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보"(으)로 총 8,054건 검색되었습니다.
- MRI, 양자컴퓨터, 인공고기… 첨단기술 속 브릭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달리, 양자컴퓨터는 측정하기 전까지 0과 1의 정보를 동시에 가지는 큐비트를 이용해 정보를 처리한다. 이를 양자 중첩이라고 한다. 양자컴퓨터는 초전도 상태에서 전자의 스핀이 동시에 여러 상태로 중첩되는 특성을 활용해 구현한다. 초전도 현상은 매우 낮은 온도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플라스틱 먹는 박테리아 찾아 스타트업(start-up)!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플라스틱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논문 저자에게 연락해 자세한 정보도 얻었다. 문제를 해결할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마련했지만 구체적으로 어떻게 풀어갈지 고민하던 중 같은 팀 친구가 과학동아의 기사 하나를 보여줬다. 2015년 11월호에 실린 뉴스로, 미국 스탠퍼드대 과학자인 ... ...
- 튀어다니고, 기어다니고! 튀는 탐사선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그뿐만 아니라 미래에 유용한 광물을 채취하려 하는 소행성 채굴 업체들에도 소중한 정보가 되죠. Q로봇의 모습은 어떻게 생겼을까요?정확한 형태는 정해지지 않았지만, 탱탱볼 같은 고무 재질보다는, 탄탄하고 동그란 연등처럼 접었다 펴지는 구조를 생각하고 있어요. 그렇지만 아마 무척 귀여운 ... ...
- [수학뉴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가 수학 전공자라고?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입찰 과정을 도입한 방식이죠. 경쟁자가 상대방의 입찰가에 대한 정보를 추정할 수 있어 정보 비대칭으로 인한 비효율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경쟁 상대의 반응을 고려해 최적의 선택을 하는 수학 이론인 ‘게임이론’을 기반으로 합니다. 노벨위원회는 이 경매 방식이 사회 전체의 최대 이익을 ... ...
- [질문하면 대답해 ZOOM] 우주에서는 음식이 썩지 않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침에 녹아 혀에 닿으면, 미뢰 속 미세포가 자극을 받아들이고 뇌로 전기 신호를 보내 맛 정보를 전달하지요. 그 결과 우리는 단맛, 짠맛, 쓴맛, 신맛, 감칠맛을 느낄 수 있답니다.치약에는 거품을 내는 라우릴황산나트륨(SLS)이라는 화학물질이 있어요. 양치를 한 직후 과일을 먹으면 입안에 남아 있는 ... ...
- [2020 노벨상] 얼마나 걸릴까, 궁극의 질문에서 노벨상 수상까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과학자들의 피인용률을 통해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예측하려는 시도도 있다. 글로벌 학술 정보 기업 클래리베이트 애널리틱스는 매년 전 세계 과학자들의 핵심 논문 피인용률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노벨상 수상자를 예측한다. 2002년부터 과학자 총 336명을 후보로 예측했는데 이 중 54명(16%)이 ... ...
- [일본유학일기] 체감 물가 한국의 2~3배 물가 폭탄 도쿄 생존기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유학을 준비한다면 생활비가 구체적으로 얼마나 드는지 궁금할 것이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물가가 비싸기로 유명한 미국 뉴욕, 영국 런던, 일본 도쿄 등에서 유학을 생각한다면 말이다.일본에 오기 전 나는 인터넷에서 일본 물가와 관련된 무수한 괴담(?)을 접했다. ‘도쿄는 땅값이 너무 비싸 다들 ... ...
- [수학뉴스] 미국 정당이 극단화하는 이유는 전략적 선택!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선택을 하기보다는 만족할 만한 정도의 선택을 한다고 봤습니다. 현실에서 유권자는 정보 부족, 틀린 정보, 의사 결정에 대한 피로감 등으로 최적의 선택을 하기 어렵기 때문이죠.연구팀은 1861년부터 2015년까지의 미국 선거 데이터를 그래프로 분석했습니다. 유권자의 이념적 위치와 각 정당이 ... ...
- [매스미디어] 테슬라수학동아 l2020년 11호
- 이후에도 아무도 상상치 못한 아이디어를 꾸준히 내놓습니다. 그중 하나가 빛과 에너지, 정보를 전세계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술을 구상한 것입니다. 1889년 독일의 물리학자 하인리히 헤르츠는 떨어져 있는 두 금속에 높은 전압을 가하면 두 금속 사이에 방전이 생겨 불꽃이 튄다는 것을 ... ...
- 지구 떠난 지 8개월 천리안 2B호가 보낸 영상 편지과학동아 l2020년 11호
- 바라보는 정지궤도위성에 환경탑재체가 실린 건 전 세계 최초다. 상공 3만6000km에서 대기 정보를 담은 약한 빛을 인식할 장치와 기술이 그동안 없었기 때문이다. 환경탑재체의 영상은 10월 30일 최초로 공개됐다. 그리고 내년부터는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 홈페이지에서 누구나 볼 수 있다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