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3,972건 검색되었습니다.
UNIST, 자외선 손상입은 DNA 복구 방식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DNA 커튼'이라는 단분자 이미징이라는 실험을 통해 이를 규명했다. DNA 커튼은 유리
표면
에 정렬한 DNA 가닥 위로 단백질 분자를 흘려보내 형광 현미경으로 움직임을 추적하는 방식이다. 실험 결과 두 단백질이 복합체를 이룬 경우 UV-DDB는 DNA 가닥에 더 잘 달라붙고 가닥을 미끄러지듯 따라 이동하며 ... ...
중심별 방사선 폭발 유도해 죽음 자초하는 외계행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22를 관측한 결과 HIP 67522 b가 궤도를 돌면서 행성 자기장으로 별의 활동에 영향을 미쳐 별
표면
에 대규모 플레어를 유발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궤도를 돌며 행성에 축적된 자기에너지가 별에 전달되면서 플레어가 일어난다는 설명이다. HIP 67522 b는 자신의 방향으로 플레어의 폭발 방향을 유도해 ... ...
'먹는 레이저'로 식품·약물 모니터링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진행했다. 연구팀이 올리브오일 방울에 보라색 빛을 쏘자 방울의 둥글고 매끄러운
표면
때문에 빛이 계속 반사됐다. 반사된 빛은 올리브오일에 들어있는 엽록소 분자의 전자를 들뜨게 만들었다. 전자가 들떴다가 다시 가라앉을 때 광자가 방출됐다. 방출된 광자는 다른 엽록소 분자들을 자극해 ... ...
해군 함정 은밀한 작전 돕는다…내부 소음 예측 기술 국내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해양 장비를 이용해 고요한 해역에서만 제한적으로 수행된다. 해양환경 변화나 선체
표면
생물 부착물에 따라 데이터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번 기술은 내부 센서만으로 실시간 진단이 가능해 조건 제약이 적고 운용 효율성과 이상 대응 속도 면에서 우수하다. 특히 프로펠러 회전에 ... ...
천연물 '아카세틴'에서 지방간질환 치료 단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LAMTOR1’이 자가포식 억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LAMTOR1은 리소좀
표면
에서 단백질 복합체인 ‘MTORC1’ 신호를 매개하며 세포 성장과 대사 조절, 자가포식 억제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연구팀은 아카세틴이 LAMTOR1에 결합하면 MTORC1 활성이 억제되고 ‘AMP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 ... ...
시력 안좋은 혹등고래의 거대한 눈…네이처 선정 6월 최고의 과학 사진
동아사이언스
l
2025.07.01
로버 미국 우주탐사 기업 아스트로보틱의 신발 상자만한 로버 '큐브로버-1'이 울퉁불퉁한
표면
을 이동하고 있다. 최근 우주와 달 임무에 필요한 성능 테스트를 통과했다. 한 테스트에서는 열진공 챔버를 사용해 우주와 유사한 환경을 재현하기도 했다. 큐브로버-1은 올해 말 발사 예정인 ... ...
암세포만 '반짝'…형광빛으로 암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5.07.01
보존해야 할 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장영태 교수는 “SLY는 암세포
표면
에 있는 글라이칸을 선택적으로 인식해 간암 조직을 세포 수준에서 선별할 수 있는 최초의 형광 프로브”라며 “이번 연구는 글라이칸 기반 암 진단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었다”고 말했다. doi.org/10.1021 ... ...
바이오디젤 부산물 '글리세롤', 젖산으로 간단히 변환
동아사이언스
l
2025.07.01
CuWO4) 전극
표면
에 구리와 텅스텐으로 구성된 약 3nm 두께의 비정질 층을 형성해 전극
표면
을 재구성했다. 연구팀은 이렇게 개발한 전극촉매를 이용해 물속에서 글리세롤을 젖산으로 전환했다. 95.9%의 높은 젖산 용액 선택도를 기록했다. 기존 대비 3배 이상 향상된 수치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 ...
생체노폐물 요소 활용해 스스로 움직이는 '세포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5.06.30
포도당 분해와 연계한 연쇄반응을 유도해 색소 단백질인 멜라닌 계열의 나노껍질이 효모
표면
에 형성되는 원리다. 효모가 성장하거나 분열하는 동안에도 나노껍질 형성은 지속적으로 일어난다. 연구팀은 효모를 감싼 나노껍질에 요소 분해 효소인 우레아제(urease)를 부착하고 움직임을 관찰했다. ... ...
2차원반도체 발광효율 1600배 향상…초절전 디스플레이 길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27
그 반대 형태인 구멍 구조가 빛에 대해 유사한 방식으로 반응한다는 광학 법칙이다.
표면
격자공명은 주기적으로 배열된 나노구조에서 특정 파장의 빛이 공명해 에너지를 집중시키는 현상이다. 연구팀은 바비넷 원리를 활용한 구조로 발광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했다. 나노 안테나들이 규칙적으로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