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1) 공룡은 어떤 동물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중생대에는 바다에서 암몬조개류가, 그리고 육지에서 파충류가 번식했는데, 공룡은
바로
파충류에 속한다.지금으로부터 약 50억년 전에 지구가 태어났다. 처음 약 4~5억년 동안은 성(星) 시대였고 지질시대가 시작된 것은 46억년 전부터다. 46억년에서 5억7천만년 전까지를 선캄브리아시대, 5억7천 ... ...
실크로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군마(軍馬)목장이 있다. 왕소군(旺昭君)의 슬픈 사연이 전해 내려오는 오랑캐의 땅이
바로
이곳 산단의 연지산이고, 여자들의 얼굴에 바르는 연지는 곧 연지산에서 나는 '연지 꽃'에서 온 말이다. 핵실험하는 초생달 모양의 사구들하서회랑에서 서북쪽으로 가면 트루판분지, 서쪽으로 가면 ... ...
1. 고집적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지금 이상은 유지될 것이다. 더욱 매력적인 것은 아직 누구도 모르는 새로운 도전영역이
바로
우리 앞에 있다는 것이다. 어쩌면 또다른 혁명을 가져올지도 모르는 사건이 ... ...
별은 죽어 무엇을 남기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부른다. 신성이라는 이름은 물론 밤하늘에 갑자기 나타난 모습을 의미한다. 이 신성은
바로
중심 천체가 백색왜성인 유입물질 원반에 의해 설명 된다. 앞에서 알아본 바와 같이 백색왜성은 거의 헬륨만으로 구성된, 핵반응이 더 이상 일어날 수 없는 별이다. 아직 젊은 동반성으로부터 유입물질을 ... ...
여성과학자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수학관련 정부출연연구소가 전무한 실정이니…."요즘 여학생들은 수학이나 물리학을
바로
인식하고 있어요. 그래서 과거보다 지원자가 크게 늘어난 상태입니다. 제가 공부할 때만 해도 여성이 물리학이나 수학을 전공하면 별난 여자로 취급했지요. 하지만 이제는 인식이 많이 달라져 '좋은 신부감 ... ...
'92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그 첫번째는 1953년 글레이서(Glaser)에 의한 거품상자(bubble chamber)의 개발이며 두번째가
바로
1968년 샤르팍의 검출기 개발이다.거품상자는 빠른 성장으로 과포화된 액체에 입자가 입사해 그 궤적을 따라 액체분자를 이온화시키면 이온들 주위에 액체가 기화돼 거품을 만드는데 이때 플래시를 터뜨려 ... ...
당신의 충실한 조수 마이크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GUI, Graphic User Interface)라고 한다. 매킨토시 컴퓨터의 경우 컴퓨터를 켜자마자
바로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로 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컴퓨터를 익히는데 많은 시간을 요하지 않는다. 매킨토시의 편리한 GUI에 자극을 받은 IBM계열의 컴퓨터에도 요즈음 이 GUI의 바람이 불고 있다.MS-DOS를 만들어낸 ... ...
1 세계 입자물리 실험의 총본산 CERN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관찰하기 위해선 더욱 짧은 파장 즉 높은 에너지를 수반하는 현미경이 요구된다.
바로
이 때문에 입자가속기가 등장하게 된다. 원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양성자나 중성자를 축구장 크기로 가정한다면 돌멩이 크기를 갖는 3개의 주된 구성인자들이 존재하는데 우리는 이것들을 쿼크(quark)라고 ... ...
4 차세대 고속증식로 슈퍼피닉스 실용화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또 새롭게 생긴 플루토늄239가 많이 들어 있다. 이 귀중한 자원들을 다시 회수하는 작업이
바로
재처리 작업이다.재처리작업은 사용후 핵연료가 아주 높은 방사선을 내고 있기 때문에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또한 재처리 후 생기는 아주 높은 방사선을 가진 폐기물을 처리하는데도 고도의 전문기술이 ... ...
농약 대신에 논거미로 농사짓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출범시켰으나 40여명의 동호인(초중고교 생물 교사들 중심) 밖에 모으지 못한 것도
바로
우리나라 사람들의 거미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를 단적으로 나타내주는 하나의 잣대라고 할 수 있다. 사실 일반 사람들이 거미에 관심을 가져도 이를 충족시켜줄만한 책한권 없는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 물론 ... ...
이전
1059
1060
1061
1062
1063
1064
1065
1066
10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