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3,859건 검색되었습니다.
- UNIST의 힘은 세계 최고의 교수진과학동아 l201308
- 분야의 전문가인 마크 마두 교수 등을 중심으로 차세대 의료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100% 영어강의로 글로벌 인재 키운다학생들은 이런 교수진 아래서 글로벌 인재가 되기 위한 교육을 받는다. 이를 위해 학부 및 대학원의 모든 강좌는 100% 영어로 진행된다. 국내 대학 중에서는 유일한 사례다. 또한, ... ...
- 왓슨과 크릭도 상상 못한 DNA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308
- 시작했고, 우리나라는 2011년부터 한국인 개인게놈 프로젝트를 시작했답니다.5 2008년에 1000게놈 프로젝트를 시작했어요. 미국과 중국, 영국 등이 함께 백인, 흑인, 아시아인(황인) 3대 인종 간 유전자 차이를 규명하기 위한 1000명의 게놈을 분석하기 시작했답니다. 서울대학교 연구팀은 아시아인을 ... ...
- 수학으로 다시 태어난 리얼입대 프로젝트 진짜 사나이수학동아 l201308
- 로버트 후크가 발명한 2차원적인 신호탑 통신법은 널리 쓰이지는 못했다. 하지만 100년 뒤인 18세기 말에 프랑스에서 새로운 신호탑 통신법이 개발되면서 유럽 전역에 신호탑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새로운 신호탑 통신법을 만든 주인공은 프랑스의 형제 발명가인 클로드 샤프와 이냐스 샤프다. 두 ... ...
- 자동차와 달팽이의 대결, 누가 이길까? 터보수학동아 l201308
- 시속 370km이다.370km/1시간 = 370000m/60분 = 37000000cm/60분 ≑ 약 분속 616,667cm ★ 1km=1000m ★ 1m=100cm터보의 빠르기가 분속 2cm이므로, 기 가니에만큼 빨라지려면 무려 약 30만 배가 빨라져야 한다는 계산이 나온다.(616,667÷2=308,333.5)과연 터보는 기 ...
- [동아리탐방] 해법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든 간다! 서울 안천중 HUG수학동아 l201307
- 성함이 ‘백원희’ 선생님이세요. 그래서 선생님 이름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참가비를 100원으로 정했어요. 큰 돈은 아니지만, 참가비가 있어야 학생들이 책임감을 느낄 것 같아서요. 비록 30~40명 내외의 학생들이 참여하는 작은 규모의 행사였지만, 참여했던 친구들은 도움이 많이 되었다고 해요. 올 ... ...
- 네안데르탈 학당과학동아 l201307
- 수 없다는 뜻이지요. 미토콘드리아 DNA 1만 3000개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와 핵 DNA 100만 개를 분석한 결과도 같았습니다. 이제 네안데르탈인은 인류의 친척이 아니라는 사실은 거의 기정사실처럼 됐습니다.네안데르탈인도 말을 했다?그런데 다시 10년 뒤, 세상을 놀라게 한 반전이 일어났습니다. ... ...
- 하우스는 정말 명의일까?과학동아 l201307
- 그러나 건강식품을 잘 먹지는 않습니다. 역시 기본비율, 확률의 문제입니다. 제 건강이 100이라면 95이상은 평소 식사, 수면, 운동, 마음가짐, 환경, 스트레스에 좌우받을 겁니다. 건강식품이나 한약이 주는 영향은 1%나 될까요? 건강식품을 골라 먹는 것보다는 그 돈으로 동네 피트니스 센터에서 ... ...
- 3D프린터로 만드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배터리과학동아 l201307
- 리튬철인산염(LFP)을 사용했다.또 초미세 공정을 위해 특수 제작한 30μm(마이크로미터, 100만 분의 1m)지름의 노즐을 썼다. 연구팀은 이렇게 만든 입체구조를 전해질에 넣어 배터리를 완성했다. 전기를 생산하는 기초 원리는 요즘 쓰는 리튬이온전지와 똑같지만, 크기가 모래알만큼 작아졌다는 것이 ... ...
- 508억 년에 1초 느려지는 새 원자시계 개발과학동아 l201307
- 방송처럼 시간을 정확히 지켜야 하는 분야에 꼭 필요한 원자시계의 오차가 지금의 100분의 1로 줄게 됐다.앤드루 루들로 미국 국립 표준기술연구소(NIST) 연구팀은 508억 년에 1초 느려지는 새로운 원자시계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원자시계는 원자의 진동수가 일정하다는 성질을 이용한다. 현재 ... ...
- [hot science] 우리 집 식탁도 혹시 GMO?과학동아 l201307
- 연구를 시도해 왔다. 최근까지 알려진 평균 불임률은 99.8%다. 얼핏 꽤 높은 듯 하지만 100만 개 알이 한 양식장에서 자란다고 생각하면 불임에 실패한 숫자가 2000마리로 결코 적지 않다. 최근 캐나다 연구진이 영국 ‘왕립학회보B’에 게재한 논문은 이 같은 우려가 현실로 나타날 가능성을 제시했다.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