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5 미생물 앞세워 생태계 오염 씻어낸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의 본질이라면 자연현상과 생명현상을 인류의 미래를 설계하는데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
바로
생물공학(biotechnology)이다. 그중에서 특별히 환경보전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것이 환경생물공학(environmental biotechnology)이다. 생물공학기술은 21세기를 주도할 기술이다. 그중에서 환경생물공학은 우리가 ... ...
아름다운 꽃을 찾아 나비를 따라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한자실력이 부족한 사람에게는 다소 어렵게 들리는 동호인 모임이다. 인시류는
바로
나비목(目)을 뜻한다.문학작품이나 대중가요에서 '꽃과 나비'는 흔히 '여성과 남성'으로 비유된다. 평생 아름다운 꽃을 찾아다니는 나비는 사람으로 비유하면 플레이보이라고나 할까. 그러나 나비는 꽃보다 더 ... ...
미완성교향곡 우주의 과거 현재 미래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흔히 라디오 연속극에서 여행을 의미하는 효과음으로 사용되고 있다.도플러 효과란
바로
이것을 말한다. 도플러 효과를 (그림2)에서 처럼 알아보자. 그림에서 기차가 A점에서 낸 소리는 원A를 그리며 퍼져나갈 것이다. 그러나 기차는 그림의 오른쪽으로 달리고 있기 때문에 다음에는 B점에서 소리를 ... ...
PC용 기능카드 올가이드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어떤 것이 있을까. 한글카드 VGA비디오카드 사운드카드 팩스카드 TV수신카드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이들 외부 인터페이스카드는 구조가 단순하고 설치방법도 매우 간단해 전문가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도 쉽게 구입, 장착할 수 있다. PC용 기능카드를 잘 활용한다면 여러분의 컴퓨터 실력은 한차원 ... ...
(1) 한글카드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램의 용량을 반드시 살펴봐야 한다. VGA카드의 성능을 평가할 경우 첫번째로 꼽는 것이
바로
해상도와 지원가능한 컬러의 종류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램 용량이 2백56KB이면 6백40×4백80 해상도에 16컬러를 지원하며, 램 용량이 1MB 경우 1천24×7백68 해상도에 2백56컬러를 지원한다. 비디오 램의 ... ...
'파이어니어'와의 안녕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우주의 태양중심설을 증명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금성의 일정한 상은 태양빛을 반사하고
바로
지구아닌 태양을 공전하고 있는 까닭에 나타나는 현상임을 의미했다.금성은 그러나 가까이서 보면 아름다움이 훨씬 덜하다. 물이 없고 단테의 지옥보다 뜨거워서 금성엔 아마도 생명이 존재하지 않는 것 ... ...
7 화학 산업의 판도 바꿀 생명의 촉매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무엇이 있기에 그 많은 정교한 물질들을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생산하고 있는가.
바로
세포안에 있는 효소(enzyme, 酵素)때문이다. 효소는 자연이 갖고있는 완전한 화학반응의 촉매로서 생명체의 부품을 만드는 단위공장이다. 자연이 인간에게 준 커다란 선물이다. 「효모에서」유래되고그 효소는 ... ...
21세기 교통신호시스템 무인운전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이미지프로세싱(image processing)의 기법을 응용해 교통정보를 추출하는 화상검지기가
바로
그것이다. 화상검지기는 야간시간이나 우천시에는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아직 실용화 단계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지역제어기는 교차로 ... ...
(2) 사운드카드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위한 라이브러리가 많이 준비되어 있는데 디벨로프먼트 키트(development kit)란 프로그램이
바로
그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사운드 블러스터로 프로그래밍할 경우 없어서는 안될 라이브러리 중의 하나다 ... ...
맨틀과 핵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것은 아니다. 아니, 지질학이 그 어떤 과학보다도 우리와 가까운 학문인 까닭은 지질학은
바로
우리가 사는 지구에 대해 연구한다는 점이다. 지질학자들은 화산폭발이나 (우리 인간에게 너무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탈이지만) 지진과 같은 것을 공부하는 과학자들이다.그러나 지질학자나 ... ...
이전
1057
1058
1059
1060
1061
1062
1063
1064
10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