제 ... ...
- Part 2. 난수의 컴퓨터 시대수학동아 l2016년 03호
- 붙였고, 그중에 소수인 수를 특히 메르센 소수라고 했다.메르센 트위스터는 난수의 반복 주기가 메르센 소수인 데서 유래했다. 메르센 트위스터는 기존의 난수생성기보다 주기가 훨씬 더 길며 속도도 빠르다. 주기는 219937-1로 이 수는 현재 49개로 알려진 메르센 소수 중 24번째 수다.선형합동법과 ... ...
- Part 3. 55년의 도전 새 시대를 열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파브리-페로 공진기는 마이컬슨 간섭계의 양 팔 중간에 반사경을 하나 더 설치해 빛을 반복 반사되게 함으로써 레이저의 출력을 높이는 기술이다. 드레버는 파운드-드레버-홀이라는 레이저 안정화기법도 개발했다. 한편 라이너 와이즈는 레이저 간섭계의 모든 잡음원을 분석해 라이고가 중력파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