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원
박사
의도
의향
doctor
딱터
d라이브러리
"
의사
"(으)로 총 2,954건 검색되었습니다.
돈 벌기 힘든 세상일수록 뜨는 학과가 있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것이 효율적인지를 알아내 최적화시키는 연구를 마쳤다. 조 교수는 “빅데이터 분석은
의사
결정을 도울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며, “앞으로는 스마트폰을 쓰듯 자연스럽고 당연한 일이 될 것”이라 말했다 ... ...
일본을 공격한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나아가 사랑의 파동을 전해 사랑수를 만들고 이를 이용해 분만을 한다고 합니다. 이
의사
는 이렇게 태어난 아기가 훌륭하게 자란다고 주장합니다.사랑수를 이용해서 분만하는 게 나쁠 이유는 없습니다. 하지만 좋은 뜻으로 해도 과학이 아닌 건 아닌 겁니다. 훌륭한 아기가 태어나기를 바라는 ... ...
[화보] 여름잠 자는 동물들의 수학적인 생존 비결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조절이 가능해 자기들끼리 다양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적이 나타났을 때도
의사
소통용 가시를 이용해 주변 친구들에게 위협을 알린다. 로랜드줄무늬텐렉은 가시의 마찰음으로 소통하는 유일한 포유류다.사막달팽이의 시원한 방여름잠을 자는 동물로 사막달팽이도 빼 놓을 수 없다. 사막 ... ...
수학으로 다시 태어난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
수학동아
l
2013년 08호
배우니 흥미롭지 않나? 더 놀라운 건 이렇게 신호를 이용해서 숫자와 문자를 표현하는
의사
소통 방식의 역사가 고대 중국까지 거슬러올라간다는 사실이다. 게다가 그 안에는 정교한 수학 원리까지 담겨 있다는 말씀!연기에 수학을 담은 봉화 신호만리장성은 무려 8850km에 이르는 거대한 구조물로, ... ...
우리의 이름은 별보다 많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무엇을 찾아 이 우주를 떠돌고 있을까. 나는 왜 그들을 수색하면서 구조대원과 장
의사
의 역할을 하고 있을까. 우리는 무지하며 유한하다. 행성의 원주민과 우리는 그 두 가지 면에서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다르지 않았다. 그럼에도 그들은 이명에게 전지전능을 가리키는 이름을 붙여주었다.삼자 ... ...
최강 홈런왕 미스터고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여러 가지 방법으로 나타난다. 자세와 표정을 이용하고, 고릴라 만의 발성을 이용해
의사
를 분명하게 전달하고, 상대의 감정을 읽는다. 야구 규칙을 잘 모르더라도, 충분한 훈련이 있다면 덕아웃에서 보내는 신호로 야구 경기를 진행할 수 있을 것 같다. 마치 링링에게 지시하는 웨이웨이처럼 말이다 ... ...
수술실에서 死神을 쫓아내다
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있는 곳으로 바뀌었다. 물론 리스터의 소독법만이 이를 일군 것은 아니다. 이전에도 많은
의사
들이 청결법을 이용했고 수술 및 병원 환경은 점점 나아지고 있었다. 소독법이 일구어낸 것은 세균 전파를 막으면 더 나은 수술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약속, 즉 의학과 병원이 준 생명에 대한 ... ...
다섯 가지 과학을 입으면 IRON MAN 으로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8호
사에서 만든 라이프셔츠는 건강에 이상이 생기면 센서가 병원으로 정보를 전송해
의사
에게 알려 준단다. 환자에게 위급한 상황이 닥치면 바로 알 수 있지. 또 라이프셔츠에는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와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이 달려 있어 길 잃은 어린이나 산에서 조난당한 사람도 구할 수 있어 ... ...
[환상 퍼즐여행2] 종이와 연필이 만든 환상을 탈출하라!
수학동아
l
2013년 07호
좀 늦은 거 같은데?”그러더니 페이퍼맨은 턱을 내밀어 어떤 곳을 가리켰다. 그곳에는
의사
선생님을 결박하고 있던 종이 끈의 흔적만이 남아 있었다.“난 내게 주어진 임무를 했을 뿐이니 너무 미워하지 말라고. 킥킥.”“대체 누가 그런 명령을 한 거야!?”페이퍼맨과 펜슬맨은 너무나 당연한 걸 ... ...
개미가 페르마의 원리를 안다고?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냄새를 맡지 못하게 한다. 동시에 정찰개미가 동료와
의사
소통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의사
소통 시간은 더듬이 접촉이 일어나는 순간부터 개미 두 마리가 먹이를 찾아 둥지를 떠나는 순간까지로 정했다. 152번을 실험한 결과 개미들이 시럽이 있던 먹이통으로 직행한 경우가 117번이었다. 반대로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