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등학교"(으)로 총 2,10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전자계산기 도입에 관한 오해와 진실수학동아 l2011년 05호
- 교과부 수학교육개선위원회에 참여하고 있는 황선욱 숭실대 수학과 교수는“위원회의 14명 전원은 원칙적으로 전자계산기 사용에 찬성한 ... 1. 왜 수학시간에 전자계산기를 쓰려고 하지? PART 2. 어떨 때 전자계산기를 쓰나?PART 3. 왜 고등학교에서 쓰나? PART 4. 전자계산기 도입에 관한 오해와 ... ...
- 포천 사랑방교회 어린이학교 MIE 수업 현장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수학동아, 학교에 가다! 그 네 번째 이야기. 오늘의 주인공은 산 좋고 물 좋은 경기 포천에 위치한 사랑방교회 어린이학교 4, 5, 6학년 학생들입니다. 사랑방교회 어린이학교는 다른 사람을 존중하며, 함께 사는 인간상을 목표로 교육하는 대안학교예요. 학생 각자의 재능을 발견하기 위해 정규교과 ... ...
- 수학교육 문제점, 생활수학으로 해결한다수학동아 l2011년 04호
- 문제가 일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시험에서는 사용되고 있지 않다. 물론 전자계산기는 고등학교 수학 평가에서 사용 여부를 검토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는 수준인데다 파급 효과가 엄청나서 최종적인 결론까지 변수가 많다. 특히 수학교육 전문가 사이에서도 전자계산기 도입에 대한 찬반이 ... ...
- 게임 지존, 서울대 가다수학동아 l2011년 04호
- 눈을 뜨면서 영어로 읽고 쓰는 영자신문 동아리에서도 활동했다. 축구를 좋아해서 고등학교 때 축구부에도 가입했고, 서울대에 입학한 뒤에도 축구 동아리에 등록했다.하고 싶은 것이 많은 동환 군의 최종 꿈은 핵물리학자다. ‘왜’ 라는 궁금증이 많았던 소년에게 해답을 주는 수학과 과학을 ... ...
- Part 4. 미국 수학의 달은 4월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인생에서 안녕’ 뭐 이런 말들이 생각나네요. 사실 우리 셋 다 수학과 거리가 멀거든요. 고등학교 때 까지만 배우는 게 얼마나 다행인지 몰라요. 어렵잖아요.“이래서 필요한 겁니다. 수학에 대한 인식을 바꾸기 위해서요. 오바마 미국 대통령 말에 의하면 수학이 국제 경쟁력이라지 않습니까. 수학을 ... ...
- 교과서에 딱 맞는 3D 전자키트 - 딱킷과학동아 l2011년 04호
- 독특한 모양이 자연스럽게 물의 흐름을 떠올리게 한다. 딱킷 하나만 있으면 초·중·고등학교 교과서에 나오는 모든 전자회로를 재밌게 배울 수 있다.딱킷은 전기회로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 중학교 교과서 ‘라디오 방송 수신 장치 만들기(두산동아 기술·가정 2학년 198페이지)’에 소개됐다. ... ...
- Part 2. 수학이 과학에 속한다?수학동아 l2011년 04호
- 공부 조금 했습니다. x도 알고 방정식도 알아요.수학과 과학의 관계에 대한 서울 하나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생각수학이 과학에 속한다소유림 “세상의 만물과 현상을 다 과학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수학은 과학의 밑바탕이 된다.”과학이 수학에 속한다진상민 “수학이 바탕이 돼야 과학이 ... ...
- [수학실험실] 소금성에서 내심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정육면체를 사각뿔로 나누기정육면체 = 6개의 사각뿔?!정육면체를 여섯 개의 사각뿔로 나누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그림과 같이 정육면체의 중심(O)을 기준으로 마주 보는 꼭짓점을 연결하면 모양과 크기가 같은 사각뿔 O-ABCD를 얻을 수 있다. 사각뿔O-ABCD에서 △OAB, △OBC, △OCD, △ODA는 모두 서로 합동 ... ...
- “해피 파이데이 투 유”수학동아 l2011년 04호
- 싶다”고 당차게 자신의 꿈을 이야기했다.중·고등부 참가자 중에서는 경기 파주 금촌고등학교 수학동아리‘시그마’팀에게 눈길이 갔다. 빨대 모양 교구의 길이를 조절해 완벽한 구 모양의 토성을 만들기란 쉽지 않았을 텐데, 수학동아리의 저력을 보이며 완벽에 가까운 구를 완성했다. 김미래 ... ...
- [수학클리닉] 수 체계 정확하게 이해하기!수학동아 l2011년 04호
- 궁금증을 가진 학생이 있을 거예요. 대답부터 하면 실수가 수 체계의 끝은 아닙니다. 고등학교 1학년 때는 이를 확장해 제곱해서 음수가 되는‘허수’라는 상상의 수를 배우고 복소수까지 배우죠. 하지만 복소수의 개념까지만 공부하기 때문에 허수를 맛만 본다고 생각하면 돼요.한 걸음 더지난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