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3,859건 검색되었습니다.
모짜르트의 레퀴엠은 파란색
과학동아
l
201306
국립과학원회보(PNAS)’ 5월 16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미국과 멕시코에 거주하는
100
명을 대상으로 바흐, 모차르트, 브람스가 작곡한 18가지의 클래식 음악을 들려줬다. 그 뒤 37가지 색깔 색상표에서 음악을 들으며 느낀 감정을 나타낸 색을 고르도록 했다.연구 결과 실험참가자의 95%가 모차르트의 ... ...
심해 열수구엔 그들만의 제국이 있다
과학동아
l
201306
6만km 구간 중 탐사가 이루어진 구간은 약 20%밖에 안 된다. 더구나 탐사 지점 간에는 약
100
km의 간격(조사 미구간)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새로운 열수구와 그곳에 서식하는 새로운 종들 그리고 이미 밝혀진 열수생물의 자매 집단들이 미래에도 계속 발견될 것이다. 잃어버린 퍼즐조각들이 하나하나 ... ...
Part 4. 상상 그 이상의 슈퍼화산, 폭발할까?
과학동아
l
201306
천체로 알려졌다. 이오 표면에는 화산폭발 및 분출이 일상적으로 도처에서 일어나며, 약
100
만년에 한 번 꼴로 이오 위성 전체 표면은 새로운 암석으로 뒤덮이게 된다. 이오에서 화산활동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것은 모행성인 목성의 거대한 인력 덕분이다. 목성이 이오 위성의 지각을 끊임없이 ... ...
왜 황우석은 실패하고 미탈리포프는 성공했을까
과학동아
l
201306
교수는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복제배아줄기세포를 만들어도 이식하는 방법을 몰라
100
년 안에 성공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윤리적인 문제는 여전히 인간 복제 배아줄기세포의 실용화를 가로막는 걸림돌이다. 환자 한 명을 치료하는 데 수십 개의 난자를 ... ...
내성균 리턴즈
과학동아
l
201306
“이곳은 항생제가 없다”며 겁에 질린 표정으로 미래로 돌아가자고 말한다. 불과
100
여 년 전만 해도 세계는 항생제 한 알이 없어 작은 상처에도 사람이 죽고 사는 곳이었다. 우리는 역설적으로 21세기에 그런 세계로 가고 있다. 항생제를 지나치게 많이, 쉽게 사용해서 말이다 ... ...
머리가 굳는다? 새빨간 거짓말!
과학동아
l
201306
크기만 꾸준히 증가한 것이지요. 혹시 우리도 시간이 지나면 머리만 커지는 건 아닐까요.
100
만 년쯤 뒤엔 영화 속 외계인처럼 되는 건 아닐까 모르겠습니다.고기 먹은 인류는 얼굴이 날씬해인류의 큰 머리는 공짜로 생기지 않습니다. 많은 에너지를 확보해야 하고, 이 에너지는 동물성 음식으로 ... ...
[특별인터뷰] 방송도 수학처럼 명쾌하게! 서울대생 최정문
수학동아
l
201306
$π$)을
100
자리나 외우는 수학 천재?최근 한 케이블 채널에서 방송 중인 예능 프로그램에 ‘수학 천재 소녀’라고 불리며 출연 중인 서울대 학생이 화제가 되고 있다. 연예인은 물론 포커 고수, 프로게이머 등 각 분야에서 최고로 통하는 실력자들이 모여 펼치는 두뇌 게임에서 맹활약 중이기 ... ...
[20세기의 수학자] 앤드루 와일즈
수학동아
l
201306
마지막 문제’는 무려 350년 동안 수학자들을 괴롭히다가 1990년대 중반에서야 풀렸다. 또
100
년 동안 미해결 난제였던 푸앵카레 추론은 2000년대 초에 페렐만에 의해 풀렸다.하지만 이런 경우는 정말 운이 좋은 경우에 속한다. 수학사를 들여다보면 난제에 몰입하던 재능 있는 수학자가 결국 문제를 ... ...
러시아에 쏟아진 ‘운석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5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로 했다.“러시아 우랄산맥 지역을 초토화시킨 이번 ‘운석우’는
100
년 만에 한 번 있을까 말까한 드문 현상이었습니다. 한편 현장에서는….”뉴스에서는 러시아에 떨어진 ‘운석우’에 대해서 계속 피해 상황을 알려 주고 있었다. 도대체 얼마나 큰 돌이 지구로 떨어진 것일까 ... ...
PART 1. 촬영 현장의 두뇌 싸움
과학동아
l
201305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색온도는 영국의 물리학자 켈빈(본명은 윌리엄 톰슨)이 에너지를
100
% 흡수하고 다시
100
% 배출하는 흑체가 온도에 따라 배출하는 에너지의 색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이다. 붉은색일수록 색온도가 낮고, 푸른색일수록 높다. 예를 들어 아침이나 저녁의 주황색 태양빛은 430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