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보"(으)로 총 8,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과학자들, 자연의 소리를 엿듣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관심을 갖게 된 동기는 무엇인가요? 어릴 때부터 시력이 좋지 않아서 소리로 세상의 정보를 수집했어요. 30년 동안 음악가의 삶을 살았고, 은퇴한 이후 자연의 소리에 관심을 갖게 되었지요. 자연의 소리를 들으면 매우 평온해지거든요. 박사학위를 따고, 음향생태학 연구실에서 인턴 생활을 하며 ... ...
- [통합과학 교과서] 웅녀, 사기꾼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3호
- # 동화마을에 무슨 일이?호랑이가 몸을 가린 이유 꿀록 탐정의 말에 호랑이가 울먹거리면서 말했어요.“탐정님, 너무하신 거 아니에요? 오늘은 다른 이유로 꽁꽁 싸맨 거 ... 생물이 가지는 모든 유전 정보. ‘유전체’라고도 한다. 사람의 경우 DNA를 구성하는 모든 유전 정보를 뜻한다 ... ...
- 지구의 기록, 바닷속에서 추적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설치해 바닷속을 떠다니는 작은 부유 입자를 채집하고, 계절별 해류의 흐름, 수온 등의 정보를 수집했어요. 이를 회수해 입자의 크기, 계절의 영향 등에 따라 해양환경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파악하고 있답니다. ●인터뷰 “아름다운 남극을 지킬 수 있도록 아껴주세요.” 문흥수(극지연구소 ... ...
- 내 ‘TMI'를 들어볼 테야? 둠칫둠칫 ‘움짤’ 완전정복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광활한 정보의 바다에서 짤방*을 줍는 ‘짤줍러’! 짤방을 모아두고 적절한 타이밍에 투척해 웃음 폭탄을 터뜨리는 게 취미지. 여러 짤방 중에서도 움직이는 ‘움짤’이 특히 효과가 좋아. 그런데 6월 15일이 움짤의 주요 파일 형식인 ‘GIF’가 생긴 지 33년 되는 날이래! 그래서 준비했어, 움짤의 ... ...
- 움짤, 과학자도 사랑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물질인 A, T, G, C를 부호로 활용한 거지요. 저장 방법은 좀더 어려워요. 연구팀은 사진 정보를 담은 부호에 따라 DNA 조각을 만들고 대장균에게 주입했어요.연구팀이 활용한 GIF는 5장의 디지털 사진으로 이뤄져 있었어요. 연구팀은 이들 사진을 하루 한 장씩 차례로 5일 동안 대장균에게 저장했지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뇌를 속이는 착시 현상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정확하게 보기 위해 주변 상황을 함께 인식해서 정보를 처리하는데, 이 과정에서 시각 정보에 변형이 생겨요. 착시로 인해 실제로 없는 점이 보이거나 선들이 휘어져 보이기도 하죠. ‘이중 중심축 착시’의 경우, 선이 회전하며 ‘교차점’이 여러 개 생기는데, 우리 눈이 어떤 교차점에 초점을 ... ...
- [매스미디어] START-UP수학동아 l2020년 12호
- 서비스에 이어 필적을 감정하는 인공지능을 만든다. 사람의 두뇌와 비슷한 방식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인공신경망에 데이터를 학습시켜 인공지능을 만드는 기계학습 기술을 이용해서 말이다. 도산이 설명하는 기계학습에 대해 알아보자. 이미지를 분류할 때 주로 사용하는 기계학습 기술은 2014년 ... ...
- 과학동아가 파헤친다, 2021 수능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주지 않지만, 10시간 이상은 얘기가 다를 수 있으니까요. 실제로 2006년 미국 국립생명공학정보센터(NCBI) 연구팀은 N95(KF94와 유사한 차단 효과) 마스크를 끼고 4시간 이상 생활할 경우 순간적으로 혈중 이산화탄소량이 많아져 저산소성 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연구팀은 ... ...
- ‘생체 시계’ 텔로미어 자라게 하는 비밀?알트(ALT)에 주목하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DNA가 조금씩 사라질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텔로미어는 단백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세포 분열 과정에서 중요한 DNA를 대신해 닳아 없어지는 역할을 맡는다. 이로 인해 텔로미어의 길이는 세포가 얼마나 분열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세포 분열의 ... ...
- 지구 어디서든 인터넷이?! 수만 대 스타링크 위성 군단 뜬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지구 중궤도인 2만 200km 상공에 떠 있는 항법 위성을 이용해 지구에 있는 우리에게 위치 정보를 제공한다. 다만 그 신호의 속도는 초고속 인터넷에 턱없이 부족하다. 초고속 인터넷을 구현하려면 인공위성이 지구와 좀 더 가까워져야 한다. 그러나 인공위성이 가까워지면 다른 문제가 생긴다. ... ...
이전101102103104105106107108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