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공"(으)로 총 4,791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탱글탱글 톡톡! 먹는 물병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3D 프린터의 팁을 거꾸로 매달아 출력했고 성공적으로 인공 피부와 뼈가 만들어지는 것을 확인했답니다.유럽우주국 토마소기디니 연구원은 “우주선은 무게를 줄여야 하고, 공간의 한계도 있어 모든 상황에 대비해서 의료품을 전부 다 가지고 갈 수 없다”며 “3D ... ...
- 자율주행차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내리기도 어려운 것들이에요. 사람도 명확히 판단하지 못한 윤리 문제이기 때문에 인공지능이 답을 내리기란 어렵지요. 만약 이런 일이 실제로 발생한다면 자율주행차가 적절히 대응했는지 분석하며 사회적으로 합의해 가야 해요. 용어정리*트롤리 문제 : 사람들에게 브레이크가 고장 난 기차 ... ...
- [통합과학교과서] 해님 달님, 늑대의 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허시민 교수팀은 굴광성을 띤 최초의 인공물질을 만들었다고 발표했어요. 이 인공물질에는 태양을 뜻하는 ‘Sun(선)’에 로봇의 ‘Bot(봇)’을 따 ‘선봇’이라는 이름을 붙였지요.선봇은 햇빛을 흡수하는 꼭지와 기울어지는 줄기 모양의 기둥으로 이뤄져 있어요. 기둥은 금으로 만든 나노* 입자를 ... ...
- 자율주행차 안전성 높이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GPS 등으로 도로를 주시하지만, 사각지대가 있어요. 이에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 인공지능연구소는 지난 10월, 사각지대에서 갑자기 튀어나오는 물체를 보다 빠르게 감지할 방법을 발표했어요. ‘섀도캠’이라는 카메라로 모퉁이에 있는 물체의 그림자를 감지하는 ‘X-ray 비전’ 기술이에요 ... ...
- 탐사 62년 만에 탄생! 우주 유영 걸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오늘, 10월 18일 여성 우주인만으로 이뤄진 우주유영이 세계 최초로 이뤄집니다. 1957년 인공위성 스푸트니크호가 발사되며 우주 탐사 시대를 연 지 62년 만에 벌어진 일이지요. 이 뜨거운 현장을 보기 위해 저, 이다솔 기자를 따라 오세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탐사 62년 만에 탄생! 우주 ... ...
- 뇌, 이젠 직접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라고 보고 있어요. _INTERVIEW 황동연(차의과학대학교 교수) “인공 뇌는 뇌 연구의 희망이에요.” 다른 장기와 달리 뇌는 직접 뇌 조직을 떼는 데 어려움이 많아요. 그래서 뇌 오가노이드를 활용한 연구가 각광을 받고 있지요. 저도 뇌 오가노이드를 이용해 뇌종양과 뇌 발달 ... ...
- [과학뉴스] 뽀글뽀글, 합성가스 만들어내는 인공 나뭇잎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껴서 흐린 날에도 충분히 합성가스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답니다. 연구팀은 인공 나뭇잎으로 합성가스를 만들어내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바로 메탄올과 같은 액체 연료를 생산할 계획을 세우고 있답니다 ... ...
- 뇌도 은행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위해선 먼저 인간 뇌의 생리를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어요. 이어 김 교수는 “인공지능은 기계가 뇌처럼 생각하도록 만든 것”이라며, “뇌 연구는 여러 분야에서 파급효과가 있을 것”이라 말했답니다. _INTERVIEW 김종재(한국뇌연구원 한국뇌은행장, 서울아산병원 ... ...
- [과학뉴스] 오존 구멍 34년 만에 최소! 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NASA가 34년 만에 남극 오존 구멍의 크기가 가장 작아졌다고 발표한 거예요. 오존 구멍은 인공위성으로 관측해요. 매해 9월 말과 10월 초 사이 가장 커져 보통 2000만km2까지 관측되지요. 그런데 올해는 1000만km2~1600만km2 정도로, 평년보다 오존 구멍의 크기가 작아졌답니다. 기뻐하긴 일러요. 과학자들은 ... ...
- 뇌파로 마음을 읽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하는 데 성공할 수 있었답니다. 임창환 교수는 “그동안 인간의 뇌를 따라 만들었던 인공지능을 반대로 뇌를 이해하기 위해 사용한 점에서도 연구의 의미가 있다”고 말했지요. 용어정리* 뇌파 : 주파수(Hz)에 따라 델타(0.5-4), 세타(4-8), 알파(8-13), 베타(13-30), 감마(30 이상)로 구분할 수 있다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