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3,993건 검색되었습니다.
24일 발사 창정5B호 잔해물 추락 ‘우려’…中 로켓 또 민폐 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7.25
재진입할 때 살아남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창정5B의 부스터 엔진이 지구
표면
과 충돌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지금까지 우주 쓰레기가 떨어져 사람이 다친 사례는 없다. 그러나 에어로스페이스코퍼레이션은 중국의 로켓 설계에 관한 세부 사항을 알지 못하면 위험 추정치 계산이 ... ...
화성
표면
서 스파게티 닮은 '의문의 물체' 포착
연합뉴스
l
2022.07.21
제트추진연구소(JPL) 퍼서비어런스 운영팀 대변인은 이 물체가 퍼서비어런스를 화성
표면
에 안전하게 강하시킬 때 사용된 로켓 동력 제트팩(우주 유영 등에 사용되는 등에 메는 개인용 분사 추진기) 부품의 일부일 수 있으며 로버 자체에서 떨어졌거나 하강 단계에서 떨어져 나온 것으로 추정했다. ... ...
지구촌 곳곳 극한 ‘폭염’, 왜 인간을 위협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2.07.21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햇빛에 화학반응을 일으켜 유해한 오존 가스로 바뀔 수 있다. 지
표면
에서 발생하는 오존이 과다해지면 폐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면서 천식은 물론 심할 경우 사망에 이르게 할 수도 있다. 2008년 공개된 한 연구에 따르면 온도가 1도 상승할 때마다 오존으로 인해 전세계에서 ... ...
비행기 창가에 앉아 여행했는데
팝뉴스
l
2022.07.19
큰 실망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한다. 창밖으로 보는 게 가능하지 않을 정도로 창
표면
이 크게 훼손되어 있었다. 많은 네티즌이 항공사의 서비스 정신 결여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 ...
[주말N수학]스파게티 면이 잘 익었는지 확인하는 과학적 방법
수학동아
l
2022.07.16
타고 올라가면 시리얼과 우유 사이에 경계면(계면)이 생긴다. 그 계면에서 우유의
표면
장력에 의해 시리얼들이 서로 달라붙는다. 물에 삶은 스파게티 면이 구부러지는 것도 계면에 작용하는 힘 때문이다. 수학동아DB ※관련기사 수학동아 7월호, [핫이슈] 스파게티면 던지지 마세요! 면들이 서로 붙은 ... ...
[프리미엄 리포트]차세대 우주망원경의 과제는 '다이어트'
과학동아
l
2022.07.16
비구면 렌즈를 구현할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체망원경은 무중력에서
표면
장력으로 완벽한 구형을 만드는 물질의 특성을 활용한다. 하지만 이렇게 만들 수 있는 구면 렌즈에서는 굴절률이 달라 초점이 모이지 않는 구면 수차가 발생한다. 과학동아DB 우주에서 망원경 ... ...
소행성 베누 '볼풀' 같아 시료채취 우주선 하마터면 파묻힐 뻔
연합뉴스
l
2022.07.11
류구(龍宮)에서 채취한 것을 전달받아 이미 연구 결과를 내놓는 상황이다. 소행성 류구
표면
서 채취해 온 토양 및 암석 시료. JAXA 제공/ EPA 연합뉴스 제공 ... ...
알프스 최고 관측소 덮은 눈, 역사상 가장 빨리 녹았다
연합뉴스
l
2022.07.06
디올라이우티 밀라노대 교수는 AP통신에 사진 속 마르몰라다 빙하 가운데 3분의 2의
표면
이 다소 더러운 것으로 볼 때 공기 중에 노출돼 있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탈리아 최대 과학기술 지원 기관인 국가연구위원회에서 기후변화를 연구하는 로베르타 파라누치오는 "눈과 얼음은 기온 상승에 ... ...
코로나 걸리면 지방으로 에너지 잘 못 만든다
연합뉴스
l
2022.07.05
코로나바이러스 배양 세포의
표면
에서 빠져나오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적색)의 주사형 전자현미경 이미지. [미국 국립 알레르기 감염병 연구소(NIAID) 제공 바이러스가 숙주 내에서 증식하려면 계속 에너지를 구해야 한다. 코로나 팬데믹(대유행)을 일으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도 예외는 아니다 ... ...
[우주산업 리포트]항우연 원장은 왜 세계 6위 우주 선진국 인도와 격차가 크다고 했을까
2022.07.01
2019년에 발사된 첫 번째 착륙선 ‘찬드디안-2호’는 착륙 시 속도조절에 실패해 달
표면
에 추락했다. 찬드디안-3호를 실은 GSLV 로켓은 8월 사티시 다완 우주센터에서 발사될 예정이다. 인도우주연구기구(ISRO) 제공 ※ 동아사이언스는 미국 우주 전문 매체 스페이스뉴스와 해외 우주산업 동향과 우주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